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search on PBL Application in Mathematics Method Course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의 문제해결과정

  • Received : 2012.03.19
  • Accepted : 2012.07.12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is study reports pre-service teachers' problem solving process on the problem-based learning(PBL) employed in an elementary mathematics method course. The subjects were 6 pre-service teachers(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classroom observation. The research results were described by problem solving stages. In understanding the problem stage, students identified what problem stand for and made a problem solving planned sheet. In curriculum investigation stage, students went through investigation and re-investigation process for solving the task. In problem solving stage, students selected the best strategy for solving the task and presented and shared about problem solving results.

본 연구는 예비교사 교육과정 수업에 PBL을 적용하여 수업단계별로 초등예비교사들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지 그 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비교사 3학년으로 구성된 6명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교실수업을 참여관찰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PBL 1단계 문제 이해 단계에서는 문제 파악하기와 문제해결계획서를 작성하는 활동을 하였다. 기존 문제의 틀에서 벗어난 PBL문제를 만나고 혼란스러워 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토론을 통해 문제해결계획서를 작성하면서 문제가 요구하는 것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게 되었다. PBL 2단계 교육과정탐색단계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탐색과정과 재탐색과정을 가졌다. 학생들은 폭넓은 지식을 접하였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의도하지 않았던 영역에까지 학습영역을 확대하면서 문제해결을 위해 스스로 계획하고 해결하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되었다. PBL 3단계 문제해결단계에서는 최적의 해결책을 선정하고 발표, 공유하였다. 학생들은 많은 자료들 중에서 문제 해결에 가장 적절한 내용을 선별하였으며 PBL을 통해 기존의 학습방법에서는 느낄 수 없었던 학습의 특별한 즐거움을 알게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2002). 왜 구성주의인가? 서울: 문음사.
  2. 김경희(2007). 문제중심학습의 수업 단계별 학습활동의 특징과 교육적 의미 탐색: 초등과학수업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선희․김언주․박은희․심재영(2006). PBL프로그램이 창의성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5(3), 285-297.
  4. 김영철․윤종혁․김미숙․신현석․노석준․주영효(2006). 창의적 인재 양성과 효율적 교육 체제 구축.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간제목: IV-06-11.
  5. 김용익․이춘식․박헌주(2004). 초등 예비교사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강화를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교육 자료 개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8(3), 95-114.
  6. 김정효 외(2005). 초등교육이란 무엇인가: 현상학적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7. 박수홍․정주영․배진희(2007). 대학생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프로그램 개발. 교육방법연구. 12(1), 21-39
  8. 손미․하정문(2008).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3), 225-251.
  9. 신종호․박종효․최지영․김민성 역(2007). 학습과학-뇌, 마음, 경험 그리고 교육. 서울: 학지사.
  10. 이광호(2011).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적용 효과-초등수학교육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13(4), 543-562.
  11. 이동명․고호경․장윤영(2010).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 중고등학교 학생의 오개념 지도방안 활성화를 위한 PBL적용사례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1), 69-88.
  12. 이재경 (2000). 웹 기반 자기주도적 학습 모형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16(2), 83-106.
  13. 전평국․이진아(2002). 수학적 문제중심학습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13(1), 409-424.
  14. 조성민(2006).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에서 본 수학교사 지식과 수업의 관련성 연구 : 고등학교 함수내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조연순(2006).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6. 최정임(2007). 대학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연구: 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23(2), 35-65.
  17. 홍기칠(2008). 문제중심학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과학연구. 39(3), 79-110.
  18. Albanese, M. A., & Mitchell, S. (1993). Problem-based learning: A review of literature on its outcomes and implementation issues. Academic Medcine, 68(1), 52-81. https://doi.org/10.1097/00001888-199301000-00012
  19. Barrow, H, S., & Tamblyn, R. M. (1980). Problem based learning: A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 Barrow, H, S., & Myers, A. C. (1993). Problem 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 Unpublished monograph.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1. Duch, B. J. (1996). Problem: A key factor in pbl. Retrieved from http://www.udel.edu/pbl/cte/spr96-phys.html.
  22. Eggen, P. D., & Kauchak, D. P. (2001). Strategies for teacher: Teaching content and thinking skills. Needham Height, MA: Allyn and Bacon.
  23. Evensen, D. H., & Hmelo, C. E. (2000). Problem-based learning: A research perspective on learning interac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4. Gallagher, S. A., Stepien, W. J., & Rosental, H. (1992).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Gifted Child Quarterly, 36(4), 195-200. https://doi.org/10.1177/001698629203600405
  25. IMSA(1996). PBL network, collaborative inquiry in action. Retrieved from http://pbln.imsa.edu/
  26. Johnson, B., & Christensen, L. (2004). Educational research;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approaches. Boston: Pear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