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6초

3지역에서 채집한 유충을 우화시킨 후 사육시 흰점박이꽃무지의 산란 변화 (Differences in Oviposition Characteristics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After Emergence as Adults from the Larvae Sourced from Three Regions)

  • 최인학;최성업;정태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935-938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viposition characteristics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after emergence as adults from the larva collected from three regions in Gangwon-do, Chungcheongnam-do, and Jeju-do. The laying egg method was identified with zone breeding, and the average and cumulative number of eggs laid were measured once a week for seven weeks. The average number of eggs laid peaked until 4 weeks, and subsequently decreased. The source areas with respect to average number and cumulative number of eggs laid were in the order of Jeju > Chungnam > Gangwon. In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a method for continuously improving management and economic feasibility of insect farming by securing genetic diversity, and raising the most productive breeds to select individuals form regions associated with high numbers of laid eggs.

흰점박이꽃무지 사육 환경에 따른 곤충 병원성 곰팡이 Metarhizium anisopliae의 병원성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Fungus, Metarhizium anisopliae in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under Different Rearing Conditions)

  • 김낭희;김은선;송명하;곽규원;박관호;김용순
    • 생태와환경
    • /
    • 제53권1호
    • /
    • pp.73-79
    • /
    • 2020
  • Metarhizium anisopliae (녹강균)는 흰점박이꽃무지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곤충 병원성 곰팡이 중 하나이다. 이러한 곰팡이의 병원성은 환경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녹강균에 대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민감성을 알기 위해 온도(20℃, 25℃, 30℃), 상대습도(RH 40%, 50%, 60%, 70%), 톱밥 수분함량(40%, 50%, 60%)이 다른 사육 조건에서 유충의 치사율을 확인하였다. 녹강균을 처리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치사율은 온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낮은 상대습도(RH 40%)와 톱밥 수분함량(40%)에서 유충의 치사율이 높았다. 녹강균에 대한 1령, 2령, 3령 유충의 치사율은 1령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emulsions prepared from the larvae of the edible insects Tenebrio molitor, Allomyrina dichotoma, and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 Kim, Tae-Kyung;Yong, Hae In;Jung, Samooel;Sung, Jung-Min;Jang, Hae Won;Choi, Yun-Sa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2호
    • /
    • pp.417-425
    • /
    • 2021
  • The use of edible insects to replace meat protein is important to ensure future global food security. However, processed foods using edible insects require development to enhance consumer perception. Here, we examin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emulsions prepared from different edible insect larvae. Three edible insect species (Tenebrio molitor, Allomyrina dichotoma and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were used to prepare larval emulsions that were formulated with 65% of insect larvae, 20% of pork back fat, and 15% ice. The A. dichotoma emulsion had the highest pH and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values, while the T. molitor emulsion had the lowest pH and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values. The T. molitor emulsion had the highest hardness, gumminess, chewiness, and apparent viscosity values but the lowest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values. According to the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analysis, T. molitor had the thickest bands, followed by P. brevitarsis seulensis.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istributions for the T. molitor and A. dichotoma emulsions showed one peak, while that of the P. brevitarsis seulensis emulsion had two peaks. The collective results suggest that T. molitor was the most suitable candidate (of the three tested species) for use as a meat replacement in terms of its physicochem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It is important that such properties of insect-based emulsions are maintained using various technologies.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혈구세포에 대한 형태학적 특성 (Ultrastructure Characterization of Hemcytes in Larvae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 조세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15-221
    • /
    • 2016
  • 본 연구는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Colbe) (Cetoniidae, Coleoptera) 유충의 혈림프에 존재하는 혈구세포들의 형태학적 특성분석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혈강 내에는 과립혈구세포, 세포질혈구세포, 편도혈구세포, 구상적혈구세포, 전혈구세포, 지방혈구세포 총 여섯 종류의 혈구세포들이 관찰 되었다. 그 중 과립혈구세포는 핵, 미토콘드리아, 골지체를 포함하여 잘 발달된 세포소기관들이 관찰 되었고 외래물질 침입시 면역학적 식균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과립혈구세포의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리소좀(<$1{\mu}m$ 직경)들이 세포막 주변으로 분포되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균된 외래물질은 다양한 크기의 리소좀들과 서로 합쳐지면서 외래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외 다섯 종의 혈구세포들은 외래물질 침입시 면역학적 활성화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추출물의 RAW264.7 세포 활성화에서 TLR4-JNK/NF-κB 신호전달 경로의 관여 (Involvement of TLR4-JNK/NF-κB signaling pathway in RAW264.7 cell activation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extracts)

  • 박주휘;채종범;이준하;한동엽;남주옥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447-454
    • /
    • 2023
  • 인간이 살아가는 환경에는 인체에 침입하여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것을 방해하는 다양한 항원들이 존재하며, 면역 체계는 복잡한 기전을 통하여 이를 인식하고 제거한다. 대식세포는 선천 면역체계에 관연하는 면역세포로 체내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로 유도된 산화질소, cyclooxygenase-2로 유도된 prostaglandin E2 그리고 tumor necrosis factor-alpha 등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같은 다양한 면역 조절 물질을 생산한다. 흰점박이꽃무지유충은 미래 식량 수급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한 식용 곤충의 일종으로, 기존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 및 nuclear factor-kappa B (NF-κB) 신호전달 경로를 경유하는 RAW264.7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통한 면역 조절 효과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RAW264.7 세포에서 흰점박이꽃무지유충 추출물에 의해 유도된 면역 조절 물질의 발현이 toll-like receptor 4,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 및 nuclear factor-kappa B 신호전달 경로의 약리학적 억제제에 의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흰점박이꽃무지유충 처리에 의해 증가된 면역 조절 물질의 발현이 c-Jun N-terminal kinase (JNK) 억제제 및 NF-κB 억제제 처리에 의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toll-like receptor 4(TLR4) 억제제 처리에 의해서는 흰점박이꽃무지유충 추출물 처리에 의해 증가된 면역 조절 물질의 발현과 JNK 및 NF-κB의 인산화 감소를 확인하였다. 우리의 이러한 연구는 흰점박이꽃무지유충이 TLR4-JNK/NF-κB 신호전달의 관여에 의해 RAW264.7 세포를 활성화하는 것을 시사한다.

사료 발효원으로 느타리버섯 종균이 흰점박이꽃무지 생육에 미치는 영향 (Role of oyster mushroom as an alternative fermentation source in the growth of white-spotted flower chafer(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 김미혜;박장우;김미정;박정준
    • 환경생물
    • /
    • 제39권4호
    • /
    • pp.471-478
    • /
    • 2021
  •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유충의 대체사료인 한약재 부산물 발효원인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 EM)과 느타리버섯 종균(Oyster mushroom fungi, OM)을 비교하였다. 각 발효된 사료의 영양성분을 비교한 결과, 조회분을 제외한 조단백, 조지방, 조섬유 함량이 OM 발효사료에서 높게 나타났다. 각 발효된 사료로 사육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영양성분을 비교한 결과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각 발효사료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생체중을 주별 비교 분석한 결과, 3주차 관찰시기부터 EM과 OM을 이용한 사료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평균중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유충 사육 시 생존율은 발효사료의 경우 동일하게 96.7%이나, 비발효사료의 경우 9.8%로 매우 낮았다. 본 실험결과, 흰점박이꽃무지의 생육에 먹이 원의 발효는 꼭 필요했으며, OM은 EM을 대체할 수 있는 흰점박이꽃무지 대체사료의 발효원으로 더 안정적이었다.

Development of the Insect Smart Farm System for Controlling the Environment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 Rho, Si-Young;Won, Jin-Ho;Lee, Jae-Su;Baek, Jeong-Hyun;Lee, Hyun-Dong;Kwak, Kang-S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135-141
    • /
    • 2019
  • 이 연구는 식품원료로 등록되고 건강기능성 효능이 널리 알려지면서 생산과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환경 제어를 위한 식용곤충 스마트팜 공조시스템을 설계하여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제안된 곤충 스마트팜 공조 시스템은 사육실과 공조실을 구분하여 사육에 최적화된 환경을 공조실에서 만들어 사육실로 보급하는 시스템으로 기존 곤충 사육농가에서 냉난방기, 가습기 등을 통한 환경 제어를 할 때 사육실 내 부분별로 온도 및 습도 등이 매우 상이하여 식용곤충을 판매할 때 균일한 크기 및 무게의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생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의 해결책으로 제시될 수 있다. 곤충 스마트팜 공조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곤충농가의 환경제어에 비해 온도의 차를 6℃, 습도의 차를 24.7%를 감소할 수 있으며 사육실 내 부분별로 온·습도가 다른 점을 개선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사육 최적 환경을 계절에 상관없이 상시 제공함으로써 연중 생산을 통한 생산량 증대와 곤충 사육농가의 소득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안된 곤충스마트팜 공조시스템은 설정된 최적 온도, 습도 및 CO2를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갈색거저리 등 기타 식용곤충의 사육 및 버섯류의 생육에 필요한 환경제어 시스템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흰점박이꽃무지로부터 Metarhizium속 사상균의 분리 및 ribosomal DNA 염기서열에 의한 동정 (Identification of Metarhizium sp. Isolated from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Kolbe) Using Ribosomal DNA Sequence)

  • 최지영;김철학;제연호;최영철;김종길;박규택;김근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5-70
    • /
    • 2003
  • 곤충자원의 대량사육을 위한 병 발생 예방과 해충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흰점박이꽃무지 이병충으로부터 곤충병원 사상균을 분리하였다.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분리균주 KMA-1은 Metharizium속의 전형적인 쇠사슬형의 분생자를 paliside-like masse에 형성하였다. 따라서,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28S rRNA와 ITS염기 서열을 바탕으로 제작한 특이 프라이머쌍을 사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프라이머쌍을 사용한 PCR반응으로부터 특이 밴드가 검출되었으며 이 증폭 산물들의 염기 서열을 결정, 비교하였다. 분리 균주 KMA-1의 PCR산물인 28S rRNA와 ITS DNA염기서열을 GenBank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염기서열 정보와의 상동성을 검색한 결과, 모두 Metarhizium anisopliae와 가장 높은 서열 상동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본 실험에서 분리 명명된 KMA-1는 M. anisopliae로 동정되었다.

대체 먹이원으로 한약재 부산물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al medicine by-products on the larval growth of white-spotted flower chafer(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 김미혜;박장우;김미정;박정준
    • 환경생물
    • /
    • 제37권1호
    • /
    • pp.60-6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 부산물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먹이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영양성분 함량, 중금속 함량, 유충의 생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먹이원의 영양성분을 비교한 결과, 조섬유를 제외한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함량이 미발효, 발효조건 한약재 부산물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조단백질의 함량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먹이원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약재 부산물의 카드뮴, 납, 수은 등의 중금속 분석 결과, 모두 불검출로 먹이원으로써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먹이원에 따른 생육 비교에서는 참나무 발효톱밥을 급이한 대조구와 한약재 부산물을 급이한 실험구는 1~3주차까지 큰 차이가 없다가 4주차 유충의 중량이 대조구는 0.137 g, 실험구는 0.671 g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기 시작했다. 한약재 부산물 첨가별 급이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중량을 비교한 결과 7주차에서 HMB40이 가장 높은 중량을 보였다. 통계분석 결과 5주차의 HMB40, HMB80의 각각의 중량과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식용곤충의 출하시기를 3령 유충으로 보았을 때 5주차에 이미 출하시점에 도달했음을 의미하며, 이는 HMB40, HMB80 조건의 급이가 가장 효율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서 이용된 제조의 기원(起源)에 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The Liteatual Study on the Origin of $Q\'{\i}C\'{a}o$ applied to ${\ulcorner}$Dongyi Suse Bowon${\lrcorner}$ of Korea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권승만;김일환;박혜선;김효수;임치혜;초재승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2-29
    • /
    • 2006
  • 1. Objectives and Methods The original insect of $Q\'{\i}C\'{a}o$ is described as the larvae of Holotrichia diomphalia Bates (Scarabaeidae) in oriental medicine literatures. Traditionally $Q\'{\i}C\'{a}o$ inhabit on rotting wood, compost, and organic debris of soil or thatched roofs. They have the very important distinguishing mark that wriggle along on their back through rotting wood, compost etc. and they never do inflict the living crops. but, Holotrichia diomphalia Bates as the $Q\'{\i}C\'{a}o$ is not right because of many questions, such as Holotrichia are the harmful insects eat into farm products, and those don't match well with korean farmers' moods if their cultivated lands are turned over for collecting $Q\'{\i}C\'{a}o$ larvae, and especially they don't go on using their back. 2. Results and Conclusions Accordingly, in the conclusion of this subject it is reported that the original insect of $Q\'{\i}C\'{a}o$ is the larvae of Korean Cetoniidae(Coleoptera; Scarabaeoidea) insects including Genus Protaetia Burmeister(Protaetia orientalis submarmorea Burmeister, P.brevitarsis seulensis Kolbe, etc.) and the larvae of Korean Cetoniinae insects. Also, those were the original larvae of $Q\'{\i}C\'{a}o$ that were applied to not only 'DongEuiBoGam' but also 'Dongyi Suse Bowon prescriptions'. Those feed on rotting wood, compost, and organic debris of soil or thatched roof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