As the types of North Korea's provocation are diverse and unexpectable in the costal area, ROK navy needs to develop countermeasures, such as costal defence guided rockets. Recently ROK navy developed the PKX-B which is equipped with the new 130 mm guided rocket. The most popular rockets are LOGIR for short range targets, 130 mm guided rocket for middle range targets and Spike-NLOS for long range targets. As various guided rockets are developed, it is required to develop a guided rocket analysis model and it's analysis methodology. In addition, these guided rockets can be installed on any platforms; ground vehicle, aircraft and warship. The paper proposes systematic methodology to estimate the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costal defence guided rockets. A case study exploiting the ARENA simulation model is explained to demonstr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methodology.
The origin of mission command can be traced to the era of the Prussian military reforms led by General Gerhard von Scharnhorst after defeats in battle of Jena and Auerstadt in 1806 against Napoleon I. Mission Command is the conduct of military operations through decentralized execution based upon mission-type orders. Commanders issue mission-type orders focused on the purpose of the operation rather than details of how to perform assigned tasks. The mission command has become the command philosophy of the German military and recently many countries in the west accept it as a command philosophy. This study compare and analyze the Battle of St. Vincent and the Battle of Jutland to make sure if the army-initiated mission commands were also useful for the navy. From the late 18th century, represented by the era of Nelson, Royal navy changed from the inherited rigid command culture to guaranteeing the disciplined initiative of its subordinate commanders. In the Battle of St. Vincent in 1797, Nelson acted contrary to the commander's orders at the crucial moment, which gave Britain a decisive victory. On the contrary more than 100 years later, the command culture of the Royal navy changed into a centralized command culture. In the Battle of Jutland in 1916, Royal Navy couldn't win because the rigid command culture did not guarantee initiative of subordinate commanders and subordinate commander's passive attitude of waiting for the commander's instructions even at critical moments. Therefore, a mission command that guarantees the initiative of subordinate commanders is a useful concept even in the navy because it makes subordinate commanders to take full advantage of a sudden change in battle. Today's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raised questions about mission command. But even advanced technology can't completely eliminate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war-the fog of war. War is chaotic and unpredictable. In the flood of lots of informations, senior commander's judgement is not always right because he(she) is also human, he(she) can make mistakes. In the age of informatization, mission command is still effective because it involves increasing interaction and synergy between senior and subordinate commanders by ensuring their independence. Therefore ROK navy also needs to activate mission command. ROK navy must dismantle the zero-defect mentality and apply from educations as Prussian did to establish a mission command culture.
This paper presents a formalized methodology for conducting cost-effectiveness analysis on the ROK Navy's maritime patrol aircraft. The methodology involves a Delphi method application for determining the group of appraisal variables as well as their weight values in the area of aircraft effectiveness analysis, Life-cycle costing was employed to produce cost in terms of present worth values of all costs that occur over the common 20-year life cycle. A wide range of experts was selected so that their opinions could be effectively collected and synthesized to form the framework of the effectiveness model. Such a model development strategy provides easy acceptance of the analysis result and assure fairness of the analysis.
This paper describes the operational concept of the Aegis ship's missile defense. Recently, North Korea conducted a fourth nuclear-weapon test that involved the launch of a long-range missile and the underwater launch of an SLBM. The ground-based BMD (Ballistic Missile Defense) system is very limited for the SLBM of a miniaturized nuclear warhea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a reliable sea-based missile-defense system. The ROK Navy has, however, only utilized the Aegis ship that is designed with a search-and-tracking sensor but is without a ballistic-missile interception capability. Given this information, this work focuses on the operational concept of the Aegis BMD by comparing the BMD capabilities of the ROK with those of the U.S.
Dry docks are used to repair warships or Merchant ships based on their life cycles. There are the certain number of dry docks in the ROK Navy, However, the ROK Navy force structure has been changing a lot since the Korean War.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queueing problem regarding present dry docks capacities and to forecast the appropriate number of dry docks based on future naval ship structure. The study proposes to obtain an efficient dry dock size using queueing problem and simulation.
국방 무기체계의 운용유지를 위해서는 숙련자에 의한 신뢰성있는 정비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고도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연구/제작된 해군 무기체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와같은 정비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해군에서는 효과적인 정비지원을 위해 수개의 정비지원부대를 조직하여 운용하고 있다. 원활한 정비지원부대의 운용을 위해 다년간 기술력을 축적한 정비인원의 중도 이탈을 예방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본 논문에서는 머신러닝을 적용하여 해군 정비지원부대의 퇴직자 예측 모델을 제안하였다. 정비인력의 만족도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봉급, 특근율 등을 변수로 사용하였고, F1 Score를 통해 모델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0.7이상의 높은 성능을 보였다. 이 모델을 통해 조기 퇴직이 예상되는 그룹의 공통 개선소요를 파악하여 사전 조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해군에서 운용하는 각 함정은 여러 가지 무기체계를 동시에 탑재하고 있는, 고가의 복합무기체계이다. 주어진 기간동안 효과적인 정비를 수행함으로써, 가동률을 극대화하는 것이말로 복합무기체계인 함정을 효과적으로 운용하는 방법이며, 경제적인 국방운용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정비인시는 여러 무기체계가 동시에 탑재된 복합무기체계 정비의 핵심이다. 정비인시를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만, 제한된 정비기간을 각 무기체계에 정확히 할당할 수 있을 것이며, 최적의 요소에 대한 정비가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군에서 운용중인 특정장비에 대한 약 10년간의 정비자료를 이용하여 정비인시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모델의 성능은 R2 Score를 통해 0.69의 준수한 수치를 보였다. 이 모델을 통해 조금더 세밀하고, 정확한 정비인시 예측과 정비계획 수립이 가능하리라 판단하였다.
The basic stance of the Republic of Kore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was 'quiet diplomacy'. However, there had been demands for specific plans for practical protection of Dokdo. In 2011, Prime Minister Kim Hwang Sik mentioned that they are reviewing measures of stationing marines on Dokdo, while on August 10th, 2012, former president Lee Myung Bak visited Dokdo. The visit itself was meaningful as he was the first supreme commander to visit Dokdo. This paper studies on the necessity of naval power on Dokdo to maintain its effective control. The effective control must be done by a national organization in a peaceful and unimpaired method. If so, can stationing naval power, whether directly or indirectly, on Dokdo be considered a violation of 'peaceful' method? A 'peaceful' effective of control meas the right of sovereignty over a territory without other country's protest. In such terms, protecting a territory falls under practicing the right of sovereignty, and therefore does not violate 'peaceful'. In addition, looking at international cases such as Ligitan/Sipadan Case and Pedra Blanca Case, evidences such as 'navy activity', 'flyng ensign', and 'military communication facility installation' was used. In ter case of Yemen-Eritrea dispute over Hanish, methods on effective control over island and sea was also ruled by the installation of military posts and military surveillance activities. Thus, stationing naval power on Dokdo can be a way of maintaining effective control per international law. To station naval poer on Dokdo, Presidential Instruction 24 integrated Defense Guideline Enforcement Ordinance, which is domestic law, must be revised. Reason being, the Enforcement Ordinance states that the navy area of responsibility excluded Ullundo, where Dokdo is under jurisdiction of Ullungdim thus excluding navy control. In addition, considering the diplomatic situation, it is more fut to install navy radar site on Dokdo rather than 'stationing marines'. In other words, enforcing surveillance in the vicinity of Dokdo and installing radar site instead of stationing direct combatants is one way of practicing effective control without stimulating diplomatic disputes.
For a large organization such as a military service which can foresee future growths in its manpower requirements, a systematic tool that can provide analysis of its present manpower structure and policies in terms of meeting the future requirements, is in order today. This paper proposes a network model for such a purpose. The ROK Navy officer corps manpower system is studied and formulated as a network model, which may be expressed as a linear programming problem of minimizing total cost. An appropriate cost concept is developed and the out-of-kilter algorithm of Ford and Fulkerson is computer programmed to be used as a solution procedure for this network problem. A case study is conducted with a set of hypothetical data on a possible Navy combat-line specialty manpower problem.
본 논문은 '국가해양안보전략서'의 필요성과 발전방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의 해양안보전략서의 필요성, 해양안보전략관련 한국의 실태와 주요선진해양국의 사례, 한국의 '해양안보전략'의 비전·목표·전략·수행체계를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본 것이다. '세계 5대 해양강국(Ocean G5)' 등과 같은 국가해양전략 비전의 달성은 우리나라가 국민의 해양안전과 해양안보를 유지·강화해 나갈 수 있을 때 가능함은 물론이다. 세월호사건은 우리에게도 해양선진국처럼 '국가해양안보전략서'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잘 일깨워주고 있다. 선진해양국가처럼 국가해양안보전략이 효율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해군·해경의 협력을 포함한 관련기관의 협력을 결집시키기에 충분한 권한과 위상을 보유한 전담부서를 두어야 한다. 국가안보회의 예하에 장관급으로 구성된 의결기구인 가칭 해양안보위원회와 관련부처 실무자로 구성된 집행기구인 가칭 해양안보수행단을 설치하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이나 영국처럼 우리도 국민의 해양안전·해양안보를 위한 국가해양안보전략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가기 위해서는 보다 더 긴밀한 국내의 범정부적 협조체제와 국제적 협력체제, 그리고 해당 분야별 해양안보능력을 더욱 보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군에 의한 해양안보전략의 수립·추진; 해군·해경 간의 작전적 연계강화; 국가차원의 해양감시능력의 강화 및 민간영역과의 공유의 활성화 등을 모색·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