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al Arts Textbook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7초

초등 실과 교과서 분석 연구 -6차 교육과정 중심- (Textbook Analysis on Practical Arts for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6th curriculum-)

  • 최정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30
    • /
    • 1997
  •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lidity of textbook content on practical arts for the 6th curriculum, to grasp the content problems and to propose the strategy of reformation to be satisfied with consumer better than supplier. The data collected from 196 elemantary school teachers who lived in Gyungsang-namdo and analized by SPSS/PC(sup)+ package program.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analysis were frequency, descriptives, validity, t-test, oneway ANOVA.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1. The textbooks on practical arts for 3rd, 4th, 5th and 6th grades showed unbalanced division for picture, figure, table unite and evaluation type of all units doesn’t show diversity. 2. The validity of textbook contents on practical art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or 3rd grade textbook and the lowest for 6th grade one. Among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items,‘differentiation with other subject’and ‘usefulness of living’showed high scores, wheres ‘fitness of child level’marked lowest score.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validity contents of teachers based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 PDF

교육과정기 이전의 의생활 분야의 교육내용에 대한 고찰 (제2보) -중등 가사를 중심으로- (Clothing & Textiles Education before the First Curriculum (Part II)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 Textbooks-)

  • 이영숙;유혜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203-1214
    • /
    • 2009
  • The theory of household arts and practical acts are two traditional mainstream topics of official South Korean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within the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1948) is various and practical. The first year textbook discusses the symbolism and maintenance of uniforms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cotton. Clothing and textiles are covered in 26 pages out of the 76 page book. The second year textbook includes the theory of color and form,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lax and silk.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is covered in 33 pages out of the 97 second year textbook. The third year textbook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wool, manufactured fibers, cross weaving, removing stains, clothing arrangements, and equipment; 5 chapters (56 pages out of 137) are spent on clothing and textiles. The fourth year textbook introduces the history of clothing, laundry principles, dyeing, bedclothes, and bed accessories; 4 chapters (63 pages out of 125 pages) are spent on clothing and textiles. The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 (1948) is highly extensive and profound in depth. It is comparable with modern college or specialized high school level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in terms of clothing materials, clothing maintenance, color theories, and dyeing.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전자' 단원의 개발 (Development of Practical Arts Textbook of 'Real Life's Electricity and Electronics' unit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 박형서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1-180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을 개발하였고 2007 개정 교육과정에 터한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 전자' 단원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한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은 연구개발형 교과서로 기획준비 단계, 연구 개발 단계, 집필 편찬 단계, 심의 평가 단계로 구성되었다. 둘째,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의 집필 편찬 단계의 타당성이 4.21로 가장 높았고, 연구 개발단계의 타당성의 평균이 4.14로 그 다음이며, 교과서 개발 단계 중에서는 심의 평가단계의 타당성의 평균이 3.50으로 가장 낮았다. 교과서 개발 모형의 준비 단계에서는 실과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있어 요구 분석과 개발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둘째, 연구 개발 단계는 외국의 실과 교육을 분석하고 학교 현장의 실태를 분석하여 교과서 집필 지침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셋째, 집필 편찬 단계에서는 실과 교과서 집필세목을 확정하고 단원별 실과 교과서를 집필하는 단계이다. 단원별 원고를 집필하며 삽화 및 사진을 구성하고 집필진 협의회를 통하여 원고본을 반복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하는 단계이다. 넷째, 심의 평가 단계에서는 현장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터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 전자' 단원을 개발하였다.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f the 'Life and Electricity·Electron' Unit in Practical Arts Textbook to Enhance Computational Thinking

  • Kim, Myung-Jung;Lee, Tae-W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99-205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analysis of electric and electronic's unit in paratical arts and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current practical arts curriculum of Korean elementary school 6th graders, the 'information' related chapter is Chapter 3. However, educational contents mainly consist of mak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pecified manual such as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learning about robots, etc. It is very insufficient to develop the computational thinking required by the software-centered society. Therefore, we are to study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f the 'Life and Electricity Electron' unit in practical arts textbook to enhance computational thinking.

소셜 네트워크 분석(SNA)을 이용한 실과(기술·가정)교육 분야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 Analysis on Practical Arts (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김은정;이윤정;김지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6호
    • /
    • pp.603-617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Practical Arts (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From 958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18 in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JKPA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JHEEA), and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KJTEA), 958 keyword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using NetMiner 4. When the general network structure was analyzed, keywords such as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students were high in the degree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and textbook,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student,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invention were high in the node betweenness centrality. The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a four-cluster solution was most appropriate: cluster 1, technology and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cluster 2, curriculum studies and practical problem; cluster 3, relationships; and cluster 4,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e three journals showed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network structure: The topics of JKPAE and JKHEEA focused on general content knowledge and curriculum, while the topics of KJTEA were spread across invention and creativity education, and curriculum studies.

2015 개정 실과 교과서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 탐구성 비교 분석 (Inquisitive Tendency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oftware Education Units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

  • 이재호;전상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15-62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6종의 실과 교과서 중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의 탐구성을 분석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질 교과서 채택, 교육과정 연구, 차기 교과서 개발 시에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의 경우, 중·고등학교 교과서 연구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는 탐구성 분석이 미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4차산업 혁명시대를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탐구형 교과서가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Romey 분석법을 활용하여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모든 분석요소에서 탐구적 성향을 갖춘 이상적인 교과서는 없었으며, 교과서별로 탐구적 성향이 높은 분석요소가 다르게 나타났다. 전체 교과서에서 탐구적 성향이 가장 낮은 분석요소는 본문이였으며, 가장 높은 분석요소는 활동이었다. 교과서간 평가지수의 편차가 가장 큰 분석요소는 자료와 평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과와 가정교과서 식생활 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The Analysis on Relatedness of contents about ′Nutrition and Foods′ which are dealt in Practical Arts and Home Economics Subjects)

  • 양정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7-41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실과와 기술 가정교과서 내용 중 식생활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학년간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대상은 1종 교과서인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실과교과서와 중, 고등학교의기술ㆍ가정교과서이다. 기술ㆍ가정교과서는 중학교 1, 3학년과 고등학교까지 출판된 교과서 중 5종을 추출하여 내용분석을 하였다. 먼저 학년별로 목표와 내용체계를 정리하였고, 연계성 분석을 위한 준거기준을 정리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분야는 영양학, 식품학, 급식경영학의 체계로 교과서에서 제시되고 있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제시되는 목표와 교육내용체계는 출판사별로 일치하고 있으나 교과서 서술방식에 있어서 합의가 요구된다. 셋째, 초등학교에서 다루는 내용과 중, 고등학교에서 다루는 내용 간에는 내용의 발전적 연계가 이루어졌으나 중학교 학년별 내용은 반복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이 교육내용은 일부분 격차를 보이거나 연계성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지만, 발전된 내용과 반복된 내용이 많으므로 학년간 연계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 PDF

실과 교과서 기술의 세계 영역 '동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의 화보처리방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Use of Illustrations of the 'Unit of Living with Animals' of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 박형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549-56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to compare the use of illustrations of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and to make suggestions for an improvement of the use of illustrations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by textbook developers, publishers, and teachers in their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For the study, 'Units of Raising Animals' in the six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s in Korea was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three criteria: kinds of illustrations, sizes of illustrations and purposes of illustration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facts were found. First,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have about 5.2 illustrations per page whereas 7th practical arts ones have 4.2. Second, even though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highly dependent on photographs, kinds of illustrations of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have more ratio of pictures, cartoons and diagrams than the ones in the 7th practical arts textbooks. Third, sizes of illustrations of the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ordered in small, medium, large size illustrations and there was an increase in medium sized illustrations. Lastly, the purpose of the illustrations from the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on the decrease the supply of learning materials but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learning motive induction and guidance for experiment.

2015 개정 실과 교과서 '로봇 활용 교육' 단원 탐구성 비교 분석 (Inquisitive Tendency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ducation with Robots' Units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

  • 이재호;전상일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1호
    • /
    • pp.21-29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6종의 실과 교과서 중 '로봇 활용 교육' 단원의 탐구성을 Romey 분석법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질 교과서 채택, 교육과정 연구, 차기 교과서 개발 시에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로봇 활용 교육' 단원의 경우, 중·고등학교 교과서 연구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는 탐구성 분석이 미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4차산업 혁명시대를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탐구형 교과서가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Romey 분석법을 활용하여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모든 분석요소에서 탐구적 성향을 갖춘 이상적인 교과서는 없었으며 전체 교과서에서 탐구적 성향이 가장 낮은 분석요소는 본문이었으며, 가장 높은 분석요소는 활동이었다.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관점에 근거한 실과(기술.가정) 교과서 평가기준 방향 탐색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Evaluation Criterion based on Perspectiv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 권유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1-7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평가기준에 반영된 교과 관점의 중요성을 탐색하고, 현재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관점과 교과서 평가기준과의 관련성과 더불어 향후 교과서 평가기준을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은 실과(기술 가정) 교과서 평가기준을 분석하고, 교과서 평가기준에서의 교과 관점의 의미를 탐색하며, 2007 개정 교육과정 및 2011 개정 교육과정에 지속적으로 제시된 교과 관점을 도출하고, 교육과정과 교과서 평가기준에서 강조하고 있는 관점의 관련성을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향후 교과서 평가기준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교과서 평가기준은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교과관점을 제공하고, 교과의 주요 개념과 가치를 전달하며,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교과 관점들은 관리역량, 생활역량, 실천적 경험, 개인과 가족을 이해하기 위한 통합역량, 생활문제해결, 그리고 진로 및 생애설계이다. 향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과 관점들에 터하여 교과서 평가기준의 항목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학습 자료 평가기준뿐만 아니라, 교수 학습 방법, 교사 활동 평가 등 다양한 평가 틀에 교과 관점들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