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itive career attitude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6초

스포츠 재활 교육이 심리적 반발을 통해 진로 및 취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ports rehabilitation education on career and employment will through psychological resistance)

  • 송기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187-199
    • /
    • 2024
  • 한국의 교육 생태계로 인해 성적에 따라 스포츠 재활 전공에 진학한 학생들이 학과에 적응하고, 진로를 찾고, 취업 의지를 갖도록 동기 부여 등 새로운 균형을 모색해야 하는 중대한 시점이나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재활 교육이 심리적 반발을 통해 진로 및 취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으로 스포츠 재활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3년 12월 11일부터 12월 28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212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스포츠 재활 교육자의 지식이 자발적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재활 교육자의 역량이 자발적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재활 교육자의 역량이 비자발적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발적 심리가 진로 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자발적 심리가 취업 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반대로 비자발적 심리가 취업 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심리적 반발을 통해 진로 및 취업 의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공 교육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 긍정경험 구성 변인 간의 구조방정식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mong Component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 김희경;곽영순;강훈식;신영준;이성희;이수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07-521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학습 관련 정의적 특성 간의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과학 긍정경험' 구성 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경로모형을 규명하는 것이다. 여기서 과학 긍정경험이란 과학학습에 관련된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험의 총체를 의미하며, 과학 긍정경험에 따른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를 구성하는 5개 하위 변인은 '과학 학습 정서', '과학관련 자아개념', '과학 학습 동기', '과학관련 태도', 및 '과학관련 진로 포부'이다. 전국 17개 시도에서 4학년, 6학년, 8학년, 10학년에서 각각 1개 학급 학생들을 임의로 표집하여, 총 1841명을 대상으로 '과학 긍정경험 지표검사(TIPES)'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선정하고, 최종 구조방정식 모형의 경로계수가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과학학습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는 모두 과학관련 자아개념을 경유하여 과학 학습 동기, 과학관련 태도, 과학관련 진로 포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에 따른 집단 간 과학 긍정경험의 5개 하위 영역의 평균 차이를 t-test 검증을 통해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과학 긍정경험의 5개 하위 영역은 성별, 학교급, 지역규모, 과학관련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라 구조방정식 경로모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다집단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성별과 학교급별에 따라서는 집단 간에 경로계수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난 반면, 지역규모와 과학관련 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서는 집단 간 경로계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정의적 성취를 돕기 위한 과학교육에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호텔 식음료 종사원이 인식하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근속연수와 성별의 조절효과 (Impact of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 Perceiving by Hotel F&B Employe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n Staff's Career and Gender)

  • 변재우;고재윤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4-81
    • /
    • 2012
  • 본 연구는 특급호텔 종사원이 인지하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인과관계에서 근속연수와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301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총 5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 차원 중 카리스마와 동기부여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조직몰입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종사원들이 인지하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 중 카리스마와 동기부여는 종사원들로 하여금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근속연수와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근속연수에 따른 조절효과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교과 진로교육 관심단계와 실행수준 및 실태: CBAM 모형에 기초하여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about Career Education: Based on CBAM(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

  • 최민지;박미정;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9-65
    • /
    • 2011
  • 본 연구는 관심에 기초한 도입 모형(CBAM: 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을 활용하여 가정과수업에서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단계와 실행수준 및 실태를 파악하여 진로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진로교육의 실행을 위한 지원체제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제주지역을 제외한 전국 중학교 가정과교사이며, 체계적 무선 표집에 의한 우편 설문과 편의 표집에 의한 이메일 설문을 통해 총 118부를 수집하여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12.0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독립적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가정과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은 개인적이고 정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에 반해 실행수준은 다소 높은 수준인 정교화 수준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이 낮은 반면 자신의 실행수준은 다소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교사들은 가정과수업에서 진로교육을 실행하는데 자료, 시간, 전문 지식 부족 등 총체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관련 자료 개발과 보급 및 연수 기회 제공과 같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 PDF

의과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이 진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dical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on Career Adaptability)

  • 천경희;박은아;송영명
    • 직업교육연구
    • /
    • 제30권4호
    • /
    • pp.161-177
    • /
    • 2011
  • 본 연구는 의과대학생들의 진로적응에 대한 자기조절학습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구지역 K 의과대학에 재학 중인 25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과 진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진로적응 수준에 따라 고 저 집단으로 나눈 후 이들 집단 간 자기조절학습 정도에 대하여 집단 간 차이검증(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험불안을 제외한 모든 자기조절학습 영역에서 진로적응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높은 집단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적응의 하위요인인 책임감, 대인관계, 주도성, 긍정적 태도에 대한 자기조절학습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해본 결과, 전체 진로적응점수에 대하여 인지조절과 행동조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동기조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적응의 하위요인인 책임감과 대인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주도성과 긍정적 태도에 대해서는 동기조절의 유의한 영향력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본 연구자들은 개인적인 메타인지, 동기, 행동 전략의 구사와 조절능력이 개인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의과대학에서의 학생적응을 돕기 위한 자기조절과 관련된 중재의 필요성과 진로적응을 돕기 위한 상담 및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항공안전 인식이 전공인식, 전공몰입, 취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Aviation Safety Perception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on Major Recognition, Major Commitment, and Employment Efficacy )

  • 김하영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19-132
    • /
    • 2023
  • In recent years, the competition for employment among college students has become more intense. It is also the time when strong personal beliefs and will to develop careers are required for successful employment through stable major study.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effect on major attitude and employment efficacy according to the level of aviation safety perception, which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aviation industry. For analysis, survey is conducted targeti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who are enrolled in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Chungcheong area.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e stud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based on questionnaire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ment items are verifi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is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safety knowledge and safety consciousness, which are sub-factors of aviation safety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have a positive (+) effect on subject recognition, learning process recognition, and career recognition of major recognition. Second, subject recognition, learning process recognition, and career recognition, which are sub-factors of major recognition, a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major commitment. Third, it is found that major commitment have a positive (+) effect on employment effica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actical support plans and strategies for effective major study and successful employment are presented.

증등 수학교사의 교수-학습에 대한 태도 조사 분석 - 부산시 및 경상남도 중등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survey on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ttitudes toward Teaching and Learning)

  • 이종연;이상백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1-29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improve the plans and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contribute to developing teachers` quality and reeducating them by investigating teachers' attitudes toward teaching and learn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the students' ability development at mathematics. The inventory was composed of 56 items : three main areas and eight sub-areas. Added seven background factors were sex, by whom was established (is it a public or nongovernmental \ulcorner), teaching career, age, what kind of school (is it general or vacational high school or middle school\ulcorner), region, college. For this analysis of materials used SAS program. And analysis of variance was applied on the seven background factors. All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41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in pusan city and Kyungsangnam-do were surveyed by the questionnaire of Likert type to which the respondents' seven background elements were added. Main results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overall attitude of the measured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tends to be positive but a little indifferent. Also attitude toward the students was a little more positive than the other attitude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1%) among the sub-level areas except three of them. (r = 0.17~0.60)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5%) by the result of Multiple comparison test among the schools in learning and teaching. So the teachers working at middle schools and general high schools were more positive than those working at vocational high schools. 4. The result of comparison among region was that teachers working in towns and cities were more positive than those working in the countr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working in large cities and those working in other region.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attitudes toward teaching and learnig among the sex, by whom was established(is it public or nongovernmental\ulcorner), teaching career, age, college. The study left much deficiency to be desired and has to be followed by a continuing study to make it better. For the following stud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tools more thoroughly and investigate the attitudes with sufficient samples all over the country.

  • PDF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st for Indicator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 신영준;곽영순;김희경;이수영;이성희;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35-346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과학긍정경험 지표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 도구의 개발 과정은 문헌 연구, 검사 도구 초안 개발, 예비검사 및 검사 도구 수정, 본 검사 실시 등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즉 문헌 연구 및 2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과학긍정경험 지표의 5가지 구성 요소(과학 학습 정서, 과학관련 자아개념, 과학 학습 동기, 과학관련 진로 포부, 과학관련 태도)를 설정한 후, 4, 6, 8, 10학년 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검사와 전문가 협의회를 통하여 검사 도구를 수정보완 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4, 6, 8, 10학년 학생 1,841명을 대상으로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를 실시하였다. 신뢰도 및 확인적 요인 분석 검사 결과,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 도구의 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가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학긍정경험의 규준 분포 및 과학긍정경험지수에서 학년, 성, 지역 규모, 과학관련 활동경험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가 과학교육 연구 및 학교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교육적 함의를 논하였다.

타과 의사들의 정신과에 대한 태도 (Nonpsychiatric Physicians' Attitudes toward Psychiatry)

  • 고경봉;이희상
    • 정신신체의학
    • /
    • 제6권1호
    • /
    • pp.13-21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타과 의사들의 정신과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타과의사 12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이용하여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의사들은 정신과교육, 정신과자문, 정신분석학, 학생들의 정신과선택, 정신과의사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스탭들은 전공의들보다, 상급 스탭들은 하급 스탭들보다 정신과에 대해 더 긍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한편 내과계 스탭들이나 전공의들이 외과계 스탭들이나 전공의들보다 일부 정신과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더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내과계와 외과계의사들 간의 정신과에 대한 태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과거 정신과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 학문으로서 정신과에 대한 매력 및 발전에 대한 인지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많을수록 정신과의 위치 및 효율성, 정신과의사의 역할과 기능에 있어서 긍정적인 반응이 더 많았다. 이상의 결과들은 과거 정신과에 대한 관심도, 연령 및 오랜 임상 경험이 정신과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임을 시사한다. 또한 향후 타과 의사들의 정신과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을 위한 정신과 교육에 관한 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일 정신병원 직원의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 (Staffs' Attitudes and Opinions toward Psychiatry in a Psychiatric Hospital)

  • 류석환
    • 정신신체의학
    • /
    • 제13권1호
    • /
    • pp.60-66
    • /
    • 2005
  • 연구목적 : 병원에 근무하는 직원의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향후, 직원과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한 정신과와 정신과 질환에 대한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방법: 일 병원에 근무중인 직원을 대상으로 하여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며, 두 개의 요인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요인이 있었으나, 직접 접촉군이 더 긍정적이었다. 정신과 영역의 장점 요인에서 여성이 더 긍정적이었으며, 효용 요인에서도 여성이 더 긍정적이었고, 정신과 의사의 기능과 역할 정의 요인과 일어날 수 있는 남용과 사회적 비난 요인과 경력과 개인적 보상 요인에서는 직접 접촉군이 더 긍정적이었다. 결론: 정신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있어 직접 접촉군이 더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정신과 병원에 근무하는 직원과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