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trauma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6초

사회적 트라우마의 개성화와 치유를 위한 미디어 테라피 가능성 연구 융(Jung)의 집단 무의식과 개성화 사유를 중심으로 (A Study on Media Therapy Experience for Individuation and Treatment of Social Trauma Focusing on Jung's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Individuation)

  • 유숙;강진숙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80권
    • /
    • pp.167-19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세월호 참사로 인한 사회적 트라우마 현상을 분석하고, 미디어를 통한 트라우마 테라피의 의미와 한계가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융의 집단 무의식과 원형, 개성화의 개념을 적용했고, 세월호 참사의 유가족, 심리상담 전문가, 일반인 자원봉사자와 일대일 심층인터뷰 및 초점집단인터뷰를 진행했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일차적/이차적 피해 경험에 따라 고립감, 불안 등 각기 다른 형태의 사회적 트라우마를 겪고 있으나, 공동체로서 사회적 트라우마를 함께 극복해나갈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의 일상생활에서 죽음과 삶, 애도와 기억 등의 원형이 표출되고 있었다는 점, 또한 테라피 활동을 통해 다양한 원형들의 상징이 포착되었다는 점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세월호 참사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테라피 프로그램은 여러 측면에서 한계가 있지만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공예 활동의 테라피 효과가 높다는 점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트라우마 테라피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트라우마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개성화를 통한 치유와 미디어 테라피의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PDF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 간접외상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direct Trauma Scale of Social Disaster)

  • 허연주 ;이민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3권3호
    • /
    • pp.381-40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 간접외상 척도(ITSSD: Indirect Trauma Scale of Social Disaster)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ITSSD의 문항구성을 위해 경험적 기술문을 수집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21개 문항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 간접외상 척도의 문항 내적 일치도가 높았으며(Cronbach's α=.95)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개인의 대응 반응, 가해자에 대한 반응, 세상에 대한 불신 반응, 증상 반응 4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상 후 위기 체크리스트, 상태-특성 불안검사, 한국판 수용-행동 척도, 용서 특질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와의 상관을 살펴보면 결과, 준거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척도가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 간접외상에 취약한 집단과 취약하지 않은 집단을 변별하는 기능을 잘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확인하기 위해 성차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의 함의, 한계 및 추후연구에 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 및 산림산책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irefighters' Experience of Trauma and Forest Walks on Burnout)

  • 신선희;공하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7-7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fire officers'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subsequent forest healing on their occupational burn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ing, and relieving stress by stroll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The more fire officers are exposed to traumatic events, the more they lose self-control in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the lower the level of stress relieved through strolling, the higher the level of burnout. Thi sresult suggests that the more fire office rsare called out for fire fighting, the more they see their colleagues with severein jurie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mental and physical an xiety, the more they areex hausted. Moreover, for es thealing help store duce the irmental and physi calfatig uecaused by traumatic events, thu spreven ting them from suffering from burn out. Second,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ing, and relieving stress by stroll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ccupational stress. The more fire officers are exposed to traumatic events, the more they lose self-control in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the lower the level of stress relieved through strolling, the higher the level of occupational stres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o relieve job stress caused by fire fighting, increased forest healing activities, including various programs such as psychotherapy, develop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control, and creating a positive mind-set, can reducejobstress and help fire officers recover from it. Lastly, job stress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and forest healing on burnout. This implies that burnout can be prevented when fire officers gain high emotional stability through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ing and stress-relief strolling over a traumatic experience, and stronger support from the organization and family can keep them from being emotionally drained, thus contributing to the prevention of burnout.

포스트 코로나 시대 ICT 기반 비대면 재난심리회복지원 서비스 촉진 방안 고찰 (Facilitation plan for non-face-to-face disaster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service based on ICT in the post-corona era)

  • 이정화;김희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463-468
    • /
    • 2022
  • COVID-19는 감염병 차원의 재난이 아닌 복합재난으로 기존 재난 대응 관리방식으로는 대응이 어렵다. 이에 따라 '코로나 블루'와 같은 심리적 스트레스와 트라우마를 경험하는 것이 새로운 사회문제로 떠올랐다. 본 연구는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ICT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상담 서비스 변화와 기업들의 화상, AI, VR등의 적용사례를 살펴봤다. 이를 바탕으로 ICT기술을 활용한 보다 효율적인 상담 시스템 구축과 상담 서비스의 개발로 재난 후 국민의 심리적 회복과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재난심리회복지원 서비스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미디어 이용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Media Use during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 박노일;장석환;정지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73-683
    • /
    • 2018
  • 세월호 사건은 재난의 일반적인 피해 수준을 넘어 온 국민들에게 정신적 충격을 준 참사이다. 이 연구는 세월호 사건과 관련한 미디어 이용으로 대리된(vicarious) 재난 경험과 이용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간의 연관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월호 사건 발생 직후인 2014년 4월 28일부터 12일 동안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과 중고등학교 학생 417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답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세월호 사태 기간 중에 주요 재난 사건 뉴스정보를 접하는 채널이 소셜 미디어인 경우 신문이나 TV방송보다 더 높은 수준의 외상을 나타냈다. 또한 재난 사건 뉴스정보와 소셜 미디어 이용량이 많을수록 PTSD와 정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재난 사건에 대한 미디어 매개 심리적 외상 문제의 작동기제와 경험적 결과를 제시하며 후속 연구를 촉발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세월호 참사 희생자 부모들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기술적 접근 (A Technical Approach to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Sewol Ferry Victims' Parents)

  • 박기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34-145
    • /
    • 2015
  • 2014년 4월 16일 전남 진도 인근 관매도 해상에서 침몰한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1주기가 지났다. 총 304명의 희생자와 실종자를 낳은 세월호 참사는 2010년대 이후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참사였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 1주기가 지나도록 유족의 트라우마에 대한 심리적, 커뮤니케이션학적 연구는 전혀 없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자식을 잃은 부모로서 세월호 참사로 인한 극심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고 있는 세월호 유가족의 실태를 조사했다. 연구결과 신체적으로, 심리적으로 세월호 유족의 경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치료에는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미쳤다. 세월호 유족은 대인관계, 직장관계, 거주지, 가치관 등 많은 부분에서 일상적인 생활에 문제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참사로 인한 세월호 유족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막대한 것으로 나타난 만큼 학계에서도 더욱 적극적으로 관련된 논의를 함께해 우리 사회에서 방치된 세월호 유가족의 고통을 치료하는데 나서야 할 것이다.

An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prevalence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associated history and problems in Nepalese subjects

  • Rokaya, Dinesh;Suttagul, Kanokwan;Joshi, Shraddha;Bhattarai, Bishwa Prakash;Shah, Pravin Kumar;Dixit, Shantanu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27-33
    • /
    • 2018
  • Background: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represents a subgroup of painful orofacial disorders involving pain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region, fatigue of the cranio-cervico-facial muscles (especially masticatory muscles), limitation of mandible movement, and the presence of a clicking sound in the TMJ. TMD is associated with multiple factors and systemic diseas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prevalence of TMD in Nepalese subjects for the first time. Methods: A total of 500 medical and dental students (127 men and 373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May 2016 to September 2016. The Fonseca questionnaire was used as a tool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TMD, and Fonseca's Anamnestic Index (FAI) was used to classify the severity of TMD. Results: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with TMD had a history of head trauma, psychological stress, and dental treatment or dental problems. The prevalence of TMD in Nepalese students was mild to moderate.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TMD in Nepalese subjects was mild to moderate. The majority of the study subjects had eyesight problems, history of head trauma, psychological stress, and drinking alcohol and had received dental treatments.

응급실 근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유병률 및 발생 기여 요인 (The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Emergency Room Workers and Factors Contributing to Its Occurrence)

  • 고동률;김건배;이지환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1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at the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occup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developing of PTSD in workers who worked in emergency room in Korea. Methods: This study is a multicenter cross-sectional study that was conducted in three emergency rooms. Data was collected by self-response method through questionnaire. The Impact Event Scale-Revised was used to screen the high-risk group of PTS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ing of high-risk group of PTSD. Results: Total 211 subjec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f these, 170 subjects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event (PTE)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60 subjects classified as high risk group of PTSD, so a prevalence of high risk group for PTSD was 28.4%. Factors related to the high risk group of PTSD were the frequency of psychological trauma events experienced over the past 1 year and the high score of QIDS-SR16.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high risk group for PTSD among emergency room workers in Korea is very high. This may adversely affect the safety of patients, so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are necessary.

아동기 외상과 관계중독 간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Relationship Addiction)

  • 송연주;하문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2호
    • /
    • pp.99-11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개입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아동기 외상과 내면화된 수치심 및 거절민감성을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간주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465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거절민감성 척도, 관계중독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한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동기 외상은 내면화된 수치심에 영향을 미치고 내면화된 수치심은 거절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화된 수치심은 관계중독에, 거절민감성은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 외상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은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나, 아동기 외상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내면화된 수치심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이 매개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아동기 외상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효과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절민감성에 의해 연속적으로 다중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동등성 검증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기에 경험하는 외상이 관계중독에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아동기 외상은 수치심을 내면화시키고 이는 거절민감성을 야기함으로써 관계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언이 제시되었다.

유방암 생존자 부부의 외상 후 성장과 부부적응, 삶의 질 (Posttraumatic Growth, Dyadic Adjustment,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and Their Husbands)

  • 송승희;류은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15-524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ether the couple perceived breast cancer as a traumatic event, to evaluate the association among posttraumatic growth, dyadic adjustment, and quality of life and to explore the predi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the couple. Methods: A cross-sectional comparative survey design was utilized. Participants were 57 couples recruited from a national cancer center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McNemar test and independent t-test. On the basis of variable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simultaneous influence of multiple predictors. Results: Breast cancers survivors and spouses perceived breast cancer as a traumatic event (43.9% and 24.6%, respectively). The global quality of life was explained by perception as trauma (${\beta}$= -19.79) and posttraumatic growth (${\beta}$=0.46) in survivors, and perception as trauma (${\beta}$= -18.81) and dyadic adjustment (${\beta}$=0.53) in spouses.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should use qualitative methods to evaluate why contemplating reasons for cancer contributed to posttraumatic growth, examine other potential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such as dyadic adjustment and intimacy, and identify links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other psychological outcomes such as distress and well-being, using prospective analy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