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ol content

검색결과 1,483건 처리시간 0.021초

버어리종 담배의 이식시기가 수량 및 polyphenols의 종류와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yield and kind, content of polyphenols under different transplanting time in burley tobacco)

  • 김용규;홍재식;김요태;나효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3-18
    • /
    • 1984
  • To find out the effect of transplanting time on the autonomic characters, yield of cured leaves and content of polyphenols in burley tobacco, three transplanting time were evaluat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Low temperature which was caused damage earliest stage of tobacco in early transplanting could escape by vinyl mulching and other treatment. 2. The major polyphenols in leaves were chlorogenic acid and rutin, small amount of scopolin and quercetin were also detected. 3. Chlorogenic acid decreased during curing. 4. Polyphenols content was not influenced by transplanting time.

  • PDF

나노기포 수소수에서 배양한 Arthrospira platensis 특성 확인 (Characterization of Arthrospira platensis Cultured in Nano-bubble Hydrogen Water)

  • 서지혜;최수정;이상훈;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6권4호
    • /
    • pp.421-426
    • /
    • 2015
  • 미세조류 Arthrospira platensis는 단백질 함량이 높고, 불포화 지방산 등을 다량함유하고 있어 건강보조식품 및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phycocyanin, myxoxanthophyll, zeaxanthin 등의 색소를 함유하고 있어서 항산화물질, 식품 첨가물로도 이용되고 있다. 나노기포 수소수는 수소 기체를 나노기포 상태로 물속에 주입하여 포화용해도 이상으로 용해시킨 것이다. 이런 나노기포 수소수는 항산화능이 높고,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rthrospira platensis를 일반 증류수 배지와 수소수로 제조한 배지에서 배양한 후 특성을 확인하였다. 배양 결과, 세포 성장 및 광합성으로 인한 색소인 chlorophyll과 carotenoid의 함량은 수소수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 대조군에 비해 15%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phycocyanin 역시 7% 정도 증가하였다. 하지만, 지질함량은 수소수 배지 배양과 일반 배지 배양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산화물질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flavonoid 및 polyphenol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Flavonoid는 수소수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경우 대조군에 비해 70% 이상 증가함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polyphenol은 대조군과 유사한 함량을 보이고 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겨우살이(Mistletoe, Viscum album)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istletoe(Viscum album) Extracts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장태오;유양훈;황용철;김현구;우현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0-24
    • /
    • 2010
  • 소수성 저분자 물질의 추출에 효과적이며,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 추출법인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한국산 겨우살이를 추출한 후 추출물의 추출수율, 전자공여능 등의 항산화활성 평가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초임계 이산환탄소를 이용한 추출수율은 300 bar, $40^{\circ}C$에서 12.16%, 정제수와 주정을 이용한 추출물은 18.32, 23.84%로 초임계 추출물보다 높은 추출수율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이 15.73%(400 bar, $30^{\circ}C$), 정제수와 주정을 이용한 추출물이 36.73, 70.53%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물의 활성은 일반 용매추출법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들에 비해 EDA 활성이 낮은 편이었다. 그러나 SOD 유사활성은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물이 22.54%(200 bar, $40^{\circ}C$), 정제수와 주정을 이용한 추출물이 7.85, 6.12%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물이 일반용매를 이용한 추출물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물이 17.57 wt%(200 bar, $50^{\circ}C$), 정제수와 주정을 이용한 추출물이 4.79와 5.46 wt%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물이 일반용매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겨우살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높지 않지만 우수한 SOD 유사활성과 총 폴리페놀 함량이 풍부하여 항산화 건강기능성 식품의 가능성을 갖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 염증 억제 효과 (Total Phenolic Compound, Total Flavonoid Compound And Anti-Inflammatory Inhibitory Effects of Psidium Guajava Leaf Extract)

  • 이정선;김춘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54-262
    • /
    • 2018
  •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염증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함량,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및 NO 생성 억제를 통한 항염증 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 결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각 126.4 mg/g, 223.17 mg/g으로 높은 함량을 확인하였다. 대식세포인 264.7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아바 잎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제조하여 1차 첩포 테스트를 실시하여 피부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 첩포 24 시간 후와 첩포 제거 24 시간 후에도 피부에 대한 자극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높은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으로 인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세포에 대한 피부 독성이 적고 NO 생성 억제 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진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약용버섯을 이용한 도토리화분의 세포 발아 및 항산화 활성 (Germin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Oak Pollen Treated with Medicinal Mushrooms)

  • 홍인표;우순옥;한상미;여주홍;조미란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5-169
    • /
    • 2014
  • 도토리화분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화분배지에 뽕나무버섯(Armillaria mellea) 배양한 발아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표고(Lentinula edodes) 발아액에서 가장 낮았다. 뽕나무버섯을 배양한 발아액 중에서 동결건조 화분의 발아액이 정제화분과 저온초미분쇄화분의 발아액보다 총 폴리페놀함량이 많았다. 또한 동결건조 화분의 뽕나무버섯 발아액은 물추출액보다 총 폴리페놀함량이 1.4배 높았다. 도토리화분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뽕나무버섯 발아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표고 발아액에서 가장 낮았다. 동결건조 화분의 뽕나무버섯 발아액은 DPPH radical 소거능이 물추출보다 2~4배 높았다. 수집된 꿀벌화분은 알갱이 형태이며, 꿀벌의 분비물을 제거한 순수 화분은 분말형태로 크기는 0.1~0.003 mm 정도이다. 화분의 전자현미경 구조는 도토리화분은 단립이며 모양은 장구형(prolate)이고 극면상은 난형이다. 발아구는 3구형이며 비교적 짧고 곧은 주름이 있다. 표면은 과립상(verrucate) 또는 미립상(scabrate)으로 불규칙한 돌기가 있다. 저온초미분쇄한 화분은 세포벽이 파쇄 또는 절단되었으며, 동결건조한 화분에서는 세포벽이 파열되어 세포질이 나출되는 양상을 보였다. 표고를 접종한 도토리 화분의 세포 발아 형태는 공구(pore) 주변에 외피가 없는 다량의 발아세포가 형성되었으며, 뽕나무버섯을 접종한 화분배지에서의 세포 발아 형태는 화분에서 균사속과 유사한 발아관이 형성되고 그 끝에 발아세포가 형성되었다.

꼬리진달래 신초의 폴리페놀 프로파일링과 추출용매에 따른 유용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Polyphenol Profiling and Comparison of Extraction Solvents on Useful Component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hododendron micranthum Shoot)

  • 강정목;박용우;정은숙;최대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0-119
    • /
    • 2024
  • 본 연구는 꼬리진달래의 자원식물 개발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꼬리진달래 신초 추출물의 폴리페놀 프로파일링을 통해 유용성분을 선발하고, 추출용매에 따른 유용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꼬리진달래 신초 추출물에서 37개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확인하였으며, chlorogenic acid, astragalin, myricetin, afzelin의 추출용매별 함량을 비교한 결과, chlorogenic acid의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6.57±0.12 mg/g이었고, astragalin의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2.29±0.02 mg/g, myricetin의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에서 4.77±0.06 mg/g, afzelin의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에서 0.10±0.01 mg/g이었다. 꼬리진달래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80.01±2.36 mg/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8.08±3.44 mg/g이었다. 또한 꼬리진달래 메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 IC50값은 943.57±10.68 mg/L였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 IC50은 641.60±7.58 mg/L였다. 꼬리진달래는 유기용매 추출 시 유용성분과 항산화 활성이 높았고, 동일 속의 종들과 비교하여 높은 함량의 chlorogenic acid, astragalin, myricetin, afzelin을 함유하고 있어 향후 건강기능성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인진쑥 추출물 함유 PVA 나노섬유 제조 (Fabrication of Electrospun PVA Nanofibers Loaded with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Extracts)

  • 김명옥;이정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69-277
    • /
    • 2018
  • This study extracted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with distilled water and ethanol to investigate its antioxidant effect. We then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nanofibers by an electrospinning process by adding the extracts to polyvinyl alcohol (PVA). The electrospinning method used a PVA concentration of 12wt.%, an applied voltage of 10kV, and a tip-to-collector distance of 15cm.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measured to verif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extracts (AC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distilled water extract and the ethanol extract were measured as 218.47 and 271.26mg/g, respectively,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the distilled water extract and the ethanol extract were measured as 141.68 and 34.98mg/g, respectively. As the content of the ACEs in the PVA nanofibers increased, the Diameters of the nanofibers and the uniformity of the diameters decreased. The electrospinning process was fabricated in a relatively uniform form without beads, and the diameters of the nanofibers that were produced ranged from 340 to 390nm. The results of FT-IR, XRD and DSC analyses confirmed that the ACEs were well mixed with the PVA molecules and were electrospun.

가공 방법을 달리한 무차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hite Radish Tea by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 김민지;박종대;성정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3-81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hite radish teas such as pH, color value,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sensory evaluation. They were processed by drying(AD), drying and roasting(ADR), steaming and drying(SAD), and steaming, drying, and roasting(SADR). As a result, the pH of ADR, and SADR tended to be significantly lowered and SADR was the lowest at $5.48{\pm}0.14$(p<0.001). Additionally, ADR and SAD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lor and browning value, compared to AD and SA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ducing sugar content depending on processing method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of the teas were significantly increase after roast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DR and SDAR than in AD or SAD by 1.1~1.5 times(p<0.05). Compared with ADR and SADR after roasti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AD and SA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roasted ADAD and SAD, respectively.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roasting process is a major process that affects the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장미과 식물 줄기의 항산화 효과와 총 페놀류 함량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Effect and Total Phenolics Content in Rosaceae Plant Stem)

  • 이준영;유주한;김상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2129-2134
    • /
    • 2014
  •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s of four Rosaceae species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Sorbus commixta Hedlund,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 and Pyrus pyrifolia (Burm.f.) Nakai were determined. Phenolic content (polyphenol and flavono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nezthiazoline-6-sulfoic acid) (ABTS)] and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were evaluated.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and lowest in Pyrus pyrifolia (Burm.f.) Nakai. Phenolic contents of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was $331.45{\pm}7.78$ and $90.4{\pm}3.5mg{\cdot}g^{-1}$.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found to be lowest in Sorbus commixta Hedlund whereas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 and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showed relatively goo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was highest in Pyrus pyrifolia (Burm.f.) Nakai ($1.05{\pm}0.04mg{\cdot}ml^{-1}$) and lowest in Sorbus commixta Hundlund ($4.22{\pm}0.71mg{\cdot}ml^{-1}$).

비타민나무열매가루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White Pan Bread Added with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s L.) Berry Powder)

  • 이종숙;김정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73-48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bread added with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berry powder (SBBP) (1, 3, and 5%) using a straight dough method. The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H value and dough raising power of the dough decreased an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read added with SBBP increased compared to that without the SBBP. The crust color of the bread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However, the crumb lightness value decreased and the redness and yellowness value increased respectively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BBP. The texture measurement indicated that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the bread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the SBBP.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bread supplemented with the SBBP was increased (4.60~16.14 mg GAE/g) compare to the control (1.67 mg GAE/g). Dose-dependent, significant-high DPPH (26.86%) and ABTS (42.52%)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observed in the bread with the addition of the SBBP up to 5%. Based on these results, the optimum amount of the SBBP to add for baking bread would be 3% and the SBBP could be considered a functional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