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5.15.09.134

A Technical Approach to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Sewol Ferry Victims' Parents  

Park, Gi-Muk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CBS노컷뉴스)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t has been 1 year since Sewol Ferry disaster occurred in the Gwanmaedo sea of Jindo, Jeollanamdo, on Apr. 16, 2014. The Sewol Ferry Disaster which took 304 lives and had some victims still missed has become the largest tragic accident in Korea since 2010. Although one year has passed since the disaster, there is no psychological communication research on the trauma of the victims' families.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actual state of the Sewol Ferry victims' parents suffering from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fter their losses of children by the disaster.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victims' families suffer from physical and psychological the PTSD but neglect treatment. The PTSD still influences their daily life. It was observed that the victims' families have a lot of difficultie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lationship with co-workers, residence, values, and other kinds of daily life. Given that the victims' families have a great deal of PTSD after the disaster, the academic circle needs to make discussions of the issue actively in order to heal the pains of the Sewol Ferry victims' families who are unattended in our society.
Keywords
Sewol Ferry Disast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rauma; Disaster News Repor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병섭, 김정인, "기획논문 : 관료 (무)책임성의 재 해석 : 세월호 사고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8권, 제3호, pp.99-20, 2014.
2 배정근, 하은혜, 이미나, "언론인의 외상성 사건 경험과 심리적 외상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5호, pp.417-446, 2014.
3 조윤호, "세월호 '기레기'(기자+쓰레기)를 위한 변명", 미디어오늘, 2014.
4 조옥희, 세월호 실종자 가족들 수색 중단 수용 배경은, 데일리한국, 2014.
5 손승희, "사회적 사건에 의한 청소년의 간접외상 및 관련요인 연구 : 세월호 사건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0호, pp.269-294, 2014.
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Text-Revise, Washington, D.C, 2000.
7 최웅용, 홍종관, 김춘경, 이수연, "대구지하철참사 유가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인지행동적 위기상담의 효과", 상담학연구, 제5권, 제3호, pp.505-518, 2004.
8 이윤수, "'천안함 사건' 유가족의 심리사회적 경험", 한국가족복지, 제43권, pp.87-110, 2014.
9 안류연, 조용래, "연평도 포격 피해 주민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심각도와 심리사회적 위험요인들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제33권, 제4호, pp.875-890, 2014.
10 조은희, "국내신문의 일본 대지진.원전사태 보도특성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1호, pp.117-143, 2012.
11 이소윤, 김희정, "언론보도 프레임을 통한 지방 정부의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분석 : 한라산 국립공원 관리권 환원조치 논란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제16권, 제4호, pp.51-90, 2012
12 박은혜, 김영욱, "언론프레이밍과 이지지 회복 전략이 공중의 위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제38권, 제2호, pp.78-118, 2007.
13 E. Goffman, Frame analysis :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London: Harper and Row, 1974.
14 이민규, 육은희, "세월호 참사 보도 관련 한.미간 비주얼 뉴스 프레임 연구 : 연합뉴스와 AP통신의 보도사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25권, pp.216-254, 2014.
15 Robert M. Entman, "Framing: Towards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on, Vol.43, No.4, pp.51-58, 1993.
16 이소윤, 김희정, "언론보도 프레임을 통한 지방 정부의 위기커뮤니케이션 전략분석 : 한라산 국립공원 관리권 환원조치 논란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제16권, 제4호, pp.51-90, 2012.
17 T. Gitlin, The whole world is watching: Mass media in the making and unmaking of the new lef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18 우형진, "텔레비전 뉴스 시청이 시청자의 건강증진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1권, 제2호, pp.308-334, 2007.
19 백선기, 이옥기, "보도준칙을 통해서 본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18권, pp.7-54, 2012.
20 김은희, 반현, "뉴스 프레임 분석을 통해 본 언론의 위해 식품 보도 태도",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17권, pp.234-257, 2012.
21 박기묵, 김광재, "방송시장의 경쟁구조와 뉴스 콘텐츠 품질 : 종합편성채널과 지상파 영상뉴스 비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제14권, 제12호, pp.706-722, 2014.   DOI
22 박응진, "'과열 취재' 기자들, 학부모.가족에 뭇매", 뉴스1, 2014.
23 B. Cyrulnik, Warum die Liebe Wunden beilt, Weinheim: Beltz, 2006.
24 E. Lindemann, "Symptomatology and management of acute grief," American Psychiatry, Vol.151, No.6, 1944.
25 최광현, "부모상실의 트라우마에 대한 트라우마 가족치료 사례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3-41, 2009.
26 한인영, 장수미, 최정숙, 위기개입, 서울: 나눔의 집, 2008.
27 은헌정, 이선미, 김태형, "일 도시 지역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역학 조사", 신경정신의학, 제40권, 제4호, pp.581-591, 2001.
28 주혜선, 안현의, "외상후 위기 체크리스트 :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7권, 제1호, pp.235-257, 2008.
29 최남희, 유정, "트라우마 내러티브 재구성과 회복효과", 피해자학연구, 제18권, 제1호, pp.285-309, 2010.
30 김종남, 이민수, 신동균, "삼풍 사고 생존자들의 임상양상 및 성격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16권, 제2호, pp.183-195, 1997.
31 B. Hellinger, Der Austausch, Heidelberg: Carl-Auer-Systeme Verlag, 2002.
32 M. Leist, Kinder begegnen denm Tod, Gutersloh, 1979.
33 S. R. Shuchte and S. Zisook, The course of normal grief, pp.24-43, in Handbook of Bereavement: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1993.
34 최현철, 사회과학 통계분석, 서울: 나남,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