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evaluation of construction projects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7초

공동주택 시공성 검토 및 경제성 평가를 위한 BIM 데이터 구축 가이드라인 작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M Data Guidelines for the Review of Constructability and Economic Evaluation of Apartment Houses)

  • 이해찬;김진만;이동건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9-150
    • /
    • 2019
  • Recently, major public owner and general contractors in Korea are actively preparing and improving BIM manuals and guidelines to effectively apply BIM technology in construction projects. These guideline has a purpose to define the scope of the applying BIM technology to each construction phase and to explain the minimum technology guidance required for the initial stage. In situations where BIM data are to be submitted within a limited time and cost at the design stage, a BIM data preparing process should be carried out in advance to meet the BIM interoperability between the pre and post of construction preces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the scope of the BIM guidelines to meet and to be considered for the BIM based review of constructability and economic evaluation of Apartment.

  • PDF

도로건설사업 시공단계 성과평가 프레임워크 연구 (Analysis on Performance Assessment Framework of Construction Phase for Road Construction Projects)

  • 문준부;이강욱;윤성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6호
    • /
    • pp.801-809
    • /
    • 2023
  • 대규모로 진행되는 도로건설사업에서 비용 초과와 공기 지연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이를 사전에 관리하고 대비할 수 있는 성과평가 체계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긴 공기를 가진 도로건설사업은 시공과정에서 많은 요인들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도로만의 특성을 고려한 성과 평가를 실시하고, 추후 유사한 사업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로건설사업의 시공단계 성과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도로건설사업의 성과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각종 유관기관에서 도로건설사업 시공단계의 정보를 수집하고 속성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사업의 착공·준공시점 간 시간차에 대해 비용 표준화를 실시하였고, 성과평가를 위한 지표를 도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도로건설사업 시공과정의 절대적, 상대적 비용·일정 성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성과평가 연구의 고도화 가능성과 신규 도로건설사업 계획 시 활용방안을 보여준다.

IPA를 활용한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에 대한 거주민 인식 - 장수군 장계면을 중심으로 - (The Residents' Perceptions on the Revitalization Project of Rural Centers Utilizing IPA - The Case of Janggye-myeon of Jangsu-gun -)

  • 김용진;손용훈
    • 농촌계획
    • /
    • 제23권3호
    • /
    • pp.133-14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residents' perception of the revitalization projects of the rural center and to evaluate their views of the projects' importance and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how they have been carried out.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residents' perceptions and preferences regarding these projects by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Results showed that residen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ere the highest for the projects providing welfare facilities, even though this project has little relevance to the overall project goal. Residents were dissatisfied with construction projects such as the building of cultural facilities and urban parks, even while recognizing their importa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what problem the people perceive and to manage them appropriately. Next, the residents did not appreciate the community empowerment projects, nor did they evaluat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positively. It can therefore be seen that the community empowerment projects have not been carried out well. Finally, the street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 was not successfully implemented compared to other projects. The residents have negatively perceived the installation of facilities that they do not want, rarely use, or are poorly operated. this shows that the evaluation of residents is significant. They become the users of the revitalization project for the rural center. It is necessary to overcome problems such as project items chosen by professionals without local consultation and obvious design in the revitalization project of the local center. There is a need to ascertain the residents' opinion of each project and to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directly in the management operation.

재난 후 재건사업의 영향요인에 관한 분석 - 재건접근 단계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Post-Disaster Reconstruction Projects - Focused on the Reconstruction Approach phase -)

  • 김화랑;이광표;전영준;장현승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76-84
    • /
    • 2022
  • 최근 자연재해 발생빈도 증가로 막대한 인적 및 물적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재난관리에 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발전적 재건 개념에 관한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재건설 시 이에 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난 후 재건설의 재건접근 단계 시 고려되어야 하는 영향요인에 관한 도출과 국외 재난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영향요인별 상대적 중요도 평가와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미래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재건사업 수행 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정비사업의 공공관리제도 평가요인에 대한 참여자의 사업만족과 참여의사 영향구조 분석 (Analyzing of Project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Participants about Public Management System Evaluation Indicators of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 이정재;김구회;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418-428
    • /
    • 2016
  • 본 연구는 정비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를 시공사, 공무원, 조합으로 구분하여 공공관리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사업의 종합만족도를 경유하여 지속적인 사업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구조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평가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일반제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체계를 1차적으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평가체계를 도시정비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공공관리제도 평가분야 및 세부 요인을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공공관리제도 평가분야에 대한 만족도가 사업의 종합만족도를 경유하여 지속적 사업참여의사를 분석하기 위해 가설 및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PLS-SEM모형으로 이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시공사의 경우 사업계획수립 및 수단의 선정(5.848)과 사후관리 및 지속성(2.392)이 종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무원의 경우 이용자의 이용 및 참여(3.249)와 사후관리 및 지속성(4.019)이 종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조합의 경우 조직의 운영(4.368), 이용자의 이용 및 참여(4.974)가 종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든 사업참여자의 경우 종합만족도가 지속적 사업참여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PR과 정보시스템 구축을 동시 병행 수행하는 방법론 (The Concurrent Processing Methodology of BPR and Information System Building)

  • 한광신;박만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073-1089
    • /
    • 2017
  •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increased competitiveness have led many companies to conside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BPR) as a means to improve performance. However, while some BPR projects have been successful among the many companies that have performed BPR, most of the reengineering efforts have been deemed unsuccessful as the project failed. There are many answers to this, but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hat the effective linkage between process innovation and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is insufficient. Even if the reform of consciousness is carried out through the promotion of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such as BPR, and the process is improved, management infrastructure can not be continuously maintained if infrastructure, especially information system, is not built up to support it. In this paper, we propose BPR and information system combining methodology for successful BPR execution and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and describe the result of BPR consulting performance when constructing information system and compare the improvement of failure risk factor. In addition, we present the case through the case of K company, and finally present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post evaluation after completion of K company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project implementation.

공공건설사업 건설성과 영향요인 가중치 개발 (Weights for Construction Performance Impact Factors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

  • 박용우;박희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73-379
    • /
    • 2012
  • 공공건설사업은 사람들의 복지 후생 향상과 국가 또는 공공단체 등이 공공자원을 사용하여 시행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공건설사업의 성과를 제고시키기 위해 건설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를 실시하여 영향요인 별 영향정도를 가중치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영향요인을 건설관련 제도, 프로젝트 관리노력, 프로젝트 환경을 구분하고 세부 영향요인 16개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적정 예산확보, 합리적 사업시행 절차, 사전 기획 등의 순으로 가중치가 결정되었다. 이는 시공 이전단계의 업무에 해당되는 요인들로 시공이전단계의 관리업무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자재조달, 작업난이도, 현장 조건 등 시공과 관련된 요인의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중치가 높게 나타난 영향요인을 중점 관리하여 건설공사의 성공적인 수행이 가능할 것이다.

R을 활용한 주거환경 중요도 요소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the Importance Factor of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R)

  • 오형준;최영오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6권3호
    • /
    • pp.209-217
    • /
    • 2020
  • 최근 데이터 분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공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영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 분석을 통한 융·복합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건축분야 역시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이를 통해 도시화 과정을 통해 양적 확대를 진행해왔던 건축분야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한 주거환경 개선지역과 유사 인근지역 주거자의 주거만족도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한다. 건물 건축과 입주 후 진행되는 거주 후 평가 요소에 대해 R을 활용한 분석을 통해 각 평가 요소 간의 연관규칙 분석과 거주자의 주요 요구 사항의 빈도 수 파악을 통해 주거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평가 항목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향후 건축 분야에서 주거지 구성 시 양질의 주거 공간 확보를 위한 데이터 제공과 함께 양질의 주거지역을 추천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 등 IT와 건축분야 간의 융·복합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그린리모델링 사업시행유도를 위한 조세혜택 부여 방안 (Tax Exemption Grant Proposal to Promote Green Remodeling Project Implementation)

  • 정서영;유정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66-75
    • /
    • 2016
  •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저탄소 녹색성장 추진에 따라 기존 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그린리모델링 관련 현행 법규 및 제도에서는 그린리모델링의 범위와 그 내용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지 않다. 또한, 민간 참여를 위한 사업시행 유도책이 미비하여 민간의 그린리모델링 사업시행이 원활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질적인 적용성을 고려한 그린 리모델링 사업시행 유도를 위한 조세혜택 부여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한 대안을 2014년 그린리모델링 시범사업 사례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추후 그린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조세 감면혜택 제도 개선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민간공원 특례사업 추진 대상지 이용객의 중요도-만족도 인식에 관한 연구 - 의정부 직동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Research on the Importance-Satisfaction Perception of Users of Private-Initiated Park Development Project - Focused on Jikdong Neighborhood Parks in Uijeongbu City -)

  • 김종호;김건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63-76
    • /
    • 2022
  • 본 연구는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의 대응수단으로 진행된 민간공원 특례사업 중 첫 시행 및 완료된 의정부 직동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이용객의 공원이용현황과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을 통해 인식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특례사업 추진계획에 따른 대상지 아파트 거주민과 비거주민을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공원이용현황과 IPA 분석을 위해 중요도 및 만족도 설문을 수행하였다. 먼저 민간공원 특례사업 추진 시 발생하고 있는 입지적 특성 측면에서 현황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 연구대상지는 산지형 대상지들과 달리 평지형에 가까운 입지 형태를 보여 이용객들의 경관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례사업지 내 아파트 거주민들은 접근성이 용이하여 이용도가 비거주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IPA 분석 및 전략수립을 통해 항목별 인식차이를 확인하였다. 거주민은 I사분면에 시설 및 서비스에서 화장실 설치가 우선순위로 나타났으며, 비거주민은 주차시설과 휴식시설이 화장실 설치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II사분면에서는 전반적으로 거주민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공원까지의 거리는 만족도의 수준이 낮아 III사분면에 위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거주민과 비거주민 간의 인식차이는 추후 공원을 관리하는데 있어 접근적, 시설적 문제점들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조성 후에 거주민들의 인식차이를 고려한 관리전략을 수립을 통해 개선할 수 있는 방안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공원조성 목적과 공원의 유형선정, 유형별 계획 및 관리지표의 선정이 특례사업의 추진에 있어 공원조성 계획 시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