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ative User Research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3초

장기적으로 활동한 아이돌보미의 가족 레질리언스 분석: 월시(Walsh)의 관점을 중심으로 (Analysis on Family Resilience of Long-term Childcare Givers: Focused on a Walsh Viewpoint)

  • 정민자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4호
    • /
    • pp.441-450
    • /
    • 2017
  • Childcare related studies have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are work, policy aspects, user family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helpers.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family system characteristics that support childcare givers. Thus, this study conducted on the topic, "How to characterize the family resilience of long-term childcare givers?" The subjects belong to a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in U. City, who belong to a group with an income in the top 20 % of about 20 persons working for more than 3 years. In an interview, qualitative questions were used Walsh's family resili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y had economic hardship, but their family would stand together and build up a family's power based on the couple's faith. They had a family role model based on their parents' family that included inherited maternity qualities from their mother. Second, the flexibility of the family organization changed to autonomous or co-role type and the connectivity. Especially, they appear as a family's leader. Third, their family communication was active, shared-care, responsible and passionate with family affection and understanding. The conclusions results are as follows. Participants were high school graduates as well as had work experience. They were characterized by positive family energy, a family belief system, family-based resources, flexibility, connectivity, open family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skills.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family's resilience during an interview for the reliable, long-term supply of human resources for childcare activities.

교육환경 개선 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Indicators)

  • 이상민;최형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3호
    • /
    • pp.35-45
    • /
    • 2018
  • 본 연구는 학생들의 교육 및 생활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교육환경 개선 관련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방향과 교육환경 개선 개념을 설정하였으며, 교육환경 개선 지표 설정 방향 및 교육환경 개선 분야와 요소를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연면적 적정성, 일반교실 적정성, 다목적강당 적정성 등 양적 측면의 지표 43개, 내진성능 확보유무, 소방시설 노후도, 화장실 노후도, 마감재 노후도 등 질적 측면의 지표 34개, 에너지사용량, 사용자 만족도 등 운영 측면의 지표 11개 등 총 88개의 교육환경개선 지표를 최종 설정하였다.

Developing Experiential Exhibitions Based on Conservation Science Content of Bronze Mirror

  • Jo, Young Hoon;Kim, Jikio;Yun, Yong Hyun;Cho, Nam Chul;Lee, Chan Hee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62-369
    • /
    • 2021
  • In museums, exhibition content focuses mostly on cultural heritage's historical values and functions, but doing so tends to limit visitors' interest and immersion. To counter this limitation, the study developed an experiential media art exhibition fusing bronze mirrors' traditional production technology and modern conservation science. First, for the exhibition system, scientific cultural heritage contents were projected on the three-dimensional (3D) printed bronze mirror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motion recognition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 and the projector. Then, a scenario of 17 missions in four stages (production process, corrosion mechanism, scientific analysis and diagno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and restora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temporal spectrum. Additionally, various media art effects and interaction technologies were developed, so visitors could understand and become immersed in bronze mirrors' scientific content. A user test was evaluated through the living lab, reflecting generally high levels of satisfaction (90.2 points). Qualitative evaluation was generally positive, with comments such as "easy to understand and useful as the esoteric science exhibition was combined with media art" (16.7%), "wonderful and interesting" (11.7%), and "firsthand experience was good" (9.2%). By combining an esoteric science exhibition centered on principles and theories with visual media art and by developing an immersive directing method to provide high-level exhibition technology, the exhibition induced visitors' active participation. This exhibition's content can become an important platform for expanding universal museum exhibitions on archaeology, history, and art into conservation science.

다문화가족의 건강욕구 분석 및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ICT 활용 방안 (Policies and ICT Strategies based on Health Needs for Multicultural Families)

  • 정수용;이선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1-14
    • /
    • 2024
  •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의 건강욕구 및 관련 정책들을 파악하고, ICT를 활용한 건강정보의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은 질적 연구로서,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다문화가족의 건강실태를 1차적으로 분석한 후,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그간 다문화가족의 건강정책은 타 부문에 비해 정책우선순위가 밀려 있고, 다문화가족의 건강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ICT 활용 논의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문화가족을 심층인터뷰한 결과, "한국사회 진입초기 경험", "의료기관 이용시 높은 언어장벽", "다양한 이유로 인한 미충족의료 경험", "보건의료 관련 서비스 욕구가 높은 영역" 등의 4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다문화가족의 건강권 보장 및 건강정보 접근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의료기관의 언어적 지원체계 강화, 정부의 다문화가족을 위한 정책적 노력, 수요자 중심의 쌍방향 ICT 플랫폼 설계 등을 제언하였다.

Exploring dietitians' views on digital nutrition educational tools in Malaysia: a qualitative study

  • Zahara Abdul Manaf;Mohd Hafiz Mohd Rosli;Norhayati Mohd Noor;Nor Aini Jamil;Fatin Hanani Mazri;Suzana Shahar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8권2호
    • /
    • pp.294-307
    • /
    • 2024
  • BACKGROUND/OBJECTIVES: Dietitians frequently use nutrition education tools to facilitate dietary counselling sessions. Nevertheless, these tools may require adaptation to keep pace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is study had a 2-fold purpose: first, to identify the types of nutrition education tools currently in use, identify their limitations, and explore dietitians' perspectives on the importance of these tools; second, to investigate the features that dietitians prefer in digital nutrition education tools. SUBJECTS/METHODS: A semi-structured face-to-face interview was conducted among 15 dietitians from selected public hospitals, primary care clinics, and teaching hospitals in Malaysia. Inductive thematic analysis of the responses was conducted using NVivo version 12 software. RESULTS: Most dietitians used physical education tools including the healthy plate model, pamphlets, food models, and flip charts. These tools were perceived as important as they facilitate the nutrition assessment process, deliver nutrition intervention, and are time efficient. However, dietitians described the current educational tools as impersonal, outdated, limited in availability due to financial constraints, unhandy, and difficult to visualise. Alternatively, they strongly favoured digital education tools that provided instant feedback, utilised an automated system, included a local food database, were user-friendly, developed by experts in the field, and seamlessly integrated into the healthcare system. CONCLUSION: Presently, although dietitians have a preference for digital educational tools, they heavily rely on physical nutrition education tools due to their availability despite the perception that these tools are outdated, impersonal, and inconvenient. Transitioning to digital dietary education tools could potentially address these issues.

공간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시각화 방법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 for Spatial Big Data)

  • 서양모;김원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6호
    • /
    • pp.109-11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공간빅데이터의 개념과 특징을 정의하고 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을 높일 수 있는 정보 시각화 방법론을 조사하였다. 또한 시각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해결방법을 제시하였다. 공간빅데이터를 공간정보의 정량적인 확장의 결과와 빅데이터의 정성적인 확장의 결과로 정의하였다. 공간빅데이터는 6V(Volume, Variety, Velocity, Value, Veracity, Visualization)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최근 활용 서비스 측면이 이슈화 되면서 공간빅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공간빅데이터의 시각화가 주목받고 있다. 정보 시각화의 방법은 Matthias, Ben, 정보디자인교과서 등을 통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 되어 있으나 공간빅데이터의 시각화는 방대한 양의 원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조직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려는 정보를 추출해야 하는 차이점이 있다. 추출된 정보는 특성에 따른 적합한 시각적 표현 방법을 사용해야 하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없으므로 필터링, 샘플링, 데이터 비닝, 클러스터링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축소하여 표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정보공유 네트워크의 조직 내외부 활용에 관한 사례 연구: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A Case Study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Use of Information Sharing Network: A Qualitative Approach)

  • 김종혁;김석철
    • 통상정보연구
    • /
    • 제18권3호
    • /
    • pp.205-226
    • /
    • 2016
  • 지식근로자가 증가하고 정보의 종류가 다양해지며, 조직 간 정보의 교환이 빈번해질수록 기업 내부 정보관리시스템에 의존한 분석은 더 이상 효과적이거나 유용하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내부 지식정보시스템 뿐만 아니라, 외부의 정보공유시스템을 활용하는 방안이 최근 더욱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조직 내외부의 정보공유시스템 사용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많지 않을뿐더러, 그 정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심리상태나 의도를 파악하는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조직 내 지식관리시스템은 물론, 외부의 정보공유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 집단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및 키워드 분석을 실시하여 그들이 가진 정보를 공유하려는 의도와 그 요인을 관찰하였다. 조사 결과, 내부 정보공유의 경우, 조직 내부에서의 업무와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고 내부 구성원들 간의 소통을 원활하게하기 위한 목적이 대부분인 반면, 외부 정보공유시스템을 사용하는 목적은 자신이 보유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얻는 자기 만족감과 가치 있는 정보를 제공했다는데서 타인으로부터 얻는 신뢰감, 정보를 공유하는 행위로부터 얻는 순수한 희열과 같은 내재적 동기가 주로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들의 관심분야, 업무 관련성, 사용자 맞춤UI, UX의 개발, 구성원 간의 다양한 소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도구의 개발 등이 매우 중요하다는 실무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 PDF

스마트 의류의 인식과 수용에 관한 질적 연구 : 56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The Qualitative Study for User Needs and Acceptance of Smart Clothing: Focused on Women Aged 56 and Over)

  • 백경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55-65
    • /
    • 2009
  • 스마트 의류란 생활전반에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기술이 접목된 기능성이 있는 의복이다. 소비자의 인식과 필요성을 알기 위하여 브레인스토밍, 개인면접, 포커스그룹미팅, 그리고 컨텐츠 분석을 실시하였다. 10명의 인터뷰 면접자와 포거크그룹 패널은 뉴욕 이타카에 거주하는 56세에서 64세의 여성으로 구성되었다. 라이프스타일 및 연령에 따른 의생활 질문으로 자극을 한 후, 2개의 스마트 의류견본과 더불어 주제에 따른 토론과 분석을 하도록 하였다. 또한 보다 다양한 수준에서 비교를 위해 이타카 지역 밖에 거주하는 타켓 연령대에 근접하는 3명에 대한 개인 인터뷰도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노년 여성들의 스마트 의류에 대한 필요성은 확연하게 나타났다. 즉, 노화에 따른 시력저하 및 체온조절을 위한 디바이스가 요구되었으며, 의생활에서는 체형변화를 감안한 피트성이 높은 미적 디자인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디바이스들은 반드시 신중하게 구성되고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디자인으로 개발만 된다면 스마트 의류는 노년 여성의 자율성 증진을 이상적으로 야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혁신적 기업에서의 감성의 관심 및 활용의 추적: 연차보고서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Tracking on Attention to the Emotion and Sensibility and its Application at the Innovative Companies: Focused on Content Analysis of Annual Reports)

  • 송민정
    • 감성과학
    • /
    • 제19권1호
    • /
    • pp.39-48
    • /
    • 2016
  • 본 연구는 혁신적 기업에서 감성에 대한 인식 및 활용에 대해 기업의 연차보고서의 내용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연차보고서는 현재 기업이 제공하는 상품(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설명과 기업의 성과 및 방향에 대해 기술하였기 때문에 기업의 감성에 대한 관심 및 활용을 파악하기 위한 내용분석에 적합한 데이터이다. 감성에 대해서는 그 용어가 국내외에서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어, 연관 단어인 '감각', '감성', '정서'와 해당 영단어인 'sensibility'와 'sense', 'emotion', 'feeling', 'affection'의 사전적 정의를 분석하여 서로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본 용어들을 모두 내용분석에 포함하였다. 혁신적 기업을 선정을 위해 경제 학술지 Fast company에서 발표하는 2009년과 2014년의 'The world's 50 most innovative companies'의 리스트에 포함된 기업으로 추출하였다. 그 기업의 연차보고서를 바탕으로 상호 비교하여 2009년과 2014년 사이의 감성의 인식 및 활용에 대한 기업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내용분석의 정량적인 결과에서는 혁신성과 감성의 관련성이 강하지 않다고 판단되나, 정성적인 결과에는 5년 사이에 '감각(sense)'과 '감정(feeling)'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기업에서 전략적으로 추구하는 혁신성의 방향이 기술 선도 및 차별화에서 사용자 경험 만족으로 옮겨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감각 및 감정을 측정, 평가, 표현하고자 하는 기업의 수가 증대되고 있음을 밝혔다.

노인용 그립형 한글입력 인터페이스 (A Grip Type Korean Text Entry Interface for the Elderly)

  • 장희동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5-22
    • /
    • 2009
  • 우리사회는, 모든 구성원들에게 컴퓨터사용 능력을 요구하는 정보화지식사회이면서 또한 60세이상 노인들이 많이 존재하는 초고령화 사회이다. 그러나 우리사회에서는 노인들의 신체적 한계를 고려한 노인용 컴퓨터들을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신체적 능력과 한계를 고려하여 디자인한 그립형 한글 입력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노인용 한글 인터페이스를 기존 제품들인 노인용 키보드(ME TOO SV01)와 노인용 휴대폰(LG KV-3900) 입력 버튼들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방법은 측량을 통한 정량적 평가와 10명 노인들을 대상으로 만족도(5점 만점) 실험을 통한 정성적 평가를 하였다. 정량적 평가결과에 의하면, 제안한 한글 입력인터페이스는 인체공학적인 입체적 디자인과 입력버튼들의 위치, 손가락 이동을 요구하는 입력버튼 수, 손가락 최대 이동 범위, 입력에 사용되는 손가락 수의 항목에서 가장 우수했다.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항목별 만족도(5점 만점) 평가결과에 의하면 인터페이스 모양와 입력버튼 위치 항목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버튼들의 간격과 문자입력 편리성은 두 번째로 우수하였지만 평가점수로는 키보드의 가장 높은 점수들과 근접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