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act of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 Perceiving by Hotel F&B Employe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n Staff's Career and Gender

호텔 식음료 종사원이 인식하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근속연수와 성별의 조절효과

  • Byun, Jae-Woo (Dept. of Culinary and Foodservice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
  • Ko, Jae-Youn (Dept. of Culinary and Foodservice Management, Kyung Hee University)
  • 변재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
  • 고재윤 (경희대학교 대학원 조리외식경영학과)
  • Received : 2011.11.28
  • Accepted : 2012.02.26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deluxe hotel employees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s of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s. It also were verified moderating effects based on career and gender in terms of causal relationship. Based on 301 reserved samples for empirical study, reliability and suitability were reviewed, and total 5 hypotheses were verifi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results were shown that charisma and motivat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on job satisfaction. Through these findings, among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perceiving by employees, charisma and motivation were shown to give encourage employees to have them a positive attitude towar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and gender,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s as follows. Moderating effects based on career do exist, while moderating effects based on gender do not exist.

본 연구는 특급호텔 종사원이 인지하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 스타일에 따라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인과관계에서 근속연수와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301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총 5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 차원 중 카리스마와 동기부여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조직몰입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종사원들이 인지하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 중 카리스마와 동기부여는 종사원들로 하여금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근속연수와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근속연수에 따른 조절효과는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