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6초

예비수학교사들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의 개발 (Secondary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Development of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ubject-Specific, Technology - Integrated Teacher Preparation Program)

  • ;이광호;채정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95-227
    • /
    • 2009
  • 이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통합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예비교사들이 TPCK 개발을 그리고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학생들을 가르치는 동안 어떻게 그들이 실제교실에서 성공적이었는가를 묘사하였다. 다양한 자료들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는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결국, 이 연구에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예비교사들이 TPCK를 이해하도록 돕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 TPCK의 네 가지 요인에 의해 설명되어지는 예비교사들의 이해로 전이되었다. 하지만 신념, 교수, 테크놀로지 배경 다양성은 프로그램을 통하여 TPCK의 그들의 이해와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 PDF

예비 수학 교사의 교사 담화에 대한 인식 분석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 of Teacher Discourse)

  • 이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65-49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권위적 및 대화적 담화 사례의 교사 담화 평가에서 드러난 예비 수학 교사들의 인식을 질적 내용 분석으로 탐색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사의 일방적 설명이나 학생 대답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않는 폐쇄적 발화에 비판적이었으며, 학생의 이유를 탐색하는 질문과 오답에 대한 개방적 태도를 지지했다는 측면에서 표면적으로 대화적 담화를 지향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사가 대부분의 인지활동을 대행하는 테스트 질문에 무비판적이었고, 학생들에게 제기된 답에 대한 수학적 판단 기회를 부여하여 대화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교사 발문에 대해 심리적 저항을 보였다는 점에서, 예비교사들의 심층적인 권위적 담화 지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보고한 교사교육 입문 초기 예비교사들의 담화인식은, 교실 담화에 대한 교사 전문성 교육 과정 설계에 유용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소양 : 표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in Understanding of Sample)

  • 탁병주;구나영;강현영;이경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1호
    • /
    • pp.19-39
    • /
    • 2017
  • Taking samples of data and using samples to make inferences about unknown populations are at the core of statistical investigations. So,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ample as statistical thinking is involved in the area of statistical literacy, since the process of a statistical investigation can turn out to be totally useless if we don't appreciate the part sampling plays. However, the conception of sampling is a scheme of interrelated ideas entailing many statistical notions such as repeatability, representativeness, randomness, variability, and distribution. This complexity makes many people,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reason about statistical inference relying on their incorrect intuitions without understanding sample comprehensively. Some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concept of a sample is understood by not only students but also teachers or preservice teachers, but we want to identify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sample as the statistical literacy by a qualitative analysis. We designed four items which asked preservice teachers to write their understanding for sampling tasks including representativeness and variability. Then, we categorized the similar responses and compared these categories with Watson's statistical literacy hierarchy. As a result, many preservice teachers turned out to be lie in the low level of statistical literacy as they ignore contexts and critical thinking, expecially about sampling variability rather than sample representativeness. Moreover, the experience of taking statistics courses in university did not seem to make a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their statistical literacy.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statistics education.

예비초등교사의 덧셈과 뺄셈에 관한 교수학적 지식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addition and subtraction)

  • 이종욱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4호
    • /
    • pp.447-46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의 덧셈과 뺄셈에 대한 교수학적 지식이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29명의 예비초등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개방형 답을 하는 질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초등교사들은 결과를 구하는 덧셈이나 뺄셈식을 문장제로 표현하는 것에는 능숙하였으나 감수나 가수를 구하는 식을 문장제로 표현하는 것에는 의미론적 구성에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또한 합병과 비교의 상황과 같이 두 집합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매우 부족함을 보여주었다. 교수학적 방법으로는 알고리즘에 의한 절차적 지식을 주로 가지고 있었으며 각 지식들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개념적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은 초등교사 양성 대학의 수학과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될 것이다.

  • PDF

초등예비교사의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 비율 수업을 중심으로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Curricular Noticing: Focusing on the Lesson Planning for Rate)

  • 조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2호
    • /
    • pp.83-102
    • /
    • 2021
  •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은 교사가 교육과정 자료에 내재된 내용과 교수학적 기회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에서 교육과정 자료의 어떤 측면에 관심을 기울이고 그것에 관해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따라 교육과정의 실행 모습이 달라지기 때문에, 예비교사교육에서는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의 과정 중 관심을 기울이고 해석하는 과정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가 비율 수업을 설계하기 위하여 교육과정 자료를 활용할 때 관심을 기울이는 대상을 찾고, 그것에 관해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른 논의를 통해 초등예비교사의 수업 설계 역량 신장을 위해 예비교사교육에서 교육과정에 관한 노티싱을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초등수학에 대향 예비교사들의 이해: 분수의 곱셈을 중심으로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Elementary Mathematics: Focused on Multiplication with Fractions)

  • 오영열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6권3호
    • /
    • pp.267-281
    • /
    • 2004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초등수학에 대한 전문성을 기르는데 필수적인 요인으로써 초등수학에 대한 이들의 이해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분수의 곱셈에 대한 계산, 의미 파악, 문제 상황 제시 및 표상의 측면에서 현재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다수의 초등예비교사들은 분수의 곱셈에 대한 계산에는 거의 어려움이 없었으나, 의미파악과 문제 상황 제시에 있어서는 동수누가의 원리가 적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분수의 곱셈을 그림을 이용하여 표현하는데 있어서도 대다수의 경우 동수누가의 원리가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경우인 승수가 자연수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절한 방식으로 표현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진정한 교직의 전문성은 수업에 대한 전문성에서 비롯되며, 이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초등수학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할 때 비로소 수업관행의 근본적인 변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실에서의 수학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초등수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 PDF

Preservice Teachers' Changing Perceptions of Technology Infusion - The Impact of Web-based Instruc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 Lin, Cheng-Ya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0권4호
    • /
    • pp.239-258
    • /
    • 2006
  •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bout their intent to use computers and Internet resources in mathematics classrooms. Also, web-based instruction on topic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was used to foster teachers' confidence and competence in using instructional technology, thereby promot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use of computers and Internet resources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web-based instructions exhibited a significantly (p < 0.05) better attitude toward using computers and web-based resources in teaching mathematics than did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 PDF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bout Integ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Mathematics Education: A Scale Development Study

  • Sunghwan Hwa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333-349
    • /
    • 2023
  • Recently, AI has become a crucial tool in mathematics education due to advances in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AI, examining teachers' beliefs about AI in mathematics education (AIME) is crucial, as these beliefs affect their instruction and student learning experiences.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 scale to measure preservice teachers' (PST) beliefs about AIME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igorou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es. The study analyzed 202 PST's data and developed a scale comprising three factors and 11 items. The first factor gauges PSTs' beliefs regarding their roles in using AI for mathematics education (4 items), the second factor assesses PSTs' beliefs about using AI for mathematics teaching (3 items), and the third factor explores PSTs' beliefs about AI for mathematics learning (4 items). Moreover, the outcom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ffirm that the three-factor model outperforms other models (a one-factor or a two-factor model). These findings are in line with previous scales examining mathematics teacher beliefs, reinforcing the notion that such beliefs are multifaceted and developed through diverse experiences. Descriptive analysis reveals that overall PSTs exhibit positive beliefs about AIME. However, they show relatively lower levels of beliefs about their roles in using AI for mathematics education.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초등 수학 수업의 이해를 위한 관찰과 분석 (Observation and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discourse)

  • 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3호
    • /
    • pp.435-461
    • /
    • 2002
  • In this paper I attempt to survey on the theories of observation and analysis of mathematics classroom discourse. In order to discuss applicability of the theories I look at preservice teachers' observation of mathe-matics classroom and teachers' conception of mathematics lesson. In examining reports from preservice teachers' I identify how they understand mathematics lesson and how the theories can enhance their understanding. Not surprisingly, there are lots of obstacles for teachers to practice mathe-matics educational theories. 1 find some features of their efforts or attempts to overcome the obstacles in an attempt to gain insights into alternative ways of concep-tualizing the methods of observation and analysis through the interview and the discussion with teachers.

  • PDF

What Constitutes a Good Mathematics Lesson?: A Narrative Inquiry into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Good Mathematics Lessons

  • Han, Jaepil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135-147
    • /
    • 2020
  • What constitutes a good mathematics lesson plan? In their teacher education program, preservice teachers (PSTs) are trained for planning mathematics instruction but often have difficulty in evaluating existing lesson plans and creating their own lesson plans. The purpose of this narrative inquiry is to understand PSTs' experiences of evaluating or designing mathematics lessons that they perceive as being good. The narratives of three PSTs who pursue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ing certification will inform us not only of their perceptions of a good mathematics lesson and lesson plan but also their process of finding the one that exists or creating their 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