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1. 교육시설 주요지표 및 핵심지표
표2. 학교시설개선 평가지표
표3. 교육환경 개선의 개념 설정
표4. 교육환경개선사업 세부항목(예시)
표5. 학교시설 현황 관련 시스템 데이터 관리항목
표6. 교육환경 개선 지표분야 및 지표요소 설정안
표7. 문헌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한 교육환경개선지표(안)
표8. 양적측면의교육환경개선지표 2차 델파이조사결과
표9. 질적측면의교육환경개선지표 2차 델파이조사결과
표10. 운영측면의교육환경개선지표 2차 델파이조사결과
표11. 최종 교육환경개선지표(안)
References
- 김영철, 교육시설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 송병준, 학교시설 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문부과학성(학교시설정비지침책정에 관한 조사연구 협력자 회의), 학교시설의 평가방법에 관하여(학교시설의 개선을 위해서), 2009
- 박효정.변재연.박윤주.서상현, 교육환경 평가 및 정비구역 내 학습환경 보호위원회 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8
- 최규리, 창의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델파이 조사, 영재교육연구저널, 22권, 2호, 2012, pp.387-410. https://doi.org/10.9722/jgte.2012.22.2.387
- 교육부, 교육환경개선비 예정교부 및 집행지침, 2017
- C. H. LAWSHE, A Quantitative approach to c 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 pp.563-575, 1975.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5.tb01393.x
- OECD, Working group on evaluating quality in educational facilities Firstmeeting, 2006
- School District of Palm Beach County, 2016 Fa cility Condition Assessment Final Report,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