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Practical Arts Textbook of 'Real Life's Electricity and Electronics' unit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전자' 단원의 개발

  • Received : 2011.07.31
  • Accepted : 2011.09.23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practical arts textbook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the practical arts textbook and teacher's guide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y were developed to promot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to instill curiosity and interest about the subject matter. The procedure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is composed of 4 steps; the planning and preparation stag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al stage, the writing and compilation stage and the deliberation and improvement stage. This procedure for the development of a textbook can apply to both government published textbooks and to authorized textbooks. The validity of the writing and compilation stage's practical arts textbook developed model is the highest at 4.21, followed by the research and developmental stage's average, at 4.14. Among the textbook's stages of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the deliberation and improvement stage averages the lowest, at 3.50.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을 개발하였고 2007 개정 교육과정에 터한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 전자' 단원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한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은 연구개발형 교과서로 기획준비 단계, 연구 개발 단계, 집필 편찬 단계, 심의 평가 단계로 구성되었다. 둘째,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의 집필 편찬 단계의 타당성이 4.21로 가장 높았고, 연구 개발단계의 타당성의 평균이 4.14로 그 다음이며, 교과서 개발 단계 중에서는 심의 평가단계의 타당성의 평균이 3.50으로 가장 낮았다. 교과서 개발 모형의 준비 단계에서는 실과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있어 요구 분석과 개발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둘째, 연구 개발 단계는 외국의 실과 교육을 분석하고 학교 현장의 실태를 분석하여 교과서 집필 지침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셋째, 집필 편찬 단계에서는 실과 교과서 집필세목을 확정하고 단원별 실과 교과서를 집필하는 단계이다. 단원별 원고를 집필하며 삽화 및 사진을 구성하고 집필진 협의회를 통하여 원고본을 반복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하는 단계이다. 넷째, 심의 평가 단계에서는 현장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터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실과 교과서 '생활 속의 전기 전자' 단원을 개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병선 . 이혜영 (1986). 교과서와 교과서 정책.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86-1.
  2.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7년 개정 교육과정애 따른 초등학교 5, 6학년(실과, 체육, 음악, 미술)/고등학교 1학년 검정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서울: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부(2000). 교과서 백서.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교육부(1994). 편수업무편람. 편수 94-11 편수 업무 담당자 연수자료.
  5. 교육부(1995). 편수업무편람.
  6. 교육인적자원부(2007). 실과(기술 . 가정)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7. 김경자 . 김아영 . 조석희 (1997).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창의적 문제해결의 개념모형 탐색. 교육과정연구, 15(2), 129-153.
  8. 김석우 . 박소영 (2003). 초등학교, 중학교 교과서 내용에 관한 교사 인식 비교: 내용의 양과 수준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연구, 21(2), 51-72.
  9. 김용익 (2003). 실과 교과서 공업기술 관련 단원의 현장 적용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 실과교육연구, 9(1), 59-78.
  10. 김용익 (2009). 초등실과 목공교육의 정착 방안. 실과교육연구, 15(4), 19-38.
  11. 김재춘 . 곽병선 . 박소영 . 김라경 (2005). 초등학교 교과서 개발의 절차와 원리 구안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2005-5. 한국교과서 연구재단.
  12. 김정호 . 윤현진 . 황혜정 . 이선경 . 박소영 (1998). 교과서 모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98- 8.
  13. 나승일(1997). 제6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의 타당성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10, 279-311.
  14. 노명완 . 정혜승 . 윤준채 (2004). 교과용 도서 내적 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연구보고서 04-1.
  15. 문대영 (2009) 실과 교과서 개발 방향:교사와 학생은 무엇을 원하는가?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1), 1-14.
  16. 문미영 (2003). 제 7차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의 인식과 영역별 학습요구도.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17. 박선애 . 김채복(2000).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평가를 위한 영역과 요소 개발. 실과교육연구, 6(1), 79-96.
  18. 박주호(2009). 실과(기술.가정) 교과서 내용에 대한 학생의 인식에 관한 연구. 광주교육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9. 신세호 . 김윤태 . 송용의 . 조원호 . 한경자 . 한만희 (1977). 새 교과서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국민학교 사회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기본연구 RR-54, 한국교육개발원.
  20. 양미경 (1998). 교과서 구성의 문제와 발전과제. 교육과정연구, 16(1), 85-123.
  21. 왕석순 . 이춘식 . 전은화(1998). 초등학교 교과용 도서 체제 개선 연구(II) -실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0-9-4.
  22. 이명훈(2007). 실과 '우리 생활과 전기 . 전자' 단원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과 연수 요구. 실과교육연구, 13(1), 119-140.
  23. 이성수(1963). 교과서론, 교과서회지 .1. p. 35.
  24. 이용숙(2009). 국제 비교 연구를 통해서 본 우리 교과서의 특정. 교과서연구, 56, pp. 27-34.
  25. 이영덕 . 박문태 . 곽병선 . 권치순 . 김홍원 . 이혜영 . 김희목 . 남미영 (1985). 교과서 체제 개선 연구.한국교육개발원.
  26. 이용환 . 최유현 . 한지영 . 이한규 . 방재현 (2005). 의미분별법에 의한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태도 분석. 직업교육연구, 24(3), 1-22.
  27. 이종국(1992). 한국의 교과서. 서울: 대한교과서.
  28. 이춘식 . 최유현 . 유태명 (2001). 실과(기술 가정) 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연구(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1-2.
  29. 이춘식 . 왕석순 . 김민정 (2004). 실과(기술.가정)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연구보고 RRC 2004-1-7.
  30. 이춘식 (2005). 제 7차 교육과정의 실과 교육내용 적정성 평가.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8(1). 1-15.
  31. 정찬섭 . 권명광 . 노명완 . 전영표(1992). 교과용 도서 체제 개선을 위한 인간공학적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정책 과제.
  32. 조난심 . 서지영 . 송현정 . 김재철 . 김라경 (2005). 교과서 편찬제도 개선을 위한 요구 조사 연구(연구보고 CR2005). 연구보고서 04-0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3. 최유현 (2001).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의 초등기술교육 내용 분석과 미래 지향적 내용 구성 전략.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4(2), 21-39.
  34. 최유현 (2001). 제 7차 실과 교과서의 "우리 생활과 전기.전자" 단원의 집필 방향과 교수 전략.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4(3), 87-105.
  35. 최정혜 (1997). 초등 실과 교과서 분석 연구 -6차 교육과정 중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9(2), 17-30
  36. 한국교원대학교 실과 교육과정 개정 연구 위원회 (1997) 제 7차 실과 교육과정 각론 개정연구.1997년도 교육부 위탁 연구과제 답신보고서.
  37.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7). 교과용 도서 평가 연구(I)-질 관리 체제 구축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RC 2007-5.
  3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국가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과서 질 관리 체제 구축 방안. 연구자료 ORM 2009-5-6 KICE Position Paper 1(6).
  39. 함수곤(1993). 제 6차 교육과정과 교과용도서 개발; 편수관리관실. 1종교과용도서 편찬 사례. 편수 담당자 연수 자료 2.
  40. 함종규(1963). 교과서 기능, 유삼태 . 김용환(1985). 국민학교 체육교과서 체제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85 - 4 재인용.
  41. 허강 . 곽상만 . 이종국 . 조성준(2004). 한국 교과서의 현상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04-05. 한국교과서 연구재단.
  42. 허경철 . 박순경 . 김정호 . 이미경 (200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년 교육과정 후속지원 연구과제 답신보고.
  43. Polya, G. (1957) . How to solve it, 2nd edition. Garden City, NY: Double day Anchor Books, Double day and Company, Inc.
  44. Snyder, J. F., & Hales, J. A. (1981). Jackson' s Mill lndustrial Arts Curriculum Theory. Charleston, WV: West Virginia Department of Education.
  45. Yi, S. (1996). Problem solving in technology education at the secondary level as perceived by technology educators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