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al learning

검색결과 2,159건 처리시간 0.03초

공업계 고등학교에서의 문제해결식 실기수업 모형 (A model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for improving practical skill-competence in technical high school)

  • 김익수;류창열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a model of problem solving instruction for improving practical skill-competence in technical high school. For the study, various literature researches were reviewed intensively about problem solving process, laboratory instruction's approaches and learning principals. The problem solving instruction process was composed with identifying problems, generating alternative solutions, investigation and research, choosing a solution, acting on a plan, modeling of problem solving, testing and evaluating, redesigning and improving. The skills schema combines a four domain of skilled activity, that is, cognitive skills, psychomotor skills, reactive skills and interactive skills. The problem solving instruction was composed with five major learning systems-emotional, social, cognitive, physical, and reflective-that can be used extensively as generic lesson plashing. The teacher serves as a coach or guide for student learning. As a facilitator, the teacher challenges, questions, and stimulates the students in their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study. In this process, students represent problem with think aloud,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and move from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education.

수학 교수.학습에서의 암호산술 문제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of Cryptarithmetic Problems in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2호
    • /
    • pp.333-355
    • /
    • 2000
  • In this paper,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of cryptarithmetic problems in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is discussed. There might be seven cases to use them practically like followings: (1) Cryptarithmetic problems might be used for deepening the mathematical knowledges. (2) Cryptarithmetic problems might be used for fostering 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3) Cryptarithmetic problems might be used for foster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4) Cryptarithmetic problems might be used as open ended problems. (5) Cryptarithmetic problems might be used as materials for personalized learning. (6) Cryptarithmetic problems might be used as materials for cooperative learning. (7) Cryptarithmetic problems might be used as materials for problems posing.

  • PDF

과학 실험 실습 교육에서 초등 교사가 느끼는 딜레마 (Elementary Teachers' Dilemmas of Teaching Science Practical Work)

  • 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2호
    • /
    • pp.102-116
    • /
    • 2008
  • In their teaching practice, teachers encounter multi-dimensions of pedagogical challenges. The recognition and reflection on these challenges is crucial to advance our science teaching. This study looked into science teachers' dilemmas of their teaching practical work through their written cases. Dilemma cases are teachers' narratives organized around important ev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It can reveal teachers' situated cognition and be used as lens to investigate complex realities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26 pre- an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dilemma cases of science practical work were carefully collected and analysed to interpret what constitute tensions in elementary science practical works. They were largely grouped into three: Curriculum and Institutional Relevance, Students Relevance, Nature of School Experiments Relevance and divided into 7 subheadings: 'Authority of Curriculum(textbook)', 'Disappointment at external support', 'Students' interests and safety', 'Students' unscientific and inert attitude', 'Difficulty of showing expected results', 'Generalization through experiment', 'Knowledge acquisition and authentic inquiry'. Each dilemma was interpreted in terms of the tensions which constitute contradictory beliefs, values, expectation and realities. These dilemmas enabled to expose actual conditions of elementary science practical work and teachers' challenges otherwise can not be seen easily. Science teacher educators also can get some implications to overcome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their teacher education.

  • PDF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의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 모형 (A model of the practical skill instruction of the special subject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technical high schools)

  • 김익수;문대영;류창열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0
    • /
    • 2006
  •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와 산업 현장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수업의 새로운 접근을 위하여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의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일, 학습, 삶이 상호연관 되는 질 높은 실기 수업을 적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 고등학교에 적합한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의 실기수업에 적합한 문제해결 과정에 관한 국내 외 관련 문헌을 분석 고찰하고 둘째, 문제중심학습에 관한 국내 외 관련 문헌을 분석 고찰하여 이를 근거로 공업계고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 모형을 구안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은 학생들이 실생활의 비 구조화된 문제를 중심으로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업 형태로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 과정, 즉 계획,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쳐 학생이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 형태를 의미한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에서 교사는 문제의 설계, 문제해결을 촉진하는 질문과 언어적 개입이 요구되며, 힌트와 조력을 하는 코치 역할과 Think Aloud을 이용한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인지적 모델링 역할이 요구된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문제 중심 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은 학습동기 유발 및 자기 주도적 학습과 협동적 학습이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중학교 자유학기 교과의 수업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Model for Middle School Free-Learning Semester Curriculum)

  • 김평원
    • 한국교육논총
    • /
    • 제38권2호
    • /
    • pp.81-108
    • /
    • 2017
  • 자유학기제는 과도한 경쟁과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 학생의 꿈과 끼를 일깨우는 행복 교육으로의 전환을 목적으로 추진된 교육 정책으로, 2016년부터 모든 중학교에 자유학기가 적용됨으로써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재량권이 더욱 강화되었다. 자유학기 교육과정은 보통 오전 교과와 오후 자유학기 활동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가 표방하는 독특한 교육과정, 수업 형태, 평가, 운영 등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교과 수업모형을 아우르는 표준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자유학기 수업 경험이 있는 중학교 현장 교사의 의견 수렴을 통해 수정 보완한 표준 수업 모형을 현장에 제공함으로써 자유학기제 운영의 실천적 지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자유학기 교과 수업 모형은 기존의 수업을 학습 - 실행 - 작품화 단계로 변형한 것으로, 이는 각각 학습, 실행, 사회생활 능력과 인성을 강조하는 유네스코의 제안을 반영하여 설계한 것이다. 자유학기 교과 수업을 운영할 때는 그동안 학생들을 공부하게 만드는 기제로 작용했었던 정규고사를 잠시 내려놓고 활동 중심 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지식 중심 수업은 철저하게 구조화된 유의미 수용학습을 추구해야 하며, 활동 중심 수업은 재미를 추구하되 작품화를 지향해야 한다.

  • PDF

이러닝을 활용한 공학회계교육의 개선방안 - 사례를 중심으로 (Improvement for the Engineering Accounting Education Using the e-learning Method)

  • 강봉준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6-22
    • /
    • 2010
  • 회계는 관리의 첫 출발점이라고 할 정도로 실용적인 면이 많은 영역인데, 특히 최근에는 경영 회계 비전공자가 회계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공학회계'와 '회계와 사회'의 필요성이 산업현장에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회계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학습 및 반복학습이 중요하고 ERP실습이 새로운 경향으로 대두되고 있다. 개인학습 및 반복학습은 이러닝에 의해서 보완될 수 있는데, 이러닝의 학습내용을 학습자가 반복해서 학습하도록 하고, 이를 ERP에서 실습하는 것이 학습효과를 높이는 교수학습방법이다. 이러닝에 의해서 개인학습 및 반복학습을 하고 ERP에서 실습하는 것은 공학회계에서도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현재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 공학회계교과로 설강되어 있는 교과구성과 이러닝 콘텐츠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회계교육과 공학회계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원격학습 환경에서 가정교과 실천적 추론 과정에 대한 중학생의 요구도 조사연구 (The Needs Assess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Classes in the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 최성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학습 환경에서 실천적 추론 과정에 대한 중학생의 요구도를 조사하고,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과 교사 상호작용, 학생 간 상호작용에 따라 요구도의 차이를 검증하며, 교사와의 상호작용,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도, 실천적 추론 과정에 대한 반영도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대전, 충북, 세종 등 7개 학교의 중학생 1,842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천적 추론 과정의 질문 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원격수업의 반영도를 온라인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이 중 1,095명이 답한 결과로 요구도를 산출하고,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경로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원격학습 환경에서 가정교과의 실천적 추론 과정에 대해 중학생들은 중요도 평균이 3.76으로 실천적 추론 과정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가정교과 원격수업에서 요구도의 우선순위를 The locus for focus 모델로 확인한 결과, 문제의 가치와 중요성, 문제의 상황과 관련된 고정관념, 해결방안의 파급효과, 정보의 신뢰성, 실천을 어렵게 하는 요소의 극복 방안, 실천내용을 반성하게 하는 질문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개인적 특성, 교사와의 상호작용, 학생 간 상호작용에 따라 요구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성별, 원격수업의 자발적 참여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교사와의 상호작용, 학생 간의 상호작용은 실천적 추론 과정의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격학습 환경에서 학생의 자발적 참여도와 교사와의 상호작용은 반영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반영도는 요구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원격학습 환경에서 실천적 추론 수업을 실행할 때 비판적 질문을 통해서 학습자로 하여금 행동을 반성하고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질문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 학생 간의 상호작용과 학생의 자발적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여 실행할 필요가 있다.

팀기반 학습을 적용한 분만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지식, 자기효능감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ractical Delivery-nursing Simulation Education on Team-based Learning on the Nursing Knowledge,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이선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0-162
    • /
    • 2018
  • Purpose: To identify the effects of delivery-nursing simulation education using team-based learning on the delivery nursing knowledge, self-efficacy,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team-based learning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individual learning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2 to December 7, 2016, and analyzed using the SPSS/WIN 22.0 program. Results: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livery-nursing knowledge (t=-0.33, p=.741) or self-efficacy (t=-0.65, p=.515).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t=-2.09, p=.048) in the nursing-skills aspect of clinical competence was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fter the practical simulation education. Conclusion: Delivery-nursing simulation education using team-based learning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nursing-skills aspect of nursing competence than was delivery-nursing simulation education based on individual learning.

산업체 연계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활용한 성형해석 실습 교과목 운영 사례 연구 (Case Study on Education of Metal Forming Simulation Practice Subject through Industry-linked Project Based Learning)

  • 민동균;이민호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76-8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Project Based Learning (PBL) in collaboration with industry experts to operate practical subjects in an industry-university-linked teaching method. PBL is a teaching method in which students can learn through actively engaging in real-world and personally meaningful projects. For a long period of time, PBL methodologies have been found to be especially effective in engineering education. This case study deals with the operational results of a practice subject which has been conducted over three years from 2017 to 2019 in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The course is for the 4th grade students in the school of mechatronics engineering. The results of the surveyed learning outcomes (for example, Program Outcomes and Course Learning Outcomes) have been analyzed and reflected in the next years for the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By working on practical projects linked to industry, students have been able to develop so-called 4C's capabilities which are Critical Thinking,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초등 실과 웹 (Web)코스웨어 개발 및 적용 연구 - 6학년 실과 '동물 기르기' 단원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Web Courseware for the Unit 'Raising Animals' in Elementary School 6th Grade Practical Arts)

  • 임채강;이미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51-162
    • /
    • 2003
  • 21세기 정보시대에는 학생들이 자유로운 정보 탐색이나 수집과 같은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학습 활동을 진행시켜 나갈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갖는 인재를 양 성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웹은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학습자 주도적으로 검색할 수 있고 상호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실과 교육의 특성상 가장 효과적인 교수 방법은 직접 체험 학습을 하는 것이나 비용, 환경 여건, 안전도, 시간을 고려해 볼 때 항상 직접 체험학습 환경을 제공해 주기는 어렵다. 이러한 제한점이 많은 실과 단원에 대하여 직접 체험 환경과 가깝고 자가 주도적 학습을 지원하는 형태의 웹 코스웨어를 개발하여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한다면 실과교육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간 장소 공간의 제약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는 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실과 6학 년 '동물 기르기' 단원 중심으로 웹 코스웨어를 설계 개발하고 수업에 간단히 적용해보았다. 프로그램 적용 및 평가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후속연구에서 진행하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