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Attitudes of Experts, Citizen and Visitors towards Busan Portscape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한 전문가, 시민, 방문객 의식 비교연구

  • Lee, Han-Seok (Division of Architecture & Ocean Space,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Doe, Geun-Young (Division of Architecture & Ocean Space,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이한석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간건축학부) ;
  • 도근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공간건축학부)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is is a first and basic study for making Busan port more attractive. The study is intended to clear up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landscape of Busan port area from the viewpoint of landscape experts, citizen and visitors. To reach the goal an attitude comparative study has been conducted using a same questionnaire between landscape experts working in Busan city, Busan citizen and visitors to Busan port area. In questionnaire, firstly the situation of the whole landscape of Busan port area has been asked. The contents of questions on the situation of port landscape are satisfaction about port landscape, harmony between cityscape and portscape, images of portscape, effects of 25 portscape elements on portscape, problems of portscape, and ways of improving portscape. Secondly, each respondent has given answers freely on how to make Busan port area more attractiv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several important differences of attitudes towards Busan portscape between experts, citizen and visitors. Especially there are some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attitudes of experts and citizen but the attitudes of citizen are similar to those of visitors. At the end of the study some proposals for making an improvement of Busan port landscape have been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attitude comparative study.

본 연구는 부산항의 미항만들기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항만경관을 인식하는 사람을 전문가, 시민, 방문객으로 구분하고 부산항 항만 경관에 대한 각 그룹의 의식을 비교분석하는 실증적 연구이다. 연구내용으로는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해 세 그룹이 가지는 의식특성을 알아보고 그룹들 사이에 존재하는 의식차이를 분석하며 항목별로 구체적인 의식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서 그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항 항만경관의 개선 대책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전문가, 시민, 방문객은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한 의식에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전문가그룹은 시민 및 방문객 그룹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의식차이를 보이고 있는 반면에 시민과 방문객그룹 사이에는 의식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향후 항만경관의 개선 및 평가에서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의식차이를 고려하여 두 그룹을 구분하고 각각의 견해를 비교분석하여 적절한 의견을 항만경관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부산항 미항개발 중장기발전 연구용역 보고서", (2008)
  2. 부산광역시(2005), "부산광역시 도시경관기본계획"
  3. 부산광역시 도시개발심의관실(2004), "해안경관개선연구 보고서"
  4. 부산광역시(2003), "부산다운건축 마스터플랜"
  5. 부산항만공사(2005), "부산항 재래부두 재개발 방안 연구
  6. 윤상호, 이종훈, 홍장원, 박상우(2003), "해안지역의 경관 관리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7. 이한석, 봉종현, 고덕형(2008), "부산항 미항만들기를 위한 기본구상", 2008년도 추계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8권 제2호, pp83-88
  8. 이한석, 박경일(2008),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한 전문가 의식조사 연구", 2008년도 하계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8권 제1호, pp269-274
  9. 이한석, 이명권, 류균용(2008),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한 시민 의식조사 연구", 2008년도 하계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8권 제1호, pp175-179
  10. 이한석, 정원조(2006), "부산 북항 재개발지역 경관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0권 6호, pp.541-549 https://doi.org/10.5394/KINPR.2006.30.6.541
  11. 이한석, 이명권(1996), "부산의 해양경관계획을 위한 경관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5권 6호, pp15-24
  12. 한국경관협의회(2005), "2005국제심포지엄: 21세기 도시의 스카이스케이프디자인"
  13. 해양수산부(2002), "연안경관 및 조망권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연구"
  14. 東惠子(1992), "淸水港, みなと色彩計劃策定調査報告書", 靜岡縣淸水港管理局
  15. 日本建築學會(1988), "海洋建築計劃指針"
  16. 日本土木學會, 港の景觀設計, 배현미, 김종화, 김경인 (2001), 보문당
  17. 橫內憲久외 편저, 이한석, 도근영 역(2000), 워터프론트계획, 도서출판 이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