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he Use of Illustrations of the 'Unit of Living with Animals' of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실과 교과서 기술의 세계 영역 '동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의 화보처리방식 분석

  • Received : 2011.06.22
  • Accepted : 2011.09.30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to compare the use of illustrations of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and to make suggestions for an improvement of the use of illustrations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by textbook developers, publishers, and teachers in their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For the study, 'Units of Raising Animals' in the six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s in Korea was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three criteria: kinds of illustrations, sizes of illustrations and purposes of illustration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facts were found. First,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have about 5.2 illustrations per page whereas 7th practical arts ones have 4.2. Second, even though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highly dependent on photographs, kinds of illustrations of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have more ratio of pictures, cartoons and diagrams than the ones in the 7th practical arts textbooks. Third, sizes of illustrations of the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ordered in small, medium, large size illustrations and there was an increase in medium sized illustrations. Lastly, the purpose of the illustrations from the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on the decrease the supply of learning materials but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learning motive induction and guidance for experiment.

Keywords

References

  1. 고한중. 김진수(2003). 제6차와 제7차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의 비교.분석, 과학교육연구논문집 25, 21-46. 전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 교육인적자원부(2010). 실과 6,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2008a).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2008b).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및 제2007-79호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수학, 과학, 실과.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권범철. 손수경(2003). 초등학교 교과서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연구: 초등학교 저학년 중심으로, 일러스트레이션학연구 12, 4-21.
  6. 김병수. 유상희. 정선순. 박연화. 정정숙. 임억린. 임성훈. 오미정. 김문영(2010). 실과 6, 서울: 천재교육.
  7. 김삼곤. 홍철훈. 차철표(2008). 우리나라 전문계열 고등학교 교과서의 해양관련 내용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0(2), 222-235.
  8. 김영기. 최홍규. 정지윤. 임오엽. 한미숙. 김현경. 한희섭. 김여주. 구완희(2010). 실과 6, 서울: 천재교육.
  9. 김재춘. 김재현. 이기호(2006).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화보처리방식 국제 비교 연구:한국, 일본, 미국, 독일을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9(1), 299-319.
  10. 김재춘. 변효종. 박은영(2007). 성인 문해교육 기관의 자체 개발 교과서의 내용 제시 방식 분석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19(3), 457-466.
  11. 김정덕(2003). 제 6차와 제 7차 교육과정의 슬기로운 생활 교과서 삽화 비교 분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 학위 논문.
  12. 남철우. 권영길(2004). 제 6차와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회 비교 분석, 초등교육연구 17(1), 73-91.
  13. 노선옥(2008). 기본교육과정 수학 교과서의 화보처리 방식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4(3), 301-321.
  14. 류청산. 이춘식. 이윤정. 최경은. 김형균. 김현주. 이철현. 이종범. 김재호. 진흥섭. 천윤희 (2010). 실과 6, 서울: 금성출판사.
  15. 박소영(2009).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내용의 통합적 구성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1(3), 420-435.
  16. 박소영(2011), 시.도 교육청 '우리들은 1학년' 교과서 내용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3(1), 75-91.
  17. 박소영. 김대현(2008).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통합 편성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0(2), 168-183.
  18. 박시현(1994). 한.일 국민학교 자연과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 박시현. 우종옥(1994). 한.일 국민학교 자역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논문집 4(1), 1-12.
  20. 박형서(2010).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생명기술 중심의 초등 기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교육연구 47, 77-98.
  21. 백남권. 서승조. 조태호. 김성규. 박강은. 이경화(2002). 제6차와 제7차 초등학교 3,4학년 과학 교과서의 내용과 삽화의 비교.분석, 초등과학교육 21(1), 61-70.
  22. 서우석.김영희. 강종표. 김정원. 이재호. 정남용. 남미숙. 유선순. 박수경. 백종필. 홍기현. 이은주. 박미진(2010). 실과 6, 서울:두산동아.
  23. 손태룡(2002). 제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내용 및 삽화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4. 여상인. 박창식. 임희준(2007). 한국과 미국 BSCS 초등 과학 교과서의 삽화 비교, 초등과학교육 26(4), 459-467.
  25. 우종옥. 정완호. 권재술. 최병순. 정진우. 허명(1992). 초등학교 자연교과서 개발 체제 분석 및 평가 연구. 한국교원대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논문집 2(1).
  26. 윤인경. 전세경. 정미경. 권용경. 문대영. 정경아. 손장호. 구덕회(2010). 실과 6, 서울: 교학사.
  27. 이대형(1998).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 삽화 분석:5,6학년 자연교과서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 21, 57-69.
  28. 이용숙. 김영준. 이근님. 양미경. 최성욱. 박순경(1995). 교과서 정책과 내용구성 방식 국제비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95-17.
  29. 이태수(2003).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삽화의 분석과 인식에 관한 연구: 5학년 실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석사학위논문.
  30. 이형철. 안정희(2005). 한.일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초등과학교육 24(2), 138-144.
  31. 임채열(2005). 초등학교 체육교과서 화보 비교 분석,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32. 정성봉. 김지숙. 송현순. 최지연. 곽상만. 김종우. 조완원. 이미영. 고인규. 이윤선(2010). 실과 6, 서울:교학사.
  33. 정충덕. 오홍식. 최진석. 강경희(2007),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 비교 연구: 3-6학년 생명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639-644.
  34. 최영란. 이형철(1998).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의 삽화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7(2), 45-53.
  35. 최유현. 이경애. 정진현. 나승일. 김정희. 김주이. 성은주. 박수진(2010). 실과 6, 서울:지학사.
  36. 허 강. 곽상만. 홍우동. 현영호(1999). 교과서의 외적체제 및 편집디자인 현상 국제 비교 연구, 한국교과서 연구 재단 연구 보고서 1999-4.
  37. 현영호. 김용주. 조성준(2004). 교과서 게재 시각 자료의 미적 구성 방안 연구, 한국교과서연구 재단 연구보고서 04-4.
  38. Carney, R. N., & Levin, J. R.(2002). Pictorial illustrations still improve students' learning from text,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4, 5-26. https://doi.org/10.1023/A:1013176309260
  39. Mayer, R. E. (1997). Multimedia learning: Are we asking the right questions, Educational Psychologist, 32, 1-19.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201_1
  40. Myatt, B & Carter, J. M.(1979). Picture preferences of children and young adult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27(1), 45-53.
  41. Pozzer, L. L., & Roth, W.-M.(2003). Prevalence, function and structure of photographs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10), 1089-1114. https://doi.org/10.1002/tea.10122
  42. Sipe, L. R.(1998). How picture books work: A semiotically framed theory of text-picture relationships, Literature in Education, 29(2), 97-108. https://doi.org/10.1023/A:1022459009182
  43. Stylianidou, F., Ormerod, F., & Ogborn, J.(2002). Analysis of science textbook pictures about energy and pupils' reading of the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 257-283.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78905
  44. Wu, H. K. & Shah, P.(2004). Exploring visuospatial thinking in chemistry learning, Science Education, 88, 465-492. https://doi.org/10.1002/sce.1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