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education

검색결과 1,275건 처리시간 0.029초

휴대폰 문자메시지 교육이 제2형 당뇨병환자의 공복혈당과 자가관리에 미치는 효과 (Fasting Blood Sugar and Adherence to Diabetes Control Recommendation : Impact of Education Using Short Messaging Service of Cellular Phone)

  • 김희승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5권2호
    • /
    • pp.13-19
    • /
    • 200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using short messaging service(SMS) on fasting blood sugar(FBS) and diabetes adherence. Method : Forty-five diabetic patients being assessed pre and post intervention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Participants were requested to input the FBS and 2 hours post-prandial blood sugar everyday in http://www.biodang.com by cellular phone or wire Internet. The goal of the education was to lower FBS and keep diabetes adherence. The education was applied to the for 12 weeks. The education consisted of continuous education and reinforcement of diet, exercise, medication adjustment, as well as frequent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levels. The education performed weekly. All medication adjustments were communicated to the participants' doctor. FBS and diabetes adherenc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Results : The education using SMS of cellular phone had decrease FBS and increase oral medication taking, exercise, foot care, and hypoglycemia preparation adherence.

  • PDF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 교직에 대한 열정의 매개효과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Passion for Teaching)

  • 좌승화;이해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193-201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직에 대한 열정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예비유아교사 198명을 연구대상으로 Window용 PASW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과 교직에 대한 열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및 Pearson 적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Sobel Test를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전문성의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전문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 심리자본이 교사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인인 교직에 대한 열정은 긍정심리자본과 교사전문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에서 긍정심리자본과 교직열정이 효과적임을 규명하였고, 예비유아교사가 지녀야 할 교사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담론적 역량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예비수학교사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Cognition in Curriculum for Developing their Discursive Competency)

  • 김동중;최상호;이주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41-6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담론적 역량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예비교사의 수업 계획과 수업 실행 간 관계 및 수업 과정에서 요구되는 담론적 역량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수학교사 15명을 대상으로 담론적 역량 개발을 위한 [수학교수론]을 경험하게 하고, 직접 수업을 실행하고 담론을 분석하는 과정을 포함한 파이널 프로젝트를 연구 자료로 수집·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예상치 못한 교수·학습 상황을 경험함으로써 수업 계획과 수업 실행 간 차이를 인식하였으며,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한 담론적 역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수업과 연결시켜 반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식과 실행을 통합하는 교수법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담론적 역량의 존재가능성과 이를 함양해야 하는 중요성과 필요성을 수학교사가 인식하는 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으며, 향후 담론적 역량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실질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The Pre-service Teachers'Conceptions of the Question 'Why Should Students Learn Science?')

  • 장명덕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5-62
    • /
    • 2018
  • 이 연구는 '학생들은 왜 과학을 공부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자유로운 서술식 응답의 분석을 통해 그들의 과학학습의 가치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그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과학의 내재적 가치 중시 관점과 외재적 가치 중시 관점에 대한 응답 비율은 거의 같았고 이들의 응답은 매우 다양하여 국내외 연구자들이 제시한 과학학습의 가치가 거의 다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최하위 범주의 세부항목 합리적인 의사결정자로서의 미래 시민 육성에 관한 것에 대한 응답 비율은 매우 낮았다. 둘째, 이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약 30%는 내재적 가치 또는 외재적 가치 중 어느 하나에 편향된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과학을 왜 배워야하는가에 대한 학생의 질문에 대해 어느하나의 가치 관점에 치우진 설명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과학의 본유적 가치와 도구적 가치 두 관점 모두를 포함한 균형 잡힌 인식의 기회가 제공할 필요가 있다.

초등 예비교사들이 '배추흰나비 한살이' 탐구 수행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A Study on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arrying out a Research on 'the Life Cycle of a Common Cabbage Butterfly')

  • 김동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2호
    • /
    • pp.306-321
    • /
    • 2014
  • This study aims to analyze difficulties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 in investigating the life cycle of a common cabbage butterfly in person. As difficulties they face during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they pointed out collecting eggs, observing molting, creating environments for a breeding cage, feeding, building a breeding cage, and making butterfly specimens. Out of all the environmental difficulties related to their school fields, they pointed out a difficulty of time management most of all, followed by placing a breeding cage in the classroom and the lack of microscopes for observation. In regard to difficulties related to their evaluations on students' activities, they found it difficult to evaluate students' activity with the life cycle of an insect in the aspect of knowledge and even to set evaluation criteria. Besides, many of them responded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evaluate a research on the life cycle of an insect through a portfolio or an observation journal. In regard to difficulties in terms of teachers' knowledge, they fou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insect molting, metamorphoses, complete metamorphoses, incomplete metamorphoses, the structure of an insect body, and how to distinguish a female insect from a male one. In regard to the application of class models, they knew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have various experiences through direct observation, so the experience-based learning model was proper for the process of observing the life cycle of a common cabbage butterfly. However, they found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observe each stage of the life cycle in person.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의 문제해결과정 (The Research on PBL Application in Mathematics Method Course)

  • 이광호;장은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2호
    • /
    • pp.91-106
    • /
    • 2012
  • 본 연구는 예비교사 교육과정 수업에 PBL을 적용하여 수업단계별로 초등예비교사들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지 그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3학년으로 구성된 6명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교실수업을 참여관찰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PBL 1단계 문제 이해 단계에서는 문제 파악하기와 문제해결계획서를 작성하는 활동을 하였다. 기존 문제의 틀에서 벗어난 PBL문제를 만나고 혼란스러워 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토론을 통해 문제해결계획서를 작성하면서 문제가 요구하는 것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게 되었다. PBL 2단계 교육과정탐색단계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탐색과정과 재탐색과정을 가졌다. 학생들은 폭넓은 지식을 접하였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의도하지 않았던 영역에까지 학습영역을 확대하면서 문제해결을 위해 스스로 계획하고 해결하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되었다. PBL 3단계 문제해결단계에서는 최적의 해결책을 선정하고 발표, 공유하였다. 학생들은 많은 자료들 중에서 문제 해결에 가장 적절한 내용을 선별하였으며 PBL을 통해 기존의 학습방법에서는 느낄 수 없었던 학습의 특별한 즐거움을 알게 되었다.

예비교사의 융합적 수업구성 역량 향상을 위한 통합적 피드백의 모델링 (A study on the integrative feedback modeling to develop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e of planning STEAM lessons)

  • 홍예윤;임연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75-88
    • /
    • 2021
  •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융합형 인재양성의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고 이러한 교육을 담당할 예비교사들의 융합수업(STEAM) 구성 능력의 함양이 양질의 미래 교육을 담보할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진정한 융합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면밀한 피드백의 역할과 기능이 예비교사들의 역량 강화에 주요한 요소임을 제시하며, 교육학에 있어서 피드백에 관한 제반 이론이 이러닝을 활용한 대학 수업에서 예비교사들의 융합적 지식형성을 어떻게 지원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STEAM 수업지도안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4단계의 조별 활동과 그에 걸맞은 피드백을 제공 받았으며 5단계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개별 수업지도안을 완성하였다. 수업지도안의 완성 후에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단계별로 적용된 통합적 피드백의 세부적 내용과 융합적 수업구성 역량의 향상 과정을 사다리이론을 근거로 하여 모델링 하였다. 이러한 전략적 모형은 예비교사들의 융합적 지식과 역량을 제고할 뿐 아니라 그들의 성취도와 만족도 향상에도 기여하였다.

빛의 반사 현상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시각적 모델링 과정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sual Modeling Process for Reflection of Light)

  • 윤혜경;이인선;박정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9-3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빛의 반사 현상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시각적 모델링 과정을 Halloun (2004)이 제안한 모델링 사고의 세 측면, 정합성(coherence), 대응성(correspondence), 통약성(commensurability)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초등 예비교사 20명이 참여하였으며 무작위로 2명씩 짝을 이루어 빛의 반사 현상을 관찰하고 이에 대한 시각적 모델을 처음에는 개인적으로 그리고 이후에는 협동적으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개인적 모델과 협동적 모델을 비교한 결과 특별한 교육적 처치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모둠에서 대응성과 통약성 수준이 다소 높아졌다. 또한, 이들의 추론 과정에서 세 가지의 주요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반사의 법칙을 적용하는 통약성 수준은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계속 변했고 구두 설명과 그림 설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시각적 모델링 과정에서 통약성, 정합성보다 대응성을 우선으로 고려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대응성과 통약성이 서로 갈등하는 상황에서 참여자들은 보조 가설에 대한 검토 및 수정을 통해 이 갈등을 해결하고 추론을 발전시켜 나갔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모델링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데 주는 몇 가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안전돌봄 실천행위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afety care Practices of Prospecti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세루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71-277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안전돌봄 실천행위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G광역시 G대학교 예비유아교사 1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One-way ANOVA와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년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안전돌봄 실천행위 인식의 전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위요인인 '생활안전', '교통안전', '폭력 및 신변안전', '약물 및 사이버중독', '재난안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에 '직업안전', '응급처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안전돌봄 실천행위를 측정하여 안전역량을 신장시키고자 하며, 예비유아교사의 안전에 대한 실무교육 기회 확대, 다양한 매체 개발, 무엇보다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 안전과 관련한 수업운영과 내용을 토대로 예비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상현실 교육에서 학교 급별 교육과정의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earner Characteristics in Virtual Reality by a School Level Curriculum)

  • 남충모;김종우;홍경선;조치노;홍주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71-78
    • /
    • 2020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방법과 함께 교육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실감형 콘텐츠가 교육의 핵심방법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리고 실감형 콘텐츠의 중심에 가상현실(VR)이 자리 잡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 가상현실 활용 교육은 늘어나고 있지만, 가상현실 제작 교육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학생이 가상현실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는 과정을 위한 학교 급별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초등학생, 중학생, 예비교사들의 특성의 분석을 위해 산출물과 설문지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로 학교 급별에 따라 집중도, 콘텐츠의 주제, 제작 시간 등은 많은 차이가 나타났으며, 초등학생은 자기와 관련된 주제, 중학생은 학습과 관련, 예비교사들은 초등 교육에 유용한 내용을 우선적으로 생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