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Indicators

교육환경 개선 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8.10.28
  • Accepted : 2018.12.18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present situation data related to school facilities through existing literature and related systems and to develop indicators related to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students' education and life in general.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econd Delphy Survey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ment index. As a result, a total of 88 education environment improvement indicators were set, including 43 indicators on the quantitative aspects of the area, adequacy of general classrooms, and appropriateness of multi-purpose steel sugar, 34 indicators on the qualitative aspects such as the level of seismic performance, age of fire facilities, aging of toilets, and aging of finishing materials, and 11 indicators on operational aspects such as energy usage and user satisfaction.

본 연구는 학생들의 교육 및 생활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교육환경 개선 관련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방향과 교육환경 개선 개념을 설정하였으며, 교육환경 개선 지표 설정 방향 및 교육환경 개선 분야와 요소를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2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연면적 적정성, 일반교실 적정성, 다목적강당 적정성 등 양적 측면의 지표 43개, 내진성능 확보유무, 소방시설 노후도, 화장실 노후도, 마감재 노후도 등 질적 측면의 지표 34개, 에너지사용량, 사용자 만족도 등 운영 측면의 지표 11개 등 총 88개의 교육환경개선 지표를 최종 설정하였다.

Keywords

표1. 교육시설 주요지표 및 핵심지표

HKKOAH_2018_v17n3_35_t0001.png 이미지

표2. 학교시설개선 평가지표

HKKOAH_2018_v17n3_35_t0002.png 이미지

표3. 교육환경 개선의 개념 설정

HKKOAH_2018_v17n3_35_t0003.png 이미지

표4. 교육환경개선사업 세부항목(예시)

HKKOAH_2018_v17n3_35_t0004.png 이미지

표5. 학교시설 현황 관련 시스템 데이터 관리항목

HKKOAH_2018_v17n3_35_t0005.png 이미지

표6. 교육환경 개선 지표분야 및 지표요소 설정안

HKKOAH_2018_v17n3_35_t0006.png 이미지

표7. 문헌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한 교육환경개선지표(안)

HKKOAH_2018_v17n3_35_t0007.png 이미지

표8. 양적측면의교육환경개선지표 2차 델파이조사결과

HKKOAH_2018_v17n3_35_t0008.png 이미지

표9. 질적측면의교육환경개선지표 2차 델파이조사결과

HKKOAH_2018_v17n3_35_t0009.png 이미지

표10. 운영측면의교육환경개선지표 2차 델파이조사결과

HKKOAH_2018_v17n3_35_t0010.png 이미지

표11. 최종 교육환경개선지표(안)

HKKOAH_2018_v17n3_35_t0011.png 이미지

References

  1. 김영철, 교육시설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2. 송병준, 학교시설 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 문부과학성(학교시설정비지침책정에 관한 조사연구 협력자 회의), 학교시설의 평가방법에 관하여(학교시설의 개선을 위해서), 2009
  4. 박효정.변재연.박윤주.서상현, 교육환경 평가 및 정비구역 내 학습환경 보호위원회 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5. 최규리, 창의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 영재교육연구저널, 22권, 2호, 2012, pp.387-410. https://doi.org/10.9722/jgte.2012.22.2.387
  6. 교육부, 교육환경개선비 예정교부 및 집행지침, 2017
  7. C. H. LAWSHE, A Quantitative approach to c 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 pp.563-575, 19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8. OECD, Working group on evaluating quality in educational facilities Firstmeeting, 2006
  9. School District of Palm Beach County, 2016 Fa cility Condition Assessment Final Report,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