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검색결과 1,069건 처리시간 0.026초

수해양계 예비교사의 수업시연을 위한 수업컨설팅 수업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 Model for Teaching Demonstration of Pre-service Fisheries and Marine School Teachers through Class Consulting)

  • 강버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847-85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ing model to improve teaching demonstration competence of pre-service Fisheries and Marine teachers through class consult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 survey on perception of 19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at most of them did not know exactly about the teaching demonstration. Second, a teaching model through class consulting was developed in four stages: Preparation for class, doing lesson, watching lesson, reflecting class. Third, the developed lessons model was applied for 6 weeks, but it was hard to expect much change just for 6 weeks. If discussions about the content of the lesson plan are haven during prior class consulting, this will be helpful for pre-service teachers in making the real teaching plan. The class performer have to write a report on class analys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try systematic analysis on teaching demonstration.

예비 교사의 스캐폴딩을 강조한 기후 변화 환경 캠프의 효과 분석 (Effects of Pre-service Teacher's Scaffolding in Environmental Camp about Climate Change)

  • 주은정;이정아;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1호
    • /
    • pp.82-9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cess and the effect of pre-service teacher's scaffolding in environmental camp program about global climate change. For this study, developed the environmental camp program based pre-service teacher's scaffolding and applied to 78 $5^{th}$ students. We analyzed the role of pre-service teacher in the process of scaffolding. In the result, the pre-service teachers conducted cognitive scaffolding like as "Focus", "Hint", "Tell or Summarize" and "Technical Help". They carried out the emotional scaffolding like as "Create Cheerful Atmosphere", "Encourage", and "Help in Living". Teaching and learning about global climate change, the theme of the camp, was regarded uncertain and complex. So, pre-service teacher's scaffolding was effective to promote environmental literacy about climate change of primary students (<0.05). The student teachers understand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through emotionally close relationships. The primary students were learned easier about global climate change through cognitive and emotional scaffolding. They experienced environmental practice with communal living in camp.

스마트 교육 도입 및 활용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과 태도 (Perception and Attitud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about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Smart Education)

  • 이영주;길효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13-2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교육 도입 및 활용에 대한 예비 유아 교사의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J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 교사 262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지와 포커스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유아 교사는 대부분 스마트 폰을 사용하며, 하루 2시간 이상을 통화하는 용도이외로 사용하였다. 용도는 주로 메신저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스마트 교육의 도입 및 활용에 대한 태도는 개인적 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수업에서의 기기 활용 경험, 발달에 대한 영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포커스 면접을 통하여. 예비 유아 교사의 스마트 교육 도입 및 활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2개의 주제, 4개 영역, 18개의 의미 범주가 나타났다.

수학교육적 가치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Comparison of the Mathematics Educational Values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임민재;조수윤;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77-29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육적 가치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의 인식을 확인하고 비교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주성분 분석(PCA)을 실시하여 요인 6개를 도출하였다. 이 요인은 체계적인 라벨링 과정을 거쳐 6가지 수학교육적 가치 즉 '재미', '문제 해결', '표현', '계산', '능력', '설명'으로 명명되었다.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 모두 '문제 해결'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이 요인에 대해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설명'을 제외한 모든 수학교육적 가치에 대해 1학년 예비 초등교사, 4학년 예비 초등교사, 현직 초등교사 순으로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예비 초등교사와 현직 초등교사 사이에 각 가치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서 수학교육적 가치의 구현과 관련하여 더 중요하고 의미 있게 다뤄야 할 것이 무엇인지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예비 및 현직 초등교사의 STS 상호작용에 대한 신념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의 Beliefs about 575 Interactions)

  • 서승조;조태호;백남권;박강은;김성규;신명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0권2호
    • /
    • pp.255-27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STS (Science-Technology-Society), by investigating their opinions on STS interactions. 222 of the seniors in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namel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85 of the active teachers in Kyung-Nam Province were selected as the objects for researching these matters. Their beliefs about STS interactions were examined.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a percentage as an examining tool of TBA-STS(Teachers' Beliefs about Science-Technology-Socie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n the nature of science, most of them showed simple opinions. On the nature of technology, most of them also showed simple opinions. most of them recognized the interactions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ffirmatively. They showed simple opinions on the interactions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In fact, they didn't recognize the interactions between science and society, but they knew the influence of technology on society relatively concretely. Second, if one consider the cognitive situation or the distributing route of STS, he can easily find that most teachers never or little know it. At present, pre-service teachers learn STS from the lectures in their universities, and in-service teachers get information about it from science magazines/newspapers and training.

  • PDF

예비보육교사의 행동특성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on Self-Efficacy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설희정;문혁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6호
    • /
    • pp.113-123
    • /
    • 2013
  • This investigation studied 1)the correlations among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and 2)the mediating effects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on self-efficacy. The subjects were 240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S-center for nursery teacher education or I-center for nursery teacher education in the Incheon a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s among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were examined by showing correlations. Second, we found that in terms of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type D and type S show self-efficacy; they also have a direct impact on the social support indirectly affected through. Thus, social support can be seen as hav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

초등 예비 교사의 구성주의적 과학 평가관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 윤지현;강석진;노태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1호
    • /
    • pp.86-92
    • /
    • 2010
  • Although constructivist assessment has been emphasized by many science educators,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still not familiar with th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this problem, we examined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the views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and the perception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ported previously. The results of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views on constructivis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perception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 PDF

야외지질학습에서 '생소한 경험 공간(Novelty Space)'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와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Exploring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about 'Novelty Space' in Learning in Geological Field Trip)

  • 최윤성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46
    • /
    • 2022
  • 이 연구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생소한 경험 공간(Novelty Space)에 대한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A 교육대학교의 초등 예비교사 38명과 B 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31명의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 중 추가적인 면담 참여에 동의한 초등 예비교사 3명과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9명, 총 12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면담을 실시하였다. 생소한 경험 공간에 대한 요소를 사전 지식(인지), 사전야외학습 경험(심리), 야외조사지역과의 친숙도(지리)에 덧붙여, 사회적인(social) 요소과 기술적인(technical) 요소를 추가하였다. 초등과 중등, 학년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생소한 경험 공간의 요소에 대해 인지적 영역, 심리적 영역, 지리적 영역, 사회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통계적인 차이는 야외학습과 관련된 경험이나 자본이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초등 예비교사들보다 더 많은 것으로부터 비롯되었을지도 모른다고 해석하였다. 반-구조화된 면담에서 초등 예비교사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모두 가상야외지질학습의 가치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특히 기술적인 영역에서의 역량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야외지질학습을 실행하기 위한 생소한 경험 공간에 대해 현재의 교육 맥락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새롭게 정의할 필요성을 제안할 뿐만 아니라 생소한 경험 공간 요소들을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를 갖는다.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이 겪은 어려움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ifficulties in the 'Inquiry Mentoring' Program)

  • 이봉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300-1311
    • /
    • 2013
  •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탐구지도능력 향상을 위해 개발된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가한 예비 과학교사들이 겪은 어려움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예비 과학교사들이 고등학생들의 탐구를 지도하는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은 2.5개월 동안 적용되었는데, 45명의 예비 과학교사가 참여하여 고등학생 44명의 탐구를 지도하였다. '탐구 멘토링' 과정 동안 예비 과학교사들은 멘토 일지를 작성하였고, '탐구 멘토링'이 끝난 이후에 멘토링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또한 멘토링 과정 중과 멘토링이 모두 끝난 이후에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 과학교사들이 겪은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학생들에 의한 어려움인 '멘티' 요인보다 자신들의 부족함에 의한 어려움인 '멘토' 요인이 더 컸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멘토' 요인인 인지적 능력의 부족, 탐구 능력의 부족, 지도 능력의 부족 등에서 고르게 자신의 부족함을 인지하고 있었다. 셋째, '멘티' 요인에 의한 어려움에서는 학생들의 차이, 적극성 및 열의의 부족 등에 의하여 어려웠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상호작용' 요인에 의한 어려움에서는 물리적인 거리에 의한 어려움이 많았고, 감정적인 거리에 의한 어려움도 많이 제시되었다. 또한 지도의 범위를 선정하기 어려웠다는 의견과 온라인 상호작용에 의한 어려움도 제시되었다. 다섯째, '환경'요인으로 학생들의 탐구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지원체제에 대한 아쉬움이 많이 표현되었다. 아울러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한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Examining the Phenomenon of Information Society by Exploring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Education

  • Oh, Eun-Jo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8권2호
    • /
    • pp.28-35
    • /
    • 2012
  •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information society in education by exploring pre-service teachers' use of technology.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USA and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The NET and ISST which are the national educational technology standards for each country were used as survey instruments. Focus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participants after analyzing the data for collecting more informa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technology is not deeply infused into education yet and the degrees of technology infusion were different in two countries. The participating pre-service teachers were not quite confident in their abilities to integrate technology into their les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