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structional Model for Middle School Free-Learning Semester Curriculum

중학교 자유학기 교과의 수업 모형 연구

  • 김평원 (인천대학교 국어교육과)
  • Received : 2017.09.23
  • Accepted : 2017.10.20
  • Published : 2017.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andardized learning model for a free-learning semester, and to provide a practical framework of its curriculum. This paper is a state-funded study to design an instructional model for the free-learning semester. Instructional models that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practical school were constructed through collecting opinions from school teachers. The instructional model for a free-learning semester in this current study is a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learning model into the Learning (Meaningful reception learning)-Practice-Production stage. These are designed to reflect the UNESCO proposals that emphasize knowledge, skills, and character, respectively. It is not easy to construct the instructional model for the free-learning semester activities. A three-step strategy that encompasses the UNESCO proposals will be a useful framework for teachers to systematically design and implement free-learning semester teaching.

자유학기제는 과도한 경쟁과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 학생의 꿈과 끼를 일깨우는 행복 교육으로의 전환을 목적으로 추진된 교육 정책으로, 2016년부터 모든 중학교에 자유학기가 적용됨으로써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재량권이 더욱 강화되었다. 자유학기 교육과정은 보통 오전 교과와 오후 자유학기 활동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가 표방하는 독특한 교육과정, 수업 형태, 평가, 운영 등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교과 수업모형을 아우르는 표준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자유학기 수업 경험이 있는 중학교 현장 교사의 의견 수렴을 통해 수정 보완한 표준 수업 모형을 현장에 제공함으로써 자유학기제 운영의 실천적 지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자유학기 교과 수업 모형은 기존의 수업을 학습 - 실행 - 작품화 단계로 변형한 것으로, 이는 각각 학습, 실행, 사회생활 능력과 인성을 강조하는 유네스코의 제안을 반영하여 설계한 것이다. 자유학기 교과 수업을 운영할 때는 그동안 학생들을 공부하게 만드는 기제로 작용했었던 정규고사를 잠시 내려놓고 활동 중심 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지식 중심 수업은 철저하게 구조화된 유의미 수용학습을 추구해야 하며, 활동 중심 수업은 재미를 추구하되 작품화를 지향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1].
  2. 김미진, 이재창, 임재일, 홍후조(2014).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특성 분석: 2013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2(2), 215-241.
  3. 신철균(2014).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착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4-17.
  4.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1996).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교육과학사.
  5. 임규혁(2000). 교육심리학. 서울: 학지사.
  6. 정광순(2013). 중학교 자유학기제 수업 대비 역량 중심 교과통합수업 설계 방안 제안. 통합교육과정연구, 7(3), 1-30.
  7. 최상덕 외(2014). 자유학기제 운영 종합매뉴얼. 한국교육개발원.
  8. 최상덕 외(2015). 2014년도 2학기 자유학기제 운영만족도 조사결과. 한국교육개발원.
  9. 한국교육개발원(2013). 2013년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 연구 학교별 사례 보고서. 수탁 연구 CR 2014-20.
  10. 한국교육개발원(2014). 2014년도 1학기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 연구 학교별 사례 보고서. 수탁 연구 CR 2014-48.
  11. 한국교육개발원(2015). 2014년도 2학기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 연구 학교별 사례 보고서. 수탁 연구 CR 2015-09.
  12. 한국교육개발원(2016). 2015년도 2학기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 연구 종합 보고서. 수탁연구 CR 2016-10.
  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4).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보고 RRC 2014-5.
  14. 황규호, 김경자, 소경희, 홍원표, 온정덕(2013).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모델 연구. 교육부.
  15.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 A Cognitive View, New York : Holt, Rinehart & Winston.
  16. Clake, D. & Hollingsworkth, H.(2002). Elaborating a model of teacher professional growth.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8, 947-967. https://doi.org/10.1016/S0742-051X(02)00053-7
  17. Drake, S & Burns, R. (2004).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ASCD.
  18. Pyoung Won Kim(2016). The Wheel Model of STEAM Education Based on Traditional Korean Scientific Contents.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12)9, 2353-2371.
  19. Scheurman, G., & Newmann, F.M. (1998). Authentic intellectual work in the social studies: Putting performance before pedagogy. Social Education, 62(1), 2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