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COVID-19 Era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7초

포스트 Covid-19 시대의 배달소비 성향 분석 (Analysis of Delivery Consumption Trends in Post Covid-19 Era)

  • 정찬우;김지윤;신수현;김석호;유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289-290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로 미지의 질병과 맞닥뜨렸을 때의 소비 경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다각적인 방면에서 분석하고 성향 측정방법을 제시하였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는 디지털 혁명이 일어난 후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 중 그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흐름이다. 또한, 소비의 흐름에 있어서 모바일을 통한 배달이 주류가 될 것이라는 것은 누구든 손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후에 제2의 포스트 코로나 이후 방대하고 구체적인 데이터를 사용하여 똑같은 방법으로 재분석 한다면 기업의 입장에서 발 빠른 대응으로 경제 침체 속의 호황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선사들의 부산항 선택요인 변화분석 (A Study on the Busan Port Selection Factor Changes of Shipping Companies in the Post-Corona Era)

  • 심민섭;김주혜;김율성;남형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16-226
    • /
    • 2022
  • 세계 주요 글로벌 해운·항만의 산업 트랜드는 COVID-19 바이러스 확산, 글로벌 기업들의 GVC 재편, IMO의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인해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 속에서 부산항은 2013년 글로벌 컨테이너 항만순위 5위였으나 2014년 닝보-저우산에 밀려 세계 6위로 떨어졌다. 그리고 COVID-19 바이러스가 발생한 이후 2020년 부산항의 글로벌 컨테이너 항만순위는 Qingdao항에 밀려 7위로 떨어졌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부산항이 글로벌 컨테이너 항만들과 경쟁하여 항만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부산항의 경쟁력 요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종합적인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에 진행된 1차 연구와 비교하여 현재 글로벌 선사들이 항만을 선택하는데 있어 부산항의 경쟁력 요인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후 기항빈도와 성장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파악하여 종합적인 정책방안을 수립하였다. 분석결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부산항의 기항선호도와 성장가능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항만시설'로 나타났으며, 향후 기항빈도는 '지정학적 위치' 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회의 5대 본질적 기능 재고찰을 통한 포스트 코로나 교회론 (Post Covid-19 Ecclesiology through a Review of the Five Essential Functions of the Church)

  • 제해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33-246
    • /
    • 2020
  • 코로나19 사태 이후 세상의 지형은 코로나 이전과 코로나 이후로 나뉠 정도로 완전히 바뀌었다. 마스크, 사회적 거리 유지하기, 구내식당에서 한쪽 편에만 앉기, 온라인 비대면 수업 등과 같이 우리는 지금 코로나19 이전엔 생각도 못한 것들이 이제는 일상이 되어 버린 뉴 노멀의 시대를 살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부터 가장 심각하게 영향을 받은 곳은 다름 아닌 교회일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해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직면하면서 교회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에 교회의 5대 본질적 사명의 재성찰 하고자 한다. 5대 본질에는 무형교회의 3대 본질적 기능인 디다케(가르침), 케리그마(선포), 디아코니아(봉사)와 유형교회의 2대 본질적 기능인 코이노니아(교제)와 레이투르기아(예배)가 있다. 이들 중 코로나19 사태로 대면예배가 자제됨으로 인해 가장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는 것은 코이노니아와 레이투르기아이다. 위기의 때에 교회는 디다케적 기능을 잘 수행하고, 신자들 간의 수평적 코이노니아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하나님과의 수직적 코이노니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대면예배가 소원해진 상황에서 무엇보다 노력이 필요한 부분은 성경을 가르치는 것과 선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다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할 전문사역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항공과 대학생들의 실시간 온라인 원격수업의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후기수용모델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of Online Distance Learning of Airline Department Collegue Students : Focused on Post-Acceptance Model)

  • 이유진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07-124
    • /
    • 2020
  • Due to spread of covid-19, which began in December 2019, the usage of online distance learning has expanded within colleges. However, because of the lack of readiness for running online distance learning, professors and students had to experience a lot of inconvenience. In the near future, the usage of online distance learnig is expected to more expand, thus, it seems that there should be a strategies for sustainable online learning operatio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ich factors have impact on the continuance intention to usage of online distance learning of airline department students, focused on Post-Acceptance Model.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fter collecting 136 survey data. The results is as follow; First, user interface has positive impact on confirmation and confirmation has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of online distance learning. Seconds, confirmation has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flow and social presence. Third, social presence has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of online distance learning, but perceived usefulness and flow didn't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impact on satisfaction. Finally, statisfaction of online distance learning has huge positive impact on continuance intention to usage. It is expected tha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enable colleges effectively to run online distance learning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vid 19 era.

T Cell Immune Responses against SARS-CoV-2 in the With Corona Era

  • Ji-Eun Oh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11-222
    • /
    • 2022
  • After more than two years of efforts to end the corona pandemic, a gradual recovery is starting in countries with high vaccination rates. Easing public health policies for a full-fledged post-corona era, such as lifting the mandatory use of outdoor mask and quarantine measures in entry have been considered in Korea. However, the continuous emergence of new variants of SARS-CoV-2 and limitations in vaccine efficacy still remain challenging. Fortunately, T cells and memory T cells, which are key components of adaptive immunity appear to contribute substantially in COVID-19 control. SARS-CoV-2 specific CD4+/CD8+ T cells are induced by natural infection or vaccination, and rapid induction and activation of T cells is mainly associated with viral clearance and attenuated clinical severity. In addition, T cell responses induced by recognition of a wide range of epitopes were minimally affected and conserved against the highly infectious subsets of omicron variants. Polyfunctional SARS-CoV-2 specific T cell memory including stem cell-like memory T cells were also developed in COVID-19 convalescent patients, suggesting long lasting protective T cell immunity. Thus, a robust T-cell immune response appears to serve as a reliable and long-term component of host protection in the context of reduced efficacy of humoral immunity and persistent mutations and/or immune escape.

코로나19로 인한 소비가치 변화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impact of the consumption value changed by COVID-19 on the purchasing behavior)

  • 이수정;문혜영;조미영;함선옥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39-149
    • /
    • 2022
  •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the consumption value changed by COVID-19 has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industry foodservices dietitians and to provide baseline data in setting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food materials distribution companies in the future.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for eight days from May 13th to 20th 2021 and 260 cop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elicited. First, consumption values that impact purchasing behaviors of industry foodservices dietitians are functional value and situational value. Second, for dietitians working at directly managed foodservice establishments, the higher the functional value of the food materials is, the higher the purchasing behavior. But such correlation was not found in the case of dietitians at consignment establishments. Third, compared to before and after COVID-19, the importance of functional value of food materials decreased, while the importance of situational value increased.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differentiated by direct and consignment management will contribute to the energetic sales of the food material companies in the era of post COVID-19.

COVID-19 시대 사회안전망 평가와 정부신뢰가 증세 수용에 미치는 영향: 소득 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valuations of Social Safety Net and Trust in Government on the Willingness to Accept Tax Increases in the Era of COVID-19: the Moderating Role of Income Levels)

  • 노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154-165
    • /
    • 2020
  • COVID-19 팬데믹의 장기화로 인해 우리는 유례없는 사회경제적 위협에 직면해 있다. 인적 교류의 통제로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위협 뿐 아니라 경제 활동 위축에 따른 부담에까지 동시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가 그간 위기상황에 대비해 마련해 놓았던 사회안전망에 대해 재점검해 볼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사회안전망에 대한 평가가 정부의 신뢰도 및 정부 주도의 증세 정책에 대한 수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COVID-19가 팬데믹 국면으로 접어든 이후인 2020년 5월, 전국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COVID-19 발발 이후 우리나라의 사회안전망에 대한 평가는 정부에 대한 신뢰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는 개인의 증세 정책에 대한 수용을 보다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정부 신뢰의 증세 수용에 대한 정(+)의 영향력은 소득 수준이 높아질 때 보다 증폭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결과는 향후 코로나 이후를 대비한 정책과 시스템의 재정비에 있어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재택근무의 위험성과 개선방향 - 정신적, 신체적 사안을 중심으로 (Risk and Improvement Measures of Work from Home in the Post-COVID-19 Era - Focusing on Mental and Physical Issues)

  • 엄태수;신은택;송창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93-101
    • /
    • 2023
  • The COVID-19 pandemic has significantly impacted how people work, resulting in a massive shift towards working from home or remotely. Work from home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reducing the transmission of COVID-19 by limiting in-person interactions and reducing the density of people in office buildings. It also enabled businesses and organizations to continue operating while keeping their employees safe and healthy. The COVID-19 pandemic accelerated the adoption of work from home in business and organizational sectors worldwide, and it is likely to continue as a preferred mode of work even after the pandemic is over. This shift towards working from home has not only impacted the way people work but also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rban development, transportation, and the environment. This study intends to develop measures for addressing potential physical and mental health issues among remotely working employees. Additionally, it identifies the major influencing factors of home workers' health hazards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to working from home, along with existing laws and prevention methods.

지속 가능한 의료시스템 재건이 필요하다 (Sustainable Healthcare System Needs to be Rebuilt)

  • 이선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5-246
    • /
    • 2022
  • Concerns about a global economic recession are rising follow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Accordingly, government entities, which are committed to overcome two barriers to severe inflation and economic recession, are showing high interest in spending management so as not to undermine fiscal soundness. Since the health care sector especially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of fiscal expenditure, it should be managed in a manner that the expense is appropriately spent.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nd Healthcare System have secure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reliability by effectively responding to the COVID-19 pandemic. Likewise, considerable efforts should be made to reorganize the welfare and healthcare systems so that they can be sustainable during the post-COVID-19 era and the recession.

코로나19와 한국의 글로벌가치사슬(GVC) 변화 (COVID-19 and Changes in Global Value Chains of Korea)

  • 구양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9-22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른 한국의 무역 및 산업의 변화를 글로벌가치사슬 관점에서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코로나19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방역용품과 GVC 참여도가 높은 IT산업을 분석하였다. 방역용품은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라 수출입 변동 폭이 컸다. 마스크의 경우 최종재는 수출입이 급격히 변화했지만 중간재의 변화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한국의 IT산업은 GVC에서 전방참여도가 높아지고 후방참여도가 낮아지는 전반적인 변화 속에서 주요 무역대상국별로 차별화된 특성을 보였다. 아직까지 코로나19로 인한 변화가 직접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중국, 베트남과의 생산 연계와 무역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다변화 전략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코로나19는 여전히 진행 중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GVC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의 전략과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