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y Space

검색결과 809건 처리시간 0.034초

유아숲체험장의 환경특성에 따른 유아놀이 행태분석 (An Analysis of Young Children's Play Behavior by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in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 강태순;이명우;정문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62-176
    • /
    • 2016
  • 숲공간에서의 경험과 놀이가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최근 숲활동공간에 대한 연구와 관련 조성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숲활동의 효과를 중심으로 하고 있어, 숲활동을 위한 공간설계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숲활동공간의 물리적 환경특성이 유아놀이행태와 유아발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숲활동공간 설계 시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유아발달과정의 지표인 인지 사회놀이를 유아의 놀이행태유형으로 선정하고, 숲활동공간은 놀이시설공간과 숲속공간으로 구분하였다. 각 공간의 환경특성으로는 놀이시설공간의 경우, 놀이영역과 포장재, 숲속공간의 교목 및 관목밀도, 경사, 포장재, 자연낱개재료로 선정하였다. 환경조사와 행태관찰조사를 바탕으로 만 4, 5세 유아들이 각 공간에서 보이는 놀이행태의 유형과 발생빈도를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놀이시설공간에서는 시설과 모래장이 함께 있는 시설물놀이터에서 놀이행태가 높게 발생했으며, 인지 사회놀이는 기능-혼자와 기능-병행놀이가 우세하게 발현되었다. 2) 숲속공간에서는 낮은 밀도의 식재공간과 자연낱개재료가 있는 환경에서 다양한 유아놀이행태가 나타났고, 기능-집단놀이와 발달단계의 최상위인 상징-집단놀이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3) 상징-집단놀이는 소밀도 이하의 교목, 10~20도 경사, 땅에 고정된 대형 그루터기의 환경특성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들의 놀이행태를 직접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유아들의 숲활동을 위한 공간조성시 적용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특성의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키즈카페의 유형별 공간특성과 이용자 만족도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e User's Satisfaction by Types of the Kids Cafes)

  • 문자영;신경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23-34
    • /
    • 2012
  • There is a demand for a complex cultural space of play, leisure and education, a kids cafe, which will replace a playground just for kids as awareness for the need of a space where parents can spend leisure time with their own children and can take a rest grows, Thus, this study aims to find features for user satisfying kids cafes by conducting observations of the kids cafes and user survey. This study selected 12 kids cafes, 3 kids cafes per type (play focused, cafe or restaurant focused, education focused, multipurpose focused), in Seoul which were built after 2007 and conducted surveys on space planning and spatial characteristics by users and type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play focused kids cafes are used the most and the multipurpose focused kids cafes are used the second most. So the reason for using kids cafes is for the play of children. Also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for kid cafes were above the average except for the pric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differences of satisfaction based on the type of user satisfaction, size of children space, finishes, colors, furniture and accessories, sanitary conditions. For the overall satisfaction, users were satisfied with the interior space, however, users were unsatisfied with functional parts, such as toys, foods and education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based on the types of the kids cafes, users' satisfaction rate for space size for the children, finishes, colors, furniture and accessories, sanitary conditions were different and for the functional parts, the satisfaction rate was different in all aspects. Also, in overall, the educational focused type users showed higher satisfaction rate than other users. Finally, the level of satisfaction is different by type of kids cafes and we have to consider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users in order to plan kids cafes which meet the demand of the users.

  • PDF

The Planning of Urban Green Space Syste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 Wang, Binglu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1호
    • /
    • pp.37-42
    • /
    • 2001
  • In order to answer the challenge that development gave to environment, Chinese cities are making up and putting into effect the green space system planning. The planning main keys are: set down standards and scope of green space; bring the characteristics of every types of green space in to full play and made into basic units of the system; formed powerful links of the system; make full use of the natural system of city, constituted the urban and countryside as a organic whole green space system, therefore give full play their function and ecological effect. In fact, this green space system is a complex system. It is the main body of city ecological system, a main container of the citizen activities of leisure and recreation and a leading factor for making characteristic city landscape. Therefore it is a system carrying city's environment sustainable development.

  • PDF

사용자 조사법을 이용한 어린이 놀이행태 및 놀이환경 분석 (테마박물관의 실내 에어바운스 공간을 대상으로) (Play Behaviour and Environment Using User Research (Focused on Air-bounce Space in Theme Museum))

  • 송미;윤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74-284
    • /
    • 2016
  • 본 연구는 테마형 박물관 중 하나인 춘천 애니메이션 박물관의 어린이 놀이공간(에어바운스)을 대상으로 실제 공간을 이용하는 어린이들의 놀이행태와 놀이환경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조사법 중 사용자 관찰법과 사용자 행동 인터뷰 조사를 병행하였다. 사용자 관찰법을 통해 연구 대상지의 어린이 놀이행태를 분석한 결과, 신체 운동, 정서, 인지,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놀이행태가 모두 관찰되었으나, 매달리거나 역할놀이와 같은 일부 행동은 관찰되지 않았다. 사용자 관찰법과 인터뷰 조사 등을 종합하여 이용밀도(수용력) 제한, 연령별 공간구분, 동반자 대기공간 조성, 아동과 동반자간 친밀감형성을 위한 공간 조성, 안전요원의 배치 등의 다양한 계획적 함의들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추후 유사한 어린이 놀이공간의 계획 및 설계단계에서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코딩교육을 위한 어린이 놀이 공간 디자인 연구 - 미취학 아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of Children's Play Space for Coding Education - Focusing on preschoolers -)

  • 김승인;이가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97-402
    • /
    • 2020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개정과정에 발맞춰 어린이들을 위한 코딩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의 문제점을 보완할 새로운 '놀이 중심'의 교육 콘텐츠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의 유아 코딩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한 뒤, 차후 유아코딩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새로운 코딩 교육용 어린이 놀이공간을 제시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현 코딩 교육은 어린이의 활동성에 제약을 많이 두고 있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아이들이 활발하게 뛰어놀 수 있는 '놀이 공간'으로써의 코딩 교육 공간을 제시한다. 공간을 이용했기 때문에 아이들의 시각, 촉각, 후각 등 오감을 자극할 수 있어 감성적 교육이 가능하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공간 이해능력은 물론, 상상력과 창의성, 협동심까지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차후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특성과 기술적 프로세스를 심층적으로 연구해 향후 유아 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영아교사의 긍정적 놀이신념이 영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물리적 환경수준의 중재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level Between Infant Teachers' Positive Play Belief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 이미진;이완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41-57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 effe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level between infant teachers' positive play belief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3 teachers in charge of one-year-old and two-year-old infants in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 The data were collected by asking the teachers to respond to a questionnaire an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positive play beliefs of the infant teacher, the physical environment level, an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showed significant proportional correlations. Second, the physical environment level moderated the influence of the teacher's positive play belief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particular, results showed that functional interior space configuration, outdoor playground composition and facilities among the sub-variable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level had a moderating effect.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eachers with positive play beliefs have positive teacher-infant interaction when there is sufficient space available for infants and teachers. This indicates that the human and physical environments of child care centers can promote teacher-child interaction.

소셜 게임에 나타난 시뮬라크르의 연속단계 (Sequential Step of Simulacre in Social Network Game)

  • 서성은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3-55
    • /
    • 2012
  • SNG는 현실의 사용자 정체성을 바탕으로 가상 공간으로 진입한다. 현실의 공간에서 게임공간으로 쉽고 빠르게 진입할 수 있으며, 또한 쉽게 빠져나올 수 있다. 이같은 가상과 현실의 자유로운 넘나듦을 위해 캐릭터와 공간이미지, 게임플레이 등이 모두 상징적 현실성을 띠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상징적 현실성이 게임 속 가상세계로 구축되어가는 SNG의 게임 플레이 과정에 주목하고, 이것이 보드리야르가 말한 시뮬라시옹의 질서를 따르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SNG는 게임플레이 초반에는 최대한 사실성을 반영하여 게임 공간으로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했으며, 점차 사실성을 은폐하고, 사실성의 부재를 은폐하고 왜곡함으로써 순수한 시뮬라크르의 단계에 이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뮬라시옹의 질서에 따른 게임플레이 과정은 MMORPG와 같은 기존의 온라인 게임이 순수한 시뮬라크르의 단계로 바로 진입하는 것과 비교할 때, 뚜렷하게 구분되는 SNG의 게임성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듈화 소형위성의 Data Bus 표준화 방안 연구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Data Bus for Modular Small Satellite)

  • 장연욱;장영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20-628
    • /
    • 2010
  • 소형위성은 저비용으로 단기간에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폭 넓은 우주 연구를 수행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의 활용 가능하다. 소형위성은 빠른 개발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신속 대응 우주 구현이 주목됨에 따라 소형위성의 역할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소형위성은 기존의 위성에 비해 크기나 전력의 제약이 많기 때문에 고성능의 안정적인 시스템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빠른 개발을 위해 표준화와 모듈화 설계가 필요하다. 모듈화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and-Play)를 지원하여 수일 내에 인공위성 제작 및 시험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모듈 간의 원활한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는 데이터 버스의 표준이 요구된다. CAN 통신 방식은 플러그 앤 플레이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통신방식으로 꼽힌다. CAN은 높은 신뢰성을 가지며 분산 시스템을 지원하여 위성의 호환성을 높여준다. 따라서 시험이 용이해지고 짧은 기간에 고성능의 안정적인 위성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모듈화 방식의 소형위성 개발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 CAN을 데이터 버스로 적용하여 소형위성 내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버스를 설계하고 시험을 통해 적합성을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놀 권리 보장조례의 이행과 놀이 실행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전라남도 교육청 조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Teacher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Ordinance for Guaranteeing Right to Play and the Practice of Play: Focusing on the Ordinance of the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 김정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17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Ordinance for Guaranteeing Children's Right to Play' is has been implemented well and investigate play practice in elementary school. Method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319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ollanam-do. Result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on Children's Right to Play' is high. And their perception is positive about the effect of the 'Ordinance on Children's Right to Play'. Second, among the roles of the Office of Education, play-related training and club support were relatively low. The role of the elementary school director was relatively low in the analysis and disclosure of play performance. Third, the time that children mainly play in school is the middle play time. The sufficiency and safety of play spaces differed by region. Fourth, the contents to be added to the 'Ordinance' are securing play space, budget support, and mandatory play time. Conclusion/Implications: In the future, 'Ordinance on Children's Right to Play' should go through a process of improvement so that children's play is realized as a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