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Teacher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Ordinance for Guaranteeing Right to Play and the Practice of Play: Focusing on the Ordinance of the Jeollanam-do Office of Education

놀 권리 보장조례의 이행과 놀이 실행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전라남도 교육청 조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0.10.10
  • Accepted : 2020.12.04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Ordinance for Guaranteeing Children's Right to Play' is has been implemented well and investigate play practice in elementary school. Method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319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ollanam-do. Result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on Children's Right to Play' is high. And their perception is positive about the effect of the 'Ordinance on Children's Right to Play'. Second, among the roles of the Office of Education, play-related training and club support were relatively low. The role of the elementary school director was relatively low in the analysis and disclosure of play performance. Third, the time that children mainly play in school is the middle play time. The sufficiency and safety of play spaces differed by region. Fourth, the contents to be added to the 'Ordinance' are securing play space, budget support, and mandatory play time. Conclusion/Implications: In the future, 'Ordinance on Children's Right to Play' should go through a process of improvement so that children's play is realized as a right.

Keywords

Acknowledgement

2019년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전남아동옹호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강명숙 (2012). 학생인권조례 제정의 교육적 의의. 법과인권교육연구, 5(2), 1-15.
  2. 관계부처합동 (2015). 제1차('15-'19) 아동정책 기본계획. 세종: 보건복지부.
  3. 관계부처합동 (2019). 포용국가 아동정책. 세종: 보건복지부.
  4. 김정화, 김갑순 (2019). 초등학교 아동의 놀이대상과 놀이유형별 소요시간이 친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코칭연구, 12(3), 55-70. doi:10.20325/KCA.2019.12.3.55
  5. 김정화 (2019). 농촌지역 아동의 놀이충분성과 놀이만족도가 삶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9(9), 625-633. doi:10.35873/ajmahs.2019.9.9.054
  6. 김젤나, 이재연 (2007). 학교에서 아동의 참여권 행사와 적응과의 관계, 아동과 권리, 11(2). 167-185.
  7. 박현선 (2020). 놀이친화적 환경이 아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놀이공간 조성과 지역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한국아동복지학, 69(2). 175-201. doi:10.24300/jkscw.2020.6.69.2.175
  8. 염유식, 김경미, 이미란 (2014).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 연구 조사결과 보고서. 서울: 한국방정환재단.
  9. 유혜경 (2018). 신체적 놀이활동이 초등학생의 건강 관련 체력과 신체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이기우, 하승수 (2007). 지방자치법. 서울: 대영문화사
  11. 이숙재 (2019). 영유아 놀이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12.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2016. 4). 전국시도교육청 어린이 놀 권리 정책 추진현황. 어린이 놀 권리 보장, 학교가 나서자 자료집, 서울.
  13. 전라남도교육청 (2018. 3). 2019. 어린이 놀 권리 보장을 위한 지원 계획. https://www.jne.go.kr/sse/na/ntt /selectNttInfo.do?mi=796&bbsId=385&nttSn=1729715에서 2019년 05월 1일 인출
  14. 법제처 (2018. 1). 전라남도교육청 어린이 놀 권리 보장에 관한 조례. https://www.law.go.kr/LSW/ordinInfoP.do?gubun=KLAW&ordinSeq=1290579&viewCls=ordinInfoP &conDatGubunC=0&urlMode=ordinScJoRltInfoR&ordinId=2173796&vSct=%EB%86%80 +%EA%B6%8C%EB%A6%AC&chrClsCd=010202&lgovOrgCd=849에서 2019년 05월 1일 인출
  15. 정우진, 염두승, 김난현, 김경렬 (2002). 초등학생들의 놀이활동과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2(1), 281-290.
  16. 조영제, 송현진 (2005). 놀이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1(1), 141-154.
  17. 초록우산어린이재단 (2014). 대한민국 아동을 말한다: '아동의, 아동에 의한, 아동을 위한' 2014 어린이 연구원(Greeny) 연구보고서. 서울: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아동복지연구소
  18. 황옥경, 김정화, 명준희 (2019). 아동권리협약에 근거한 학교 놀이 환경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초점집단 면접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8), 286-294. doi:10.5762/KAIS.2019.20.8.286
  19. 황옥경, 한유미, 김정화 (2014). 한국 아동의 놀 권리 현주소와 대안. 서울: 유니세프한국위원회.한국아동권리학회.
  20. Anthamatten, P., Brink, L., Lampe, S., Greenwood, E., Kingston, B., & Nigg, C. (2011). An Assessment of Schoolyard Renovation Strategies to Encourage Children's Physical Acti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8(1), 1-9. doi:10.1186/1479-5868-8-27.
  21. Burghardt, G. M. (2011). Defining and recognizing play. In A. D. Pellegrini (Ed.), The Oxford handbook of the development of play (pp. 9-18).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2. Daly, L., & Beloglovsky, M. (2015). Introducing loose parts to preschoolers. Teaching Young Children, 9(1), 18-20.
  23. Jones, P., & Walker, G. (2011). Children's rights in practice. London: Sage.
  24. Harber, V., & Schleppe, S. (2010). Promoting Early Physical Literacy in Alberta. Well Spring, 21(4), 1-5.
  25. Hirsh-Pasek, K., Golinkoff, R. M., Berk, L. E., & Singer, D. G. (2008). A Mandate for Playful Learning in Preschool: Presenting the Evidenc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6. Panksepp, J. (2007). Can play diminish ADHD and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social brain? Journal of Canadi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6(2), 57-66.
  27. Prilleltensky, I. (2005). Promoting well-being: time for a paradigm shift in health and human services,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3, 53-60. doi:10.1080/1403495051003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