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Elementary Mathematics: Focused on Multiplication with Fractions

초등수학에 대향 예비교사들의 이해: 분수의 곱셈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about multiplication of fractions by focusing on their computation abilities, understanding of meanings, generating appropriate problem contexts and representations. A total of 115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mos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ve little difficulty in computing multiplication of fractions for right answers, but they have big difficulty in understanding meanings and generating appropriate problem contexts for multiplication of fractions when the multiplier is not an integer, called 'multiplier effect.' Likewise, the rate of appropriate representations surprisingly decreased for multiplication of fractions when the multiplier is not an integer. The findings also point out that an ability to make problem contexts is highly correlated with representations and meanings. This study implies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to improv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rofound understanding of elementary mathematics in order to fundamentally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practices in classrooms.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초등수학에 대한 전문성을 기르는데 필수적인 요인으로써 초등수학에 대한 이들의 이해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분수의 곱셈에 대한 계산, 의미 파악, 문제 상황 제시 및 표상의 측면에서 현재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다수의 초등예비교사들은 분수의 곱셈에 대한 계산에는 거의 어려움이 없었으나, 의미파악과 문제 상황 제시에 있어서는 동수누가의 원리가 적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분수의 곱셈을 그림을 이용하여 표현하는데 있어서도 대다수의 경우 동수누가의 원리가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경우인 승수가 자연수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절한 방식으로 표현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진정한 교직의 전문성은 수업에 대한 전문성에서 비롯되며, 이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초등수학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할 때 비로소 수업관행의 근본적인 변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실에서의 수학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초등수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