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Capital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35초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긍정심리자본이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 박정현;장경애;조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93-199
    • /
    • 2020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 일부 지역 대학교 학생들의 긍정심리 자본이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조사하였다. 주요 변인들과의 관련성 결과 긍정심리 자본의 하위 요인과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능력에서 정적인 상관을 모두 가지고 있어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긍정심리 자본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희망(p<0.01), 회복력(p<0.05)이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긍정심리 자본이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회복력(p<0.001), 자기효능감(p<0.05), 희망(p<0.05)이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긍정심리 자본의 중요성을 확립시키고, 긍정심리자본을 강화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의료조직의 윤리경영과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thical Managemen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ospitals)

  • 이근환;유지영;장영철;신영전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55-171
    • /
    • 2016
  • Background: In this study, state-owned medical institutes, industrial accident hospitals, veteran hospitals, and private medical clinics including 16 university medical institut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causality of ethical managemen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thods: The study analyzed 1,056 valid questionnaires to which a total of 1,325 nurses, medical technicians, doctors, and administrative staff in 34 healthcare organizations answered over two months from June to August 2015. The study also utiliz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 'hierarchical linear model' to conduct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irst found that ethical leadership, ethical management systems, and organizational ethics values, which are the three factors of ethical manage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behavior. These are the three factors of employe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ethical management, ethical leadership, ethical management systems, and organizational ethics valu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resente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thical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employees.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nsisting of self-efficacy, hope, resilience, and optimism was confirmed in the healthcare organizations. Fourth, in relations among ethical management variables, ethical leadership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ethical management systems, which had significant impacts on organizational ethics values, which had significant impacts on ethical leadership.

간호사의 조직몰입도와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Effects of Commitment of Organiz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Nurse on Burnout)

  • 이승희;박주영;이경민;신은혜;박정미;남현아;노성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335-345
    • /
    • 2016
  •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몰입도, 긍정심리자본 및 직무소진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직무만족도 증진을 위해 연구를 시행했다. 연구의 방법은 C도에 소재한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으며 연구자가 직접 대상자를 방문해서 연구 목적과 취지를 설명한 뒤 동의를 서면으로 확인한 후 자기기입식으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 임상 간호사의 조직몰입도와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하부영역으로 보았을 때 조직몰입도의 동일시와 긍정심리자본의 복원력이 특히 유의한 변수였다. 이는 임상 간호사의 직무소진을 낮추기 위해 조직몰입도와 긍정심리자본을 높여야하며 더욱이 조직몰입도를 높이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필요성과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며 임상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을 높이기 위해 간호사조직에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Employees of Social Enterprises)

  • 이용탁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1호
    • /
    • pp.1-16
    • /
    • 2014
  •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성과향상을 위해서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과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에 대한 문제인식에 따라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과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사회적기업의 성공적 경영을 위한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과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부산 울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적기업 79개 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들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은 직무 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도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리적 자본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한 결과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이 조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있어서 직무만족이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기업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이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이벤트업 종사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Mediated effect of job engagement in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event worker)

  • 정하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553-560
    • /
    • 2018
  • 본 연구는 이벤트 종사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직무열의가 매개하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의 이벤트업에 종사하는 20대에서 50대, 남녀 총 394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은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열의를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이직의도를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열의는 이직의도를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열의는 긍정심리자본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벤트 종사원의 이직의도를 낮추고,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한 근무환경 개선과 긍정심리자본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간호학과 신입생의 심리자본이 학습만족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Convergence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 on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freshmen)

  • 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55-64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학습만족에 대한 심리자본의 융합적 영향을 확인하여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164명의 자료를 SPSS 21로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계수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심리자본과 학습만족은 중간 이상의 수준이었고, 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 '희망' 점수가 가장 높았다. 심리자본과 학습만족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r=.665, p<.001),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에서 학교성적(${\beta}=.311$), 학교생활만족도(${\beta}=.191$) 및 심리자본(${\beta}=.522$)이 학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F=37.651, p=.004). 학습만족에 대한 변수들의 설명력은 57.4%이었다. 간호학과 신입생의 학습만족 향상 프로그램 개발 시 이들 영향요인을 반영함이 필요하지만, 일개 대학 간호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시행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다.

유치원 교사의 공감 능력이 긍정심리자본을 통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indergarten Teacher's Empathy Ability on Job Stress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지미선;이신복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240-255
    • /
    • 2021
  • 유치원 교사는 영유아를 밀접하게 옆에서 보육하는 역할을 하며, 교사의 높은 공감 능력은 유아의 감정 및 의견을 존중하는 데 도움을 주며, 다양한 관계를 긍정적으로 이끌어 궁극적으로 자신의 직무만족감 및 자신감이 향상된다고 연구되었으나 관련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공감 능력이 긍정 심리자본을 통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긍정 심리자본 및 공감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이루기 위해 연구 방법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유치원 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각 변수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공감 능력 중 정서적 공감 능력이 긍정 심리자본의 각 요소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 능력 중 인지적 공감능력이 긍정 심리자본의 각 요소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긍정 심리자본 전체와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과 복원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헤어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hair beauty service workers)

  • 이현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77-485
    • /
    • 2022
  • 본 연구는 헤어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긍정심리 자본이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파악하여 헤어미용 서비스 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는 헤어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광주·대구·경북지역 헤어미용 서비스에 종사하는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헤어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긍정심리자본 하위요인 중 희망과 낙관주의는 직무성과와 직무만족 모두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헤어미용 서비스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을 강화하기 위해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을 증진할 수 있는 융합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전략을 마련하여 헤어미용 서비스 분야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소상공인의 학습목표지향성과 업무열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ll Business Enterpreneur's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Work Engagement)

  • 이형우;김만수;김정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51-15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상공인의 학습목표지향성과 업무열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중소기업중앙회 소상공인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소상공인 300명의 설문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및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소상공인의 학습목표지향성은 긍정심리자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상공인의 긍정심리자본은 업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상공인의 긍정심리자본은 학습목표지향성과 업무열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상공인의 학습목표지향성, 긍정심리자본 및 업무열의 증대를 위한 이론적 논의와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Fire officials's Job stress on Wellness : A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강민아;하영미;채여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333-342
    • /
    • 2021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상남도에 근무중인 소방공무원 219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상관계수분석, Sobel 테스트 및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방공무원의 웰니스는 직무스트레스(r=.-49, p<.001), 긍정심리자본(r=.70, p<.001)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는 긍정심리자본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56, p<.001).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웰니스의 연관성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방공무원의 웰니스 증진과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해서 긍정심리자본을 강화하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