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cy belief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7초

일부 보건계열 대학생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지식과 예방접종 관련 건강신념 및 감염 예방행위의도에 관한 융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f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HPV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about Human Papilloma Virus(HPV) Vaccination among Health College Students)

  • 장영미;한진숙;문영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313-321
    • /
    • 2015
  • 본 연구는 보건 계열 대학생의 HPV 지식과 HPV 관련 건강신념 및 감염 예방행위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D시와 M시에서 2014년 6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보건계열대학생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HPV 지식, 건강신념, 감염 예방행위의도는 대체로 낮은 점수를 보였고, HPV 지식과 건강신념간의 상관관계가 없게 나타났다. 그러나 HPV 예방접종 관련 건강신념이 높을수록 감염 예방행위의도는 높아졌다. 따라서 향후 HPV 관련 건강신념 및 감염 예방행위를 높일 수 있도록 HPV 지식을 포함한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 등의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병원 행정직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요인 (Factors Related to Occupational Stress among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 김승희;배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433-443
    • /
    • 2014
  • 본 연구는 병원행정직 근무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전라북도 지역의 30개 병원에서 임의로 선정된 재직자 189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4년 6월 1일부터 두달 동안에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A형 행동유형 점수가 높을수록, 우연신념이 높을수록, 외적통제신념이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투입된 변수들의 설명력은 55.8%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병원행정직 근무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A형 행동유형 및 통제신념을 관리하고,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우울수준울 낮추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내·외적 통제신념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피로 관계에서 임종간호 수행의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ce Effect of Locus of Internal & External Control, Stress and Fatigus on the Geriaic Hospital Nurses' Terminal Care Performance)

  • 임희영;윤미진;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329-33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내·외적 통제신념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피로관계에서 임종간호 수행수준을 알아보고 임종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요양병원 간호사 42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 된 설문지를 사용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는 SPSS Win 22.0와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와 연구가설 경로분석은 Amos 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에는 임종간호 스트레스, 피로, 내적통제신념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내적통제신념이 높을수록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덜 받고 또한 임종간호 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수행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와 피로를 감소시킬수 있는 전략적 프로그램 개발과 임종간호를 수행하는 요양병원 간호사에게 질적인 간호수행을 할 수 있는 교육이나 업무환경 개선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별가족의 가족 탄력성, 사회적지지, 죽음인식, 죽음의 질이 사별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Death Recognition on Quality of Death on the Adaptation of Bereavement Family)

  • 허현점;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271-280
    • /
    • 2019
  • 본 연구는 사별가족의 탄력성과 사회적지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의 질이 사별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4월 21일부터 5월 30일까지 B시와 K지역에서 가족사별을 경험한 대상자들에게 눈덩이 표추럽을 이용하여 236명에게 자가보고 서문지를 배포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별적응 정도는 3.5점, 가족탄력성은 3.8점으로 하부영역으로는 신념체계가 3.9점으로 가장 높았다.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사별적응을 잘 할 것이다는 기각되었으나 가족 탄력성에서 신념체계, 죽음인식, 죽음의 질이 사별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별가족을 위한 사회적 지지망을 구축하고 죽음준비교육과 웰다잉을 위한 교육 등 죽음이 보다 아름답고 존엄한 죽음이 되기 위한 프로그램 마련 및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온라인 환경에서 프라이버시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보호동기이론을 중심으로 - (Privacy Behavioral Intention in Online Environment: Based on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 김종기;김상희
    • 정보화정책
    • /
    • 제20권3호
    • /
    • pp.63-85
    • /
    • 2013
  • 온라인 환경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건이 빈번히 일어남에 따라 온라인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 문제가 중요해지고 있다.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건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경험한 온라인 사용자는 자신의 프라이버시에 대해 위협을 느끼게 되고, 이로 인해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기존의 인식이나 행동에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환경에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보호동기이론을 기반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보호동기이론은 위협소구에 의한 보호행동의 변화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대표적인 이론으로, 위협과 효능감이라는 개인의 인지적 평가에 의해 보호동기가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프라이버시 행동의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때 인지적 매개과정에서 보호동기요인을 개인의 프라이버시 태도 및 신념을 나타내는 프라이버시 신뢰와 프라이버시 위험으로 설정하여 구조방정식을 활용함으로써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보호동기요인과 선행요인인 위협 및 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효능감과 프라이버시 위험 간의 경로를 제외하고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보호동기요인과 결과요인인 프라이버시 행동의도의 관계에서는 프라이버시 위험과 프라이버시 행동의도 간의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나 프라이버시 신뢰와 프라이버시 행동의도 간의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아버지의 자녀가치, 양육신념, 양육참여가 영아발달특성 변인에 미치는 영향 (Belief in the value of children's father, grow, influence parenting participation on the infants development characteristics change factor)

  • 전홍주;조수경;김미정;최항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678-268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자녀가치, 양육신념, 양육참여가 영아의 발달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변인들의 설명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10년도에 출생한 영아 1,802명과 그의 아버지이며 이를 대상으로 한 육아 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자녀가치는 영아의 문제해결능력, 소근육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영아의 대근육 활동에는 아버지의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영아의 의사소통, 개인-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은 아버지 양육참여로 나타났다.

한국대학생의 살충제 오염 달걀에 대한 건강인식에 관한 연구: 지각한 민감성과 심각성, 정부에 대한 신뢰성, 정부 출처 정보에 대한 평가 및 주관적 지식이 예방행동의도를 예측하는가? (A study on Korean collegians' health perception toward Eggs contaminated with pesticide: Will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be predicted by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trust in government, evaluation of information from government, and subjective knowledge?)

  • 주지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55-363
    • /
    • 2018
  • 2017년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살충제 오염 달걀이 발견되어 큰 이슈가 되었다. 본 연구는 살충제 오염 달걀 사태의 맥락에서 건강 관련 연구에서 자주 인용되는 건강신념모형의 두 가지 변인인 지각한 민감성과 심각성, 정부에 대한 지각인 정부에 대한 신뢰성과 정부 출처 정보에 대한 평가, 및 관련 지식에 대한 개인의 확신을 의미하는 주관적 지식이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지각한 심각성(${\beta}=.262$, t=3.531, p<0.001), 정부에 대한 신뢰성(${\beta}=.252$, t=3.281, p<0.001), 정부 출처 정보에 대한 평가(${\beta}=.226$, t=2.936, p<0.01)가 예방적 행동의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유사한 사태가 발생할 때 정부가 신뢰성, 정확성, 일관성의 견지에서 정책을 시행해야 함을 시사한다.

미세먼지 예방행동의도 결정요인: 건강신념모델 확장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to the Particulate Matter: An Application of the Expansion of Health Belief Model)

  • 정동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471-479
    • /
    • 2019
  • 본 연구는 미세먼지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28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미세먼지에 대한 지각된 민감성과 지각된 장애는 예방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미세먼지에 대한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이익, 주관적 규범과 자기효능감은 예방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미세먼지 예방행동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이익, 주관적 규범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요구되며, 향후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위험에 대한 예방행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일정 부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여성 청소년 어머니의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예측요인 (Predictors of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of female Adolescent mothers)

  • 홍소형;정영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149-157
    • /
    • 2019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을 근거로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 예방접종 행위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여성 청소년 어머니 285명이며, 자료 수집은 2017년 6월부터 9월까지 하였다. 자료는 SPSS 및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청소년 어머니의 지각된 유익성은 의도를 완전 매개하여 예방접종 행위에 영향을 주고, 지각된 장애성은 의도를 부분 매개하여 예방접종 행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방접종 의도는 예방접종 행위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였고 지각된 장애성은 예방접종 행위에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 청소년 어머니의 HPV 예방접종 과정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예방접종률을 높이는 새로운 전략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일부 여대생의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에 영향을 미치는 융복합적 예측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the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in some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이혜란;오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235-244
    • /
    • 2015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에 영향을 주는 융복합적 예측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여대생 546명이며, 2013년 10월 5일부터 10월 30일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백신을 접종한 여대생은 138명(25.3%)이었다. 백신 접종군과 미접종군은 종교, 자궁경부암, 인유두종바이러스 및 자궁경부암 백신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 경우, 자궁경부암 선별 검사 경험,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지식, 건강 신념, 지각된 유익성과 장애성, 암 예방행위, 자궁경부암 예방행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은 자궁경부암 검진 경험이 있는 군일수록(OR=34.67, 95% CI=17.19~69.92), 지각된 유익성이 높을수록(OR=1.45, 95% CI=1.17~1.81), 장애성은 낮을수록(OR=1.44, 95% CI=1.27~1.63) 백신 접종 확률이 높았다. 따라서 인유두종바이러스 백신 접종의 적정 연령을 대상으로 대국민 홍보가 필요하며, 백신 접종의 긍정적 효과를 강조하고, 장애요인을 감소시켜 백신접종을 높일 수 있도록 학교기반사업과 국가차원에서의 융복합적 지원과 중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