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unus persica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초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추출액이 고지혈증 흰쥐의 생체 내 지질성분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Extract on the Lipid Compositions and Enzyme Activities in Hyperlipidemic Rats)

  • 김한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28-336
    • /
    • 2004
  •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의 생리 활성 추출 물질이 생체내 지질 대사 이상 및 각종 질환의 예방과 개선효과 등에 많은 생리적 효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실험동물을 통한 혈청 지질개선 작용과 간 기능 효소의 활성 변동등을 구명하기 위해 Sprague Dawley계 숫 흰쥐에 기본 식이만을 급여한 대조군과 돼지 기름, 콜레스테롤 등으로 유발된 고지혈증 군, 고지혈증을 유발한 군에 돌복숭아 5.0 g% 추출액을 각각 급여하여 5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혈청 총콜레스테롤 농도, 동맥 경화 지수, low density lipoprotein (LDL) 및 LDL-콜레스테롤,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비, 중성지방, 인지질 농도 및 혈당 농도 등에서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하므로서 유의성 있는 농도감소를 나타내었으며, HDL-콜레스테롤 농도 및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는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ST, ALT, LDH 및 ALP활성도 고지혈증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함으로써 유의적으로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돌복숭아의 추출액이 지질 대사이상 등에서 모는 각종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추출액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성 흰쥐의 혈당 및 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Extract on the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Component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한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37-345
    • /
    • 2004
  • Streptozotocin(STZ 55mg/kg., I.P. injection)으로 유발된 당뇨성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에 있어서, 돌복숭아(Prunu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생리활성 추출액(5.0 g% extract)의 급여에 의한 혈당, 혈청지질 개선 효과 및 간 기능 효소의 활성 변화를 생리생화학적 측면에서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본 식이 만을 급여한 대조군을 비롯한 STZ 당뇨 유발군과 당뇨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한 군을 5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혈당 농도는 당뇨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하므로서 유의적으로 저하됨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또한 혈청 총 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LDL, LDL-콜레스테롤,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비, 중성지방, 인지질 농도 등도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한 군에서 농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 -콜레스테롤 비 등은 추출액 급여로 인해 높게 나타났다. 한편, 혈청 AST, 혈청 ALT, LDH 및 ALP 활성은 당뇨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 급여에 의해 저하되는 것 등으로 미루어 보아, 돌복숭아 중의 생리 활성 물질이 혈당 조절 기능 이상, 혈청 지질 대사 이상 및 간 기능 장애 등에서 오는 성인병 예방 차원 및 개선 작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lmond의 종간접목(種間接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Interspecific Grafting of Almond)

  • 박교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7-18
    • /
    • 1979
  • 본(本) 연구(硏究)는 유지자원(油脂資源)과 고급식물성(高級植物性) 및 단백질식품자원(蛋白質食品資源)으로서 중요시(重要視)되고 있고 특히 ice cream, candy roast, chocolate, 제과(製菓)및 화장품안료(花粧品顔料), 조미료등(調味料等)에 널리 쓰이고 있는 Almond의 산지개발(山地開發)로 식품자원(食品資源)을 충족(充足)하고자 우선 이들 clone 육성(育成)을 위(爲)한 접목친화력(接木親和力)이 강한 태목(台木)과 실용적(實用的)인 접목기술(接木技術)을 개발보급(開發普及)하고자 온실내(溫室內)에 온도(溫度)와 습도(濕度)를 완전자동조절(完全自動調節)할 수 있는 온실(溫室)을 만들어서 절접방법(切接方法)을 택(擇)한다음 태목용수종(台木用樹種)은 Prunus persica와 Prunus mandshurica를 사용(使用)하고 접수(接穗)는 Hall's hardy Almond, Nonpareil, Kapareil 및 Thompson을 사용(使用)하여 종간접목(種間接木)을 실시(實施)해서 태목별(台木別) 및 품종별(品種別)로 접목활착율(接木活着率)을 비교분석(比較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Almond는 Prunus persica가 Prunus mandshurica에 비(比)하여 보다 접목친화력(接木親和力)이 강했다. 2. Hall's hardy Almond를 P. persica와 P. mandshurica태목(台木)에 종간접목(種間接木)을 실시(實施)한바 P. persica는 95.33%, P. mandshurica는 92.66%의 접목활착율(接木活着率)을 얻었고 이들 태목간(台木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3. Sweet Almond 품종(品種)들은 Prunus persica 태목(台木)이 Prunus persica 태목(台木)에 접목(接木)하는 것보다 접목친화력(接木親和力)이 강하고 이들 2개수종(個樹種)을 접목(接木)할 경우 태목간(台木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4. Prunus persica 태목(台木)에 접목(接木)된 종간접목묘(種間接木苗)는 Thompson 92.66%, Nonpareil 90.66%, Kapareil 89.33% 순위(順位)의 접목활착율(接木活着率)을 보였다. 5. Prunus mandshurica 태목(台木)에 접목(接木)한 것은 Thompson, 87.66%, Nonpareil 87.00% 그리고 Kapareil 85% 순위(順位)의 접목활착율(接木活着率)을 보였다. 6. 이들 2개수종(個樹種)의 태목(台木)과 3개품종(個品種)의 접수(接穗)와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을 분산분석(分散分析)한 결과(結果)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7. Hall's hardy Almond를 접수(接穗)로하여 Prunus persica를 태목(台木)으로 한 종간접목묘(種間接木苗)의 생장량(生長量)은 평균묘고(平均苗高) 161cm, 근원경(根元莖) 12.3mm 그리고 근장(根長) 21.5cm의 우량묘(優良苗)를 얻을수 있었다. 8. Prunus mandshurica를 태목(台木)으로 한 종간접목묘(種間接木苗)는 Prunus persica보다 6~8일(日) 빨리 접수(接穗)의 동아(冬芽)로부터 개엽(開葉)이 빨르고 또한 본엽(本葉)의 색(色)이 보다 농녹색(濃綠色)을 띠었다. 9. 온수(溫水)보일러와 미스트스프레이에 의한 자동조절장치(自動調節裝置)는 매우 편리하고 접목활착(接木活着)에 미치는 환경요인조정(環境要因調整)에 큰 효과(効果)가 있었다. 10. Almond는 온실내(溫室內)에서 일년생태목(一年生台木)에 절접법(切接法)을 활용(活用)하면 매우 손쉽게 다량(多量)의 우수한 접목묘(接木苗)를 생산(生産)하는데 효과적(効果的)이었다.

  • PDF

당뇨성 흰쥐의 과산화지질 및 Creatine Phosphokinase 활성에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 열수 추출액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unus persica Batch var. davidiana Max. Hot-Water Extract on the Lipid Peroxide and Creatine Phosphokinase Activit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한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2-278
    • /
    • 2005
  •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의 생리활성 추출물질($5.0g\%$ extract)이 streptozotocin (STZ, 55mg/kg B.W., I.P. injection)으로 유발된 당뇨성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지질 및 당질대사 이상에 의해 야기되는 각종 질환의 예방과 개선 효과 등에 많은 생리적 효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본 식이에 물 급여군인 대조군(BW군)을 비롯한 STZ 당뇨 유발 흰쥐에 물 급여군(BSW군)과 당뇨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한 군(BSP군)을5주간실험 사육하였다. 혈청 중의 전해질 농도(Na, K, Cl)는 당뇨 유발군(BSW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BSP군)하므로서 농도가 다소 나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성 있는 농도의 차이는 없었다. 한편 혈청 유리지방산 및 과산화지질 농도, creatine phosphokinase활성 등에서 돌복숭아추출액을 급여하므로서 유의적인 농도와 활성 감소를 나타내었고, 혈청 lecithin cholesterol acyltransferase(LCAT) 활성은 당뇨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 급여에 의하여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돌복숭아 중의 생리활성물질이 STZ으로 유발된 당뇨성 흰쥐의 당질 및 지질대사 이상 등에서 오는 각종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지(桃枝) 메탄올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이 활성산소종, 활성질소종 및 저밀도 지단백의 산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Young Branch of Prunus persica Methanol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s on ROS, RNS and Oxidized Low-Density Lipoprotein)

  • 문진영;박주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9-195
    • /
    • 201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s of the young branch of Prunus persica on scavenging activity of ROS, RNS and inhibiting activity of oxidative modification in human LDL induced by copper ion or free radical generator. The scavenging capacities of the fractions on DPPH radical, superoxide radical, nitric oxide and peroxynitrite were exhibited the highest in ethylacetate fraction, followed by butanol fraction. In the copper-induced LDL oxidative modification system,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revealed in ethylacetate fraction, and butanol fraction exhibited a similar activity. However, solvent fractions of the young branch of Prunus persica showed a relatively low antioxidant activity in the AAPH-mediated LDL oxidation. In addition, ethyl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also inhibited the copper-mediated LDL oxidation in the REM assay, which was comparable to that of the positive controls, including EDTA, ascorbic acid and BHT. Futhermore, a content of total phenolics in these two fraction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fraction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thyl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of the young branch of Prunus persica were useful for the prevention of the free radical- or metal ion-induced oxidative damages.

도화(桃花, Prunus persica Flos)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Flos)

  • 이진영;안봉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3호
    • /
    • pp.162-169
    • /
    • 2010
  • 도화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항염증 효과를 검증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도화의 항산화능 측정으로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도화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 500ppm에서 90.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어, 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BHT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능 측정 결과 도화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 1,000ppm에서 40.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능 측정 결과 도화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 1,000 ppm에서 vitamin C와 유사한 30.0%의 효과를 나타내어, 도화 열수 추출물에 비해 도화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의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항염증 효과 측정으로 hyaluron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열수, 에탄올 및 아세톤 추출물에서 35.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macrophage 세포를 이용한 nitric oxide (NO)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추출물 모든 농도에서 12시간 이후부터 NO 생성량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피부염증 유발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Propionibacterium acnes의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도화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화(Prunus persica Flos) 분획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 (Whitening and Anti-wrinkling Effects of Fractions from Prunus persica Flos)

  • 이진영;안봉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64-370
    • /
    • 2012
  • 본 연구는 도화를 70% 아세톤 추출하여 sephadex LH-20으로 분리한 후 8개의 분획물을 얻을 수 있었다. 미백효과 측정으로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 8의 경우 1,000 ppm에서 92.2%를 나타내었으며, 멜라노마 세포에 의한 tyrosinase 저해활성은 100 ppm에서 63.4%, 멜라닌 생합성은 저해능은 100 ppm에서 71.7%의 효과를 나타내어 분획물 8의 효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주름개선 효과 측정으로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 5, 7이 1,000 ppm에서 각각 71.4, 74.5%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과 collagen 생합성량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 8이 100 ppm에서 80.0% 이상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도화 분획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단피((牧丹皮).도인(桃仁) 배합(配合)이 항염증(抗炎症) 작용(作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Extract of Peonia Suffruticosa and Prunus Percica on Anti-inflammation)

  • 김영일;이성준;허진;이태형;신동근;이재철;신용서;윤용갑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5-120
    • /
    • 2010
  • Paeonia Suffruticosa and Prunus Persica have been used as oriental medicine for removal of fever, alleviation of pain, an anti-phlogistic effect and removal of extravasated blood. However, it has been never shown the effects of these herbal medicines on anti-inflammatory processes.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how how these herbs could act as anti-inflammatory medicines at cellular level. Anti-inflammation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Paeonia Suffruticosa and Prunus Persica as well as their mixture have been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were follows; 1) each extract slightly suppressed the expression and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and enzymes such as NO, iNOS, IL-$1{\beta}$, and TNF-$\alpha$ in lipopolysaccharid(LPS)-stimulated RAW264.7 cells and mouse primary peritoneal macrophage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suppressive effects, however, were synergistically increased by their mixture. 2) Each extract of Paeonia Suffruticosa and Prunus Persica insignificantly suppressed the activation and activity of NF-${\kappa}B$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which controls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O, iNOS, IL-$1{\beta}$, and TNF-$\alpha$. However, extract mixture of Paeonia Suffruticosa and Prunus Persica suppressed effectively the activation and activity of NF-${\kappa}B$. 3) Each of Paeonia Suffruticosa and Prunus Persica induced translocation of NF-${\kappa}B$ to the nucleus from the cytosol and DNA-binding activity of nuclear NF-${\kappa}B$ in LPS-activated RAW264.7 cells. The extract mixture of Paeonia Suffruticosa and Prunus Persica showed more significant suppression of the NF-${\kappa}B$ translocation and its DNA-binding activity, as compared to those of the each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 mixture of Paeonia Suffruticosa and Prunus Persica may affect different control mechanisms for NF-${\kappa}B$ activation and the expression and production of NF-${\kappa}B$-dependent inflammatory mediators, indicating that this extract mixture may be useful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유리지방산, Creatine Phosphokinase 및 LCAT 활성에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추출액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Extract on the Free Fatty Acid, Creatine Phosphokinase and LCAT Activities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 김한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5-271
    • /
    • 2005
  • 식이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Sprague Dawley계 숫 흰쥐를 사용하여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생리활성물질 추출액을 급여하므로서, 혈청 유리지방산, creatine phosphokinase 및 lecithin cholesterol acyltrasferase(LCAT) 활성 등 생체 내 지질 대사 이상 및 혈청 지질 개선 효과를 생리생화학적 측면에서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본 식이에 물 급여군인 대조군(BW군)과 돼지기름, 콜레스테롤 등에 의한 고콜레스테롤 유발 식이에 물 급여군(BCW군),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식이에 돌복숭아 $5.0 g\%$ 추출액을 급여한 군(BCP군)을 5주간 실험 사육하였다. 혈청 중 전해질 농도(Na, K, Cl)는 고콜레스테롤혈증 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하므로서 농도가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전해질 농도의 저하효과는 유의성 있게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 중 유리지방산, 과산화지질 농도 및 creatine phosphokinase 활성 등은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한 군에서 농도와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혈청 LCAT 활성은 고콜레스테롤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 급여에 의해 증가되는 것 등으로 미루어 보아, 돌복숭아 중의 생리활성물질이 식이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 대한 혈청 지질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Leaf Growth of Seven Fruit Trees in Response to Different Lights for Garden Tree

  • Nam, Yu Kyeong;Lee, Jin Hee;Kwon, O Ma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875-881
    • /
    • 2018
  • To select fruit trees suitable for shaded urban garden with Elaeagnus umbellata var. coreana, Malus domestica 'Alps Otome', Malus domestica 'Fujii', Prunus mume, Prunus persica for. persica, Rubus fructicosus, and Vaccinium corymbosum 'Reka', leaf growth in response to different light was investigated two years after 35% shade treatment. Leaf area of E. umbellata var. coreana, M. domestica 'Alps Otome', P. mume, P. persica for. persica, and V. corymbosum 'Reka' increased in shading. Fresh weight of leaves make inconsistent response to shading in every species but dry weight of E. umbellata var. coreana and P. persica for. persica showed the highest 150% and 148%, increment, respectively. Althought leaf water content of E. umbellata var. coreana decreased in shading, there is no difference in P. persica for. persica. Chlorophyll value of E. umbellata var. coreana and P. persica for. persica that showed higher than any other species is correlated with dark leaf green. Compared to specific leaf weight of E. umbellata var. coreana, P. persica for. persica, and V. corymbosum 'Reka' showed lower than any other species in shading, that of M. domestica 'Fujii', and R. fructicosus increased in rever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 umbellata var. coreana and P. persica for. persica that showed high value in several invesetigaton items are suitable for shady urban condition considering leaf growth in response to sh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