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 of Busan

검색결과 925건 처리시간 0.023초

Activation Strategy for the Ship Supply Industry at the Port of Busan

  • Gu, Min-Jin;Ahn, Jin-Woo;Moon, Sang-Young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1-148
    • /
    • 2012
  • This study evaluates how activation plans presented by previous research are perceived by employees in the ship supply industry by sample surveys. Anothe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lso assist in the selection of effective activation plans.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difficult for the Port of Busan to strengthen its competitiveness in the ship supply industry by maintaining the status quo. Much research extending the scope of research subjects in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ndicate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s very important for creating new value for the Port of Busan. The results shows that improvement in the retail structure and government suppor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ship supply industry activation.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한 전문가, 시민, 방문객 의식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ttitudes of Experts, Citizen and Visitors towards Busan Portscape)

  • 이한석;도근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47-254
    • /
    • 2009
  • 본 연구는 부산항의 미항만들기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항만경관을 인식하는 사람을 전문가, 시민, 방문객으로 구분하고 부산항 항만 경관에 대한 각 그룹의 의식을 비교분석하는 실증적 연구이다. 연구내용으로는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해 세 그룹이 가지는 의식특성을 알아보고 그룹들 사이에 존재하는 의식차이를 분석하며 항목별로 구체적인 의식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서 그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항 항만경관의 개선 대책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전문가, 시민, 방문객은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한 의식에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전문가그룹은 시민 및 방문객 그룹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의식차이를 보이고 있는 반면에 시민과 방문객그룹 사이에는 의식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향후 항만경관의 개선 및 평가에서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의식차이를 고려하여 두 그룹을 구분하고 각각의 견해를 비교분석하여 적절한 의견을 항만경관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산신항 진출입 항로 내 선박 통항 안전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Improvement of Vessel Traffic in the Busan New Port Entrance)

  • 최봉권;박영수;김니은;김소라;박현구;신동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21-330
    • /
    • 2022
  • 부산항은 우리나라 항만 중 가장 많은 물동량을 처리하고 있으며, 부산신항은 부산항 전체의 물동량 중 68.5%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물동량 증가로 인하여 부산신항에는 극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입항하고, 최근에는 남컨테이너 부두 선석 추가 개장 및 현재 진행중인 서컨테이너 부두 건설 사업이 완료되면 부산신항 진출입 항로 내 다양한 조우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충돌 위험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신항 진출입 항로 내 선박 통항 안전성을 향상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신항 내 항만 입출항 현황, 해상교통흐름을 살펴보았으며, AHP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 수역 이용자들로부터 위험요소 및 안전대책을 식별하였다. 또한, 도출된 안전대책을 기반으로 환경 스트레스 모델(Environmental Stress model, ES model)을 활용하여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해상교통류 시뮬레이션 실시하여 각 안전대책의 교통 위험도를 파악하였다. 설문조사 및 시나리오 평가 결과, 선박운항자는 일방통행을 위한 진입금지 해역 설정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이는 위험도 경감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는 부산신항을 입출항 하는 선박들의 통항 안전성 제고를 위한 안전대책 마련의 기반이 될 수 있으며, 추후 안전대책이 마련되면 부두 신설에 따라 변화된 교통량과 교통흐름을 활용하여 안전성에 대한 검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부산항의 재개발 대상지 선정 및 재개발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ng Target Areas & Establishing Directions for Redevelopment of Busan Port)

  • 여기태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403-419
    • /
    • 2003
  • 우리나라의 부산항의 경우 과대한 물동량 처리, 이에 따른 체선$.$체화현상의 심화, 항만경쟁력 향상을 위한 신항만건설 등이 종합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지역이다. 특히, 기존 부산항지역의 기능이 상당부분 신항만으로 이전되고 난 후에는 선진사례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항만의 재개발문제가 제기 될 것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항만구역에서의 항만재개발은 국소지역을 대상으로 한 생산성향상 측면의 개발은 시행되고 있으나, 전반적이고 체계적인 항만재개발을 고려하고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부산항 기존항만구역에 대한 전반적인 항만재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Measurement of Port Service Quality in Container Transport Logistics Using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A Case of Busan Port

  • Ha, Min-Ho;Ahn, Ki-Myung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53-358
    • /
    • 2017
  •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assessment tool of port service quality (PSQ) in the context of container transport logistics (CTLs), by taking the perspectives from port users. The CTLs defined in this study are the relevant activities of serving the physical flows of a container box from a point of origin via a container port to a point of destination. To address the ports' role in collaboration between its channel members in CTLs, the PSQ measures for all port user groups (i.e. common PSQ measures) are selected based on the relevant CTLs activities involved by port, and its users within terminal/port area as well as throughout the CTLs chain.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is applied as a diagnostic tool to analyse the status quo of Busan Port in CTLs contexts, by compar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IP ) scores against each individual CTLs criterion. The findings from the IPA reveal that port managers and policy makers at the Busan Port should concentrate on six PSQ measures (i.e. SR1, SR4, ITS1, VAS1, VAS4, ICI3) to enhance PSQ in CTLs. However, four measures (i.e. ITS2, ITS3, ITS4, VAS2) are identified as a possible overkill, indicating an area of inefficiency where a remedial action of the cost-cutting decision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the Busan port shows an outstanding performance on four measures such as SR2, SR3, ICI1 and ICI2. The measures are not only important but also high performance. The study findings provide managerial guidance to port managers in Busan Port, in view of searching for managerial and operational strategies for sustainable port growth.

부산항 재개발 대상지의 개발우선순위 평가 및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Development Priority Order & Scheme for Redevelopment Target Area in Pusan Port)

  • 여기태;박창호;김진구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1-83
    • /
    • 2002
  • Korea has designated 28 trade ports and 22 coastal ports under the Ports Act. If fishery ports and small inlets are counted, the number amounts to hundreds of ports. However, untimely and inefficient maintenance and repair works face Korean ports with functional loss, decreasing efficiency, and even catastrophe. Thus, further examinations on the maintenance or redevelopment of forts in Korea are urgent. Since the Korean War and the higher economic growth period in the 1970s, Busan Port has developed in a variety of ways,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social conditions at any given time, without any development Philosophy or systematic long-term master plan. As a result, ports and coastal industrial facilities have rushed to gather around the present North Busan Port, which has taken on mixed functions between ports and cities, adversely affecting several of their interactions. To resolve these circumstances, several redevelopment schemes were suggested for centering the old zone in the Busan Port interim. However,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redevelopment schemes combining functions of both ports and cities, and effectively utilizing coastal zones have never been presented. In this respect, this study sets the priority order of the extracted unit project. This study analyzes the existing functions and facilities of Busan Port, extracting facility zones through redevelopment which is certain to fail or to decrease in efficiency.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s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specified redevelopment unit projects of higher priority order, and pursues the integrated plan of efficiency for Busan Port.

  • PDF

SEM에 의한 컨터미널의 통합유인요인과 통합효과간의 관련성분석 - 부산북항을 중심으로 -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Integration Incentive Factor and Integration Effect of Container Terminal by SEM - Primarily on the Busan North Port -)

  • 안기명;추연길;이광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5-242
    • /
    • 2010
  • 현재 부산항은 위기에 처해 있다. 외부적으로는 세계적인 경제불황으로 전반적인 물동량 감소도 있지만, 신항개장 이래로 북항과 신항 간의 물동량 유치를 위한 출혈경쟁으로 터미널 채산성이 악화되고 부산항 이미지가 크게 손상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근본적으로 부산북항이 하역사위주의 운영사로 난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북항터미널의 통합유인요인이 실질적으로 부산항의 경쟁력제고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북항터미널 운영사를 통합하여 글로벌 터미널 하여야만 선사서비스능력, 항만생산성을 제고시켜 긍극적으로 물동량 증대와 동북아허브항만화에 기여할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부산항 경쟁력제고를 위해 부산북항 터미널의 통합이 정책적으로 시급함을 보여주고 있다.

21C 종합항만을 위한 부산항의 추진과제 평가 (An Evaluation of Action Plan for Busan Port to grow as Complex Port in 21st Century)

  • 허윤수;김율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7-63
    • /
    • 2008
  • 최근 미국 LA항과 LB항, 로테르담항을 중심으로 친환경적인 항만을 개발하기 위한 Green Port 추진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싱가포르항, 상하이항, 두바이항 등은 화물, 사람, 정보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는 진정한 의미의 종합항만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제 항만은 더 이상 여객이나 화물을 실어 나르는 단순한 역할만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21C 종합항만은 항만 그 자체가 여객이나 화물, 정보, 금융의 집결지가 되고, 항만주변의 물류배후부지가 화물을 창출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HP 분석을 통해 21C 종합항만으로 성장하기 위한 부산항의 추진과제를 각 분야별로 도출하고, 도출된 추진과제를 정량요인(지역내 사업비중, 특화정도, 산업연관효과)과 정성요인(미래성장성, 경쟁력확보, 혁신역량)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추진과제별 평가값을 바탕으로 사업의 우선순위 도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부산항만.물류EXPO 유치전략에 관한 연구 (The Attracting Strategies for Busan Harbour EXPO)

  • 손애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17
    • /
    • 2005
  • This study suggests the holding of the 2015 Busan Harbour Registration Exposition in order to activate port & logistics industry, motivate Busan regional development and set up the long-term goal of local people. The SWOT analysis shows that the given conditions of Busan is competitive to attract the 2015 Busan Harbour Registration Exposition, which might be further strengthened for the competitiveness of the Port of Busan. The way to maximize the holding possibility of the EXPO, then, should be more emphasized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Pre-Expos periodically and successively by developing and planning perfectly logicality, differentiated subject and concept of the EXPO which accepted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country.

  • PDF

TOPSIS를 이용한 부산항과 상해항의 터미널 경쟁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of Terminals in Busan and Shanghai Ports using TOPSIS)

  • 김아롬;김광희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9-3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항만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고, 둘째, 부산항과 상하이항의 터미널별 경쟁력을 TOPSIS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부산항의 항만경쟁력 제고 방안을 마련한다. 분석결과, 물동량 요인의 경쟁력은 상하이항의 SMCT, SGICT가 부산항의 터미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만시설 요인과 재무적 요인은 각각 상하이항의 SMCT와 SSICT가 가장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인 경쟁력은 상하이항(SSICT, SMCT 및 SGICT) 이 부산항 컨테이너 터미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SICT는 종합적인 경쟁력이 가장 높은 터미널로 이 연구에서 분석되었고, 항만시설 요인과 재무적 요인에서 각각 가장 높은 경쟁력을 보였다. 상하이항의 SMCT는 물동량 요인에서 가장 경쟁력이 있는 터미널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환적항 및 국제물류 거점항으로서 국제적인 지위도 낮아지고, 경쟁 국제항만에 비하여 최근의 성장세도 주춤한 상황에 놓여있는 부산항의 정책에 주요 시사점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