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W 264.7

검색결과 2,685건 처리시간 0.029초

목련(Magnolia denudata Desr.)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Magnolia denudata Desr. Flower Extracts)

  • 노진우;황인국;정은미;김현영;장성준;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478-1484
    • /
    • 2009
  • 목련 꽃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분획물에 대한 항산화활성, 항암활성 및 항염증활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련꽃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16.14 및 86.93 mg/g이었고,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IC_{50}$값은 0.232 mg/mL이었으며, 용매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보였다($IC_{50}$: 0.197 mg/mL, AEAC: 0.90 mg AA eq/100 mg). 또한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은 대장암, 폐암 그리고 간암세포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낮은 농도에서 증식억제효과를 보였으며,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 유도 일산화질소 생성 저해효과를 보였다($IC_{50}$: 49.5 $\mu$g/mL).

양파껍질 열수추출물의 in vitro 및 in vivo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Onion (Allium cepa) Peel Hot Water Extract in vitro and in vivo)

  • 강보경;김꽃봉우리;안나경;최연욱;김민지;박시우;박원민;김보람;박지혜;배난영;안동현
    • KSBB Journal
    • /
    • 제30권4호
    • /
    • pp.148-154
    • /
    • 2015
  • Onion (Allium cepa) is one of the flavonoids-rich materials in human diet and onion peel, which is the onion by-products, contains over 20 times more quercetin than the flesh.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onion peel hot water extract (OPHWE), the cell viability, nitric oxide (NO),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uekin-6 (IL-6),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IL-$1{\beta}$, were measured using the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cells. The Balb/c mice were used for an in vivo acute toxicity test and ICR mice were used for measurement of inhibition effects of croton oil-induced mouse ear edema. As a result, NO levels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production of IL-6, TNF-${\alpha}$, and IL-$1{\beta}$ was suppressed by 38%, 41%, and 34%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of the LPS only group, without any cytotoxicity. The edema formation in the ICR mouse ear was also reduced compared to that in control. Moreover, there were no mortalities occurred in mice administered 5,000 mg/kg body weight of OPHWE. These results suggest that OPHWE has considerabl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can be regarded as a potent candidate material to treat inflammatory diseases.

포도 품종별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면역활성 분석 (Analysis of Immunomodulating Activities in Methanol Extracts from Several Kinds of Grapes)

  • 허진철;우상욱;권미애;김보배;이숙희;이진만;최종욱;정신교;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19-424
    • /
    • 2007
  • 하우스 포도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거봉, 델라웨어, 캠벨, 청포도를 열거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효과 중 항산화와 항암 활성에 대한 보고는 많으나 면역활성에 대한 활성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우리는 4종의 포도의 메탄올 추출물로 항산화, 항암, 그리고 면역활성을 분석하였다. 전자공유능을 측정하기 위한 DPPH를 이용한 실험 결과 포도 4종에서 모두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을 알아보기 위한 FRAP 실험 또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사멸 억제 효과는 약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포도 추출물에 의한 cell proliferation 활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실험에서는 LPS에 의해 유도된 NO의 활성을 감소시키지는 않으나 포도 추출물 자제가 Raw 264.7 세포에서 NO의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ound healing assay를 이용하여 항암효과를 알아본 결과 포도추출물 4종에서 세포의 운동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Mouse primary spleen cell 에서의 cytokine IL-4, IL-13의 활성을 알아본 결과 Con A로 유도된 IL-4와 IL-13의 발현 양을 현저히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보아, 포도 4종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결과 항산화, 항암활성은 물론 항천식 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면역조절 활성이 포도의 기능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동충하초의 균사 및 배양액의 항산화, 항암, 면역활성의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nticancer and Immunomodulating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ongChongXiaCao)

  • 허진철;남성희;강석우;홍인표;이광길;박자영;김경해;한송이;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81-687
    • /
    • 2007
  • 동충하초 20여종의 균사와 배양 배지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활성 효과를 항산화와 항암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항산화 활성 실험 DPPH와 FRAP실험을 실시하였는데 다수의 동충하초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간에 따른 FRAP활성에서는 배양배지에서 균사체 추출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NOS와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NO활성 실험을 한 결과 NO활성은 추출물의 종류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염증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Cox-2 promoter활성실험을 한 결과, 종에 따라 활성의 증가 또는 감소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Wound healing assay를 이용하여 항암효과를 알아본 결과 많은 종에서 세포의 운동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혈관생성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HUVECs를 이용하여 tube formation을 확인해 본 결과 다수의 추출물에서 혈관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함초 조다당체 및 조사포닌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and Crude Saponins from Salicornia herbacea)

  • 정성희;박경욱;김재용;박채규;최갑성;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9-114
    • /
    • 2009
  • 함초를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이용하기 위하여 함초 8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Diaion HP-20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조다당체 및 조사포닌을 분리 한 후 이들에 대한 항산화 효과, 암세포 성장억제효과, 비장세포 증식능 및 대식세포의 면역활성과 같은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함초 조다당체 및 조사포닌 첨가군은 $500{\mu}g/mL$ 농도 이상에서 20% 이상의 수소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조다당체 및 조사포닌은 $500{\mu}g/mL$ 농도에서 전립선암세포(PC-3) 및 대장암세포(HT-29)에 대하여 각각 20%, 50% 이상의 성장 억제율를 보였는데, 함초 조다당체 보다 조사포닌에서 더 높은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함초 조다당체 첨가군은 비장세포 증식 및 대식세포주 NO 생산을 농도 의존적으로 유도하였으나, 조사포닌 첨가군은 오히려 농도 $50{\mu}g/mL$ 이상에서 이들 면역 활성을 억제하였다. 즉 면역 활성에서는 함초 사포닌 보다 조다당체에서 더 높은 면역 증강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함초는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llagic acid가 대식세포의 면역조절작용에 미치는 영향과 Toll-like receptor 4 관련 작용기전 연구 (Study on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Ellagic Acid and their Mechanisms Related to Toll-like Receptor 4 in Macrophages)

  • 남궁승;김예진;김태성;손은화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61-567
    • /
    • 2012
  • 본 연구는 EA에 의한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매개로 한 항암효과와 항암작용과 관련된 대식세포의 면역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EA에 의해 RAW264.7세포 및 peritoneal macrophage 모두에서 항암효과가 증가하였으며, 증가된 대식세포의 항암효과는 TLR4 signaling을 blocking하는 CLI-095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일부 감소되었다. 이는 EA에 의한 항암 효과가 부분적으로 TLR4를 경유하는 기전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EA에 대한 대식세포의 NO 분비조절효과를 측정하였으며, EA는 대식세포의 NO 생성을 증가시켰으나, 인위적으로 염증을 유발시켜 NO를 과도하게 분비한 상태에서는 NO 분비를 오히려 억제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EA에 의한 NO조절에 대한 이중 효과는 인체에 면역증강과 항염증 효과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방향으로 조절하고 있으므로 EA를 이용한 항암요법의 보조제 및 면역보조제로써의 활용에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EA에 대한 항암 작용 및 NO 조절에서 세포내 신호전달 작용기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NMAAP1 Expressed in BCG-Activated Macrophage Promotes M1 Macrophage Polarization

  • Liu, Qihui;Tian, Yuan;Zhao, Xiangfeng;Jing, Haifeng;Xie, Qi;Li, Peng;Li, Dong;Yan, Dongmei;Zhu, Xun
    • Molecules and Cells
    • /
    • 제38권10호
    • /
    • pp.886-894
    • /
    • 2015
  • Macrophages are divided into two subpopulations: classically activated macrophages (M1) and alternatively activated macrophages (M2). BCG (Bacilli Calmette-$Gu{\acute{e}}rin$) activates disabled $na{\ddot{i}}ve$ macrophages to M1 macrophages, which act as inflammatory, microbicidal and tumoricidal cells through cell-cell contact and/or the release of soluble factors. Various transcription factors and signaling pathways ar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macrophage activation and polarization. We discovered that BCG-activated macrophages (BAM) expressed a new molecule, and we named it Novel Macrophage Activated Associated Protein 1 (NMAAP1). 1 The current study found that the overexpression of NMAAP1 in macrophages results in M1 polarization with increased expression levels of M1 genes, such a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 Interleukin 6 (IL-6), Interleukin 12 (IL-12),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and Interleukin-1 beta (IL-$1{\beta}$), and decreased expression of some M2 genes, such as Kruppel-like factor 4 (KLF4) and suppressor of cytokine signaling 1 (SOCS1), but not other M2 genes, including arginase-1 (Arg-1), Interleukin (IL-10),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beta}$) and found in inflammatory zone 1 (Fizz1). Moreover, NMAAP1 overexpression in the RAW264.7 cell line increased cytotoxicity against MCA207 tumor cells, which depends on increased inflammatory cytokines rather than cell-cell contact. NMAAP1 also substantially enhanced the phagocytic ability of macrophages, which implies that NMAAP1 promoted macrophage adhesive and clearance activities. Our results indicate that NMAAP1 is an essential molecule that modulates macrophages phenotype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crophage tumoricidal functions.

잔가시 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의 항아토피 효과 (Anti-atopic Activity of Sargassum micracanthum Ethanol Extracts)

  • 정다현;김꽃봉우리;김민지;강보경;박시우;박원민;김보람;박홍민;임무혁;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2-88
    • /
    • 2014
  • 본 연구는 DNCB 도포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 BALB/c mice에 SMEE를 2주 동안 지속적으로 처리하여 SMEE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따라서 IFN-${\gamma}$ 및 IL-4 cytokine의 분비량, 비장세포 증식능, 혈청 중 총 IgE 함량, 육안 평가 및 skin clinical severity score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SMEE를 지속적으로 도포함으로써 IL-4 cytokine과 총 IgE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IFN-${\gamma}$ cytokine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증식능 측정결과, SMEE 처리구의 경우 negative control군과 유사한 수준까지 억제됨을 나타냈으며, 비장세포의 비이상적인 증식에 SMEE 도포처리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안평가 및 skin clinical severity score 결과, SMEE를 2주간 지속적으로 도포 처리하였을 때, 그 증상이 눈에 띄게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core 또한 positive control과 비교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SMEE는 Th1 cytokine 생성은 증가시키고 Th2 cytokine 생성은 억제하여 IgE의 과다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에 뛰어난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Immunotoxicological Effects of Aripiprazole: In vivo and In vitro Studies

  • Baek, Kwang-Soo;Ahn, Shinbyoung;Lee, Jaehwi;Kim, Ji Hye;Kim, Han Gyung;Kim, Eunji;Kim, Jun Ho;Sung, Nak Yoon;Yang, Sungjae;Kim, Mi Seon;Hong, Sungyoul;Kim, Jong-Hoon;Cho, Jae You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4호
    • /
    • pp.365-372
    • /
    • 2015
  • Aripiprazole (ARI) is a commonly prescribed medication used to treat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To date, there have been no studies regarding the molecular pathological and immunotoxicological profiling of aripiprazole. Thus, in the present study, we prepared two different formulas of aripiprazole [Free base crystal of aripiprazole (ARPGCB) and cocrystal of aripiprazole (GCB3004)], and explored their effects on the patterns of survival and apoptosis-regulatory proteins under acute toxicity and cytotoxicity test conditions. Furthermore, we also evaluated the modulatory activity of the different formulations on the immunological responses in macrophages primed by various stimulators such as lipopolysaccharide (LPS), pam3CSK, and poly(I:C) via toll-like receptor 4 (TLR4), TLR2, and TLR3 pathways, respectively. In liver, both ARPGCB and GCB3004 produced similar toxicity profiles. In particular, these two formulas exhibited similar phospho-protein profiling of p65/nuclear factor $(NF)-{\kappa}B$, c-Jun/activator protein (AP)-1, ERK, JNK, p38, caspase 3, and bcl-2 in brain. In contrast, the patterns of these phospho-proteins were variable in other tissues. Moreover, these two formulas did not exhibit any cytotoxicity in C6 glioma cells. Finally, the two formulations at available in vivo concentrations did not block nitric oxide (NO) production from activated macrophage-like RAW264.7 cells stimulated with LPS, pam3CSK, or poly(I:C), nor did they alter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activated macrophages. Taken together, our present work, as a comparative study of two different formulas of aripiprazole, suggests that these two formulas can be used to achieve similar functional activation of brain proteins related to cell survival and apoptosis and immunotoxicological activities of macrophages.

NO와 Pro-Inflammatory Cytokine의 억제를 통한 호라복(胡蘿蔔)의 항염증효과 (Roots of Daucus carota sativa abrogates acute phase of Inflammation by the Inhibition of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 이동진;박상미;황보민;정태영;김상찬;지선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5-57
    • /
    • 2013
  • Objectives : Daucus carota sativa has been frequently used as food supplements in many of the Asian countries, and a nutritional medical drug in traditional medicin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aucus carota sativa extract (DCE) on acute phases of inflammation in Raw 264.7 cells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in terms of the inhibition of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_2$ ($PGE_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Methods : NO, $PGE_2$,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1{\beta}$ and interleukin-6 contents were assayed by ELISA, and expressions of inflammation-related proteins such as inducible NO synthase (iNOS) were determined by immunoblot analyses. Results : DCE treatment attenuated the LPS ability to increase the productions of NO and $PGE_2$ as well as the protein level of iNO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nsistently, treatment of the cells with DCE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TNF-${\alpha}$, interleukin-$1{\beta}$ and interleukin-6. DCE also caused decreases of inhibitor of ${\kappa}B{\alpha}$ phosphorylation induced by LPS in the cells, which means DCE inhibition of NF-${\kappa}B$ activity. Furthermore, DCE blocked LPS-induced phosphorylation of p38 and SAPK/JNK. Conclusion : This study showing here may be of help to understand the action mechanism of DCE, and provide the information for the medical use of Daucus carota sativa for the inflammatory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