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olic Compound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4초

Resveratrol Impaired the Morphological Transition of Candida albicans Under Various Hyphae-Inducing Conditions

  • Okamoto-Shibayama, Kazuko;Sato, Yutaka;Azuma, Toshifum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5호
    • /
    • pp.942-945
    • /
    • 2010
  • The ability of the human fungal pathogen Candida albicans to undergo the morphological transition from a single yeast form to pseudohyphal and hyphal forms in response to various conditions is known to be important for its virulence. Many studies have shown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resveratrol, a phytoalexin polyphenolic compoun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fungal activity of resveratrol against C. albicans. Both yeast-form and mycelial growth of C. albicans were inhibited by resveratrol. In addition, normal filamentation of C. albicans was affected and yeast-to-hypha transition under serum-, pH-, and nutrient-induced hyphal growth conditions was impaired by resveratrol.

Chlorogenic acid 및 인동등 ethyl acetate 분획의 비장 및 흉선 세포에서의 유전자 발현 분석을 통한 면역조절효과 (Immunomodulatory effects of chlorogenic acid and ethyl acetate fraction from Lonicera japonica on cytokine gene expression profiles in spleen and thymus)

  • 하태광;이영철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0
    • /
    • 2011
  • Objective : Lonicera japonica contains anti complementary polysaccharides and polyphenolic compound. Among these polyphenolic substances, chlorogenic acid is the major active component of this plant. However, the immunological mechanisms for these activities, have not been elucidated, nor the active components. To clarify immunomodulatory effects of those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ity of CD8+ T cell-mediated lysis and the frequency of cytokine profiles in spleen, thymus (especially IFN-${\gamma}$, IL-4, GM-CSF etc.) expressing CD8+ T cells activated by IL-2. Methods : To study immunomodulatory effects ethyl acetate fraction from Lonicera japonica, chlorogenic acid on cytokine gene expression from spleen, thymus cells, RT-PCR was performed after quantitative normalization for each gene by a densitometry using ${\beta}$-actin gene expression. A modified standard $^{51}Cr$-release assay was used to measure cytotoxic activities of cytotoxic T cells. Spleen, thymus cells from NOD mice were stained with CD3, CD4, CD44, CD69 in staining buffer and analyzed by two color flow cytometry. Results : We showed that ethyl acetate fraction from Lonicera japonica in combination with IL-2 resulted in a significant enhancement of PCR products for IFN-${\gamma}$, IL-4, IL-10, GM-CSF, IL-6 and cytotoxtic CD8+ T cell proportion in spleen and thymus T cells in NOD mice. This suggests that IFN-${\gamma}$, IL-6 like IL-4 may be acting as a regulatory rather than proinflammatory cytokine. Conclusions :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hich showed that ethyl acetate fraction from Lonicera japonica and chlorogenic acid upregulating cytokine gene expression in spleen and thymus, we are tempted to speculate that some of the therapeutic efficacies such as anti-diabetic activity of Lonicera japonica are due to the immunomodulatory its ethylacetate fraction and chlorogenic acid.

국내 시판되는 식초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Vinegars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n Markets)

  • 이선미;최용민;김영화;김대중;이준수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3호
    • /
    • pp.221-22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19종 식초 및 식초음료에 대해 항산화활성과 항산화성분의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사믹식초가 372.53mg/100mL로 가장 높았으며, 주로 음료용 식초가 조리용 식초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발사믹 식초가 114.40mg/100mL로 가장 높았으며, 주로 음료용 식초가 조리용 식초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에, 유기산 함량에서는 빙초산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식초의 유기산 함량과 항산화 성분 활성은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이는 식초의 유기산이 항산화활성에는 관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식초는 발사믹 식초였으며, 주로 음료용식초가 조리용식초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식초의 항산화활성에 주로 기여하는 물질은 폴리페놀 화합물로 생각된다.

Bioconversion of Piceid to Piceid Glucoside Using Amylosucrase from Alteromonas macleodii Deep Ecotype

  • Park, Hyunsu;Kim, Jieun;Park, Ji-Hae;Baek, Nam-In;Park, Cheon-Seok;Lee, Hee-Seob;Cha, Jae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2호
    • /
    • pp.1698-1704
    • /
    • 2012
  • Resveratrol, or its glycoside form piceid, is a dietary antioxidant polyphenolic compound, found in grapes and red wine that has been shown to have protective effects against cardiovascular disease. However, very low water solubility of the compound may limit its application in the food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The amylosucrase (AMAS) of Alteromonas macleodii Deep ecotype was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nd showed high glycosyltransferase activity to produce the glucosyl piceid when piceid was used as an acceptor. The conversion yield of piceid glucoside was 35.2%. Biotransformation using culture of the E. coli harboring the amas gene increased the yield up to 70.8%. The transfer product was purified by reverse phase chromatography and recycling preparative HPLC, and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e piceid glucoside was determined using NMR spectroscopy. The piceid glucoside was identified as glucosyl-${\alpha}$-($1{\rightarrow}4$)-piceid. The solubility of glucosyl piceid was 5.26 and 1.14 times higher than those of resveratrol and piceid, respectively. It is anticipated that dietary intake of this compound is more effective by enhancing the bioavailability of resveratrol in the human body because of its hydrophilic properties in the intestinal fluid.

녹숙(綠熟)고추의 저온저장(低溫貯藏)에 따른 종자갈변(種子褐變)에 관(關)한 생리화학적연구(生理化學的硏究) -제 1 보(第 1 報) 종자갈변(種子褐變)에 관계(關係)되는 기질(基質)과 중간대사성분(中間代謝成分)의 변화(變化)- (Physio-chemical studies on the seed browning in mature green peppers stored at low-temperature (Part 1) -Changes in between-step metabolites and substrates in the seed-browning effect-)

  • 이성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9-36
    • /
    • 1971
  • 감미종(甘味種) 소형(小型)고추인 Zairasisi를 저온저장(低溫貯藏)하니 종자(種子)의 갈변(褐變)이 급속(急速)히 일어났기에 여기에 주목(注目)하여 갈변기질(褐變基質)인 polyphenol 성분(成分)을 검색(檢索) 정량(定量)하고 이들 기질(基質)에 이르는 중간(中間) 대사(代謝) 성분(成分)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 고찰(考察)하였다. (1) 종자(種子)의 polyphenol 성분(成分)으로서 chlorogenic acids가 검출(檢出)되었고 flavanol type polyphenols는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2) Chlorogenic acid와 total polyphenol 함량(含量)은 저온처리(低溫處理)에 의하여 급증(急增)하고 갈변후(褐變後)는 감소하여 상온구(常溫區)보다 오히려 함량(含量)이 낮아졌다. (3) 중간대사(中間代謝) 성분(成分)인 phenylalanine, tyrosine, shikimic acid 함량(含量)은 저온처리(低溫處理)에 의하여 크게 증가(增加)하고 있으니 shikimate 계로(系路)가 활발(活潑)해지는 것으로 짐작된다. (4) 효소(酵素)에 대(對)한 특이적(特異的)인 조해제(阻害劑)와 호흡기질(呼吸基質)의 조직(組織) 호흡(呼吸)에 미치는 조해(阻害) 및 첨가(添加) 효과(效果)를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저온처리(低溫處理)에 의하여 고추종자(種子)의 당(糖)은 EMP 계로(系路)를 활발히 움직이다가 이에 연결(連結)되는 TCA cycle에 jaming이 일어남에 따라 phosphoenolpyruvate와 erythrose-4-phosphate가 활발히 결합(結合)하고 shikimate 계로(系路)가 활발해져서 polyphenol 물질(物質)이 활발히 생합성(生合成)된다는 것을 추정(推定)할 수 있었다. (5) 저온처리(低溫處理)에 의하여 고추종자(種子)의 K ion 유출량(流出量)이 증가(增加)하였기에 갈변(褐變)에 따라 원형질막(原形質膜) 이상(異常)이 생긴 것을 짐작 할 수 있었다.

  • PDF

곰팡이 발효 참당귀의 유효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 작용 (Ingredients Analysis and B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by Mold)

  • 차재영;김현우;허진선;안희영;엄경은;허수진;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385-1393
    • /
    • 2010
  • 국내산 참당귀의 생리활성 물질을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 또는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참당귀 뿌리를 3종류의 곰팡이 균주, A. oryzae, A. kawachii 및 M. purpureus 균주로 발효시켜 polyphenolic compounds, flavonoids, minerals, decursin 및 decursinol angelate 함량 분석과 항산화, 환원력 및 tyrosinase 활성을 측정 하였다. 참당귀 뿌리의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의 총 면적에 대한 함량 비율은 각각 44.0 및 27.3% 였으며, 한편 A. oryzae, A. kawachii 및 M. purpureus에 의한 발효 당귀의 decursin 함량 비율은 각각 52.0, 54.4 및 53.7% 였다. 참당귀 뿌리의 polyphenolic compounds 함량은 2.78% 였으나 발효 당귀에서 모두 약간씩 감소하였고, flavonoid 함량은 1.03% 함유되었으나 M. purpureus 발효 당귀에서 1.18%로 약간 증가하였다. 참당귀 뿌리의 미네랄 조성은 K, Mg, Fe, Ca, Na, Mn, Zn 순이였으며, 발효당귀에서 Na은 감소하고 나머지는 모두 증가하였다. 참당귀 뿌리의 항산화 활성 19%에 비해 A. oryzae, A. kawachii 및 M. purpureus 발효 당귀에서 각각 46, 49 및 56%로 모두 2배 이상 증가하였다. Fe- 및 Cu-환원력은 참당귀 뿌리보다 발효 당귀에서 모두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당귀 뿌리의 18%에 비해 A. oryzae, A. kawachii 및 M. purpureus 발효 당귀에서 각각 34, 37 및 45%로 발효에 의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발효 당귀에서 대표적인 화합물인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 함량이 증가하고, 항산화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이 증가됨으로서 이를 활용한 건강기능 제품 개발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이러한 제품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주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유통되는 코코아함유 가공품의 항산화능과 폴리페놀 함량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n Antioxidant Capacities and Polyphenolic Contents of Commercially Available Cocoa-containing Products)

  • 이은순;금진영;황영옥;두옥주;조한빈;김정헌;채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356-1362
    • /
    • 2012
  • 코코아가공품이나 초콜릿은 영양적으로 고에너지 식품이며 간식이나 후식으로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비만이나 다른 부작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강에 유익하다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코아가공품이나 초콜릿의 건강에 유익성은 코코아가공품, 초콜릿의 코코아로 부터 얻어지는 폴리페놀류와 그 항산화능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코코아자체의 폴리페놀류와 그 항산화능보다는 실제로 사람들이 날마다 먹는 제품에서의 폴리페놀류와 그 항산화능과 연관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수많은 폴리페놀류가 존재하고, plant-derived product의 폴리페놀류의 정량과 항산화능의 분석에 관한 표준화된 방법이 아직 확립되지 않아 연구에 어려움이 있으며, 더구나 이 연구에서는 코코아함량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품이 많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연구 결과의 약간의 불확실한 결론은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 코코아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군은 코코아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추정하는 다크초콜릿이었다. 코코아 추출물의 epicatechin은 정량적으로 catechin보다 높았으며, 다크초콜릿에서 그 함량이 가장 높았고, 다크초콜릿에서만 epicatechin gallate, caffeic acid, quercetin 등이 소량 검출되었다. 항산화능은 밀크초콜릿과 다크초콜릿이 코코아믹스와 초코시럽과는 유의하게 높았고, 밀크초코릿과 다크초콜릿의 비슷한 항산화능을 보였으며, 이 결과는 더 정밀하고 확실한 항산화능 실험법의 확립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코코아로 만들어지는 초콜릿이 항산화능이 있음을 암시하며, 건강과의 관련 있음의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열처리에 따른 야콘의 항산화 활성 변화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 황인국;김하윤;박보람;한혜민;유선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57-86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가 야콘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열처리 온도(100 및 $121^{\circ}C$)와 시간(15, 30 및 60분)에 따른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처리 후 야콘의 갈변도, 유리형 및 결합형 폴리페놀 함량, 유리형 및 결합형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 활성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열처리 후 야콘의 갈변도, 유리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열처리 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고, 결합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감소하였다. 야콘의 유리형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21^{\circ}C$, 60분 열처리 시 생야콘에 비해 각각 1.2배 및 1.1배로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야콘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도 $121^{\circ}C$, 60분 열처리 시 생야콘에 비해 각각 1.7배 및 2.0배로 유의적(p<0.05)으로 증가였다. 야콘의 갈변도,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높은 상관관계(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열처리 방법을 통해 야콘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Medilite 침출수에 의한 녹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연구 (Studies on Antioxidative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in Medilite-Extraction Water)

  • 차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8-174
    • /
    • 2003
  • 천연 미네랄 성분을 함유한 medilite 침출수를 이용한 녹차 추출물에 의한 화학적 성분조성과 항산화 활성을 증류수 침출 녹차 추출물과 비교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DPPH법 및 microsone 생체막 지질 과산화물 생성정도를 나타내는 TBARS법으로 측정하였다. 녹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성 화합물과 추출 수율은 medilite 325 mesh, 600 mesh, DW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DPPH법에 의한 0.05%와 0.1%의 녹차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은 60.95% ∼ 64.15% 사이였다. 간 homogenate 및 microsone 생체막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 정도는 medilite 325 mesh 및 600 mesh 침출 녹차 추출물에 비해 증류수 침출 녹차 추출물에서 현저히 억제되었다. 특히 Fe 함량은 증류수 침출 녹차 추출물에 비해 medilite 325 mesh 및 600 mesh 침출 녹차 추출물에 현저히 높았다 이러한 medilite 침출 녹차 추출물에서 높은 Fe성분 함량은 microsone 생체막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 촉진과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녹차 추출물 중의 총 폴리페놀성 화합물, 추출 수율 및 미네랄 성분은 증류수에 비해 medilite 침출수를 이용함으로써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다.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L.) 품종 간 수용성 비타민과 폴리페놀계 성분 함량 변이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oluble vitamins and polyphenolic compounds in tomato varieties (Solanum lycopersicum L.))

  • 김다은;손병구;최영환;강점순;이용재;제병일;박영훈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1호
    • /
    • pp.78-89
    • /
    • 2020
  • 기능성 성분이 향상된 토마토 품종 개발을 위해서는 성분 정량분석법과 토마토 유전자원 간 대사성분 변이에 대한 정보의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 유전자원23개 계통과 12개 상용 F1 품종을 이용하여 수용성 비타민 7종(vitamin C, B1, B2, B3, B5, B6, B9)과 폴리페놀계 성분 5종(quercetin, rutin, kaempferol, myricetin, and naringenin chalcone)에 대한 함량을 비교 분석 하였다. HPLC와 LC-MS 분석 결과, 수용성 비타민과 폴리페놀계의 주요 성분으로 vitamin C와 naringenin chalcone이 각각 검출되었으며 품종 간 높은 수준의 함량 변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vitamin B1, quercetin 과 kaempferol은 전 품종에 있어 함량이 가장 낮았다. 대사성분 함량과 토마토 과실특성 간 상관관계에 있어 서 과크기(과중)와 높은 유의성이 관찰되었는데 대부분의 성분에 있어 방울토마토 품종이 완숙용 토마토 품종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하지만 naringenin chalcone을 제외하고 대사성분과 과색 간의 상관관계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결과는 토마토 육종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효율적인 대사성분 정량분석법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기능성 성분 고함량 육종소재 선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