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tycodon grandiflorum(Jacq.) A. DC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1초

도라지 분말 첨가에 따른 콩 다식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bean Dasiks by Adding Platycodon grandiflorum(Jacq.) A. DC. Flour Powder)

  • 지옥화;제갈성아;최영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8-246
    • /
    • 2010
  • 도라지의 약리성 건강식품으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붉은 콩가루를 이용하여, 도라지 가루를 0%, 3%, 6%, 9%, 12%를 첨가한 콩 다식을 제조하여 수분, 색도, 기계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도라지 가루를 첨가한 콩 다식의 수분 함량은 $24.47{\pm}0.3\sim26.3{\pm}0.81%$ 사이의 범위로 나타났고, 색도는 도라지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L값은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기계적인 특성의 측정 결과, 경도는 도라지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착성, 검성과 씹힘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탄력성과 응집성은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도라지 가루를 첨가한 콩 다식의 색과 향기에 대한 기호도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지만 도라지 가루 6% 첨가군에서 가장 좋았으며, 맛, 부드러운 정도, 씹힘성과 종합적인 기호도는 도라지 가루 6% 첨가군이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라지 가루를 콩 다식에 첨가하면 색, 맛, 향기 등 품질 평가의 주요요인들이 6%까지는 큰 변화 없이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므로 도라지 가루를 이용한 콩 다식을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라지 가루 첨가 콩 다식의 맛과 기능적 특성에 기대를 걸어보며, 앞으로 후속 연구가 더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 PDF

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부정아 형성을 통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via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in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 김주영;나현선;최필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30-334
    • /
    • 2017
  •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에서 신초발생에 대한 최적의 호르몬 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잎 및 배축절편을 1.0 mg/L 2,4-D와 0.1, 0.5, 1.0, 2.0 mg/L BA 또는 kinetin과 각각 조합 첨가한 MS 기본배지에 6주 동안 명 배양 하였다. 배양절편에 따라 신초발생율은 잎 절편에서 56.38%로 배축절편(28.20%)보다 높았다. Kinetin과 BA를 2,4-D와 조합첨가 하였을 때 kinetin의 경우 잎에서 70.38%로 BA (42.38%)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며, 반면 BA의 경우 배축에서는 35.56%로 kinetin (20.83%)보다 더 높은 빈도를 보였다. 가장 높은 신초형성 빈도(94.20%)는 1.0 mg/L 2,4-D와 1.0 mg/L kinetin이 조합첨가된 MS 배지에서 잎 절편을 배양하였을 때 얻을 수 있었다. 대부분의 신초는 1/2 MS기본배지에서 뿌리를 유도한 후 토양에서 완전한 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적의 기내배양 조건을 통해 도라지의 대량생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길경 재배년수, 수확시기 및 건조방법에 따른 조사포닌 함량 (Crude Saponin Contents of Platycodon grandiflorum(Jacq.) A.DC.)

  • 이성태;류재산;김만배;김동길;이홍재;허종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72-176
    • /
    • 1999
  • 길경의 품질평가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는 crude saponin 함량 변화를 밝히고 고품질 약재생산 및 가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생육년수, 부위, 수확시기, 및 건조방법별로 조사포닌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rude saponin 함량은 생육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였다. 부위별로는 미부에서 2.74%로 두부 1.65%보다 1.6배 높았으며, 외피가 내심보다 1.8배 높았다. 수확시기별로는 3월과 12월에 수확했을 때가 각각 2.82, 2.74%이었으며 6월과 9월은 각각 2.12, 2.09%이었다. 건조방법별로는 증건했을 때 가 1.65%로 가장 낮았고 양건, 음건, 열풍건 및 원적외선 건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 PDF

Breeding of Tetraploid in Platycodon grandiflorum (Jacq.)A. DC. by Colchicine treatment

  • Kim, Ik-Hwan;Kim, Hag-Hyun;Hong, Eui-Yon;Yun, Jong-Sun;Yun, Tae;Hwang, Ju-Kwang;Lee, Cheol-Hee
    • Plant Resources
    • /
    • 제6권3호
    • /
    • pp.188-194
    • /
    • 2003
  • Present studies were carried out to produce tetraploid plants by colchicine treatment using seeds, seedlings and shoot tips of Platycodon grandiflorum in Campanulaceae. The most successful colchicine treatment for tetraploid production in P. grandiflorum was soaking treatment using 0.01 and 0.5% colchicine solution for 1 hour and 12 hours, respectivel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oth diploid and tetraploid were similar, but tetraploid plants had more leaves. Compared to diploid, tetraploid had the larger stomata, but less number of stomata. Fresh weight of tetraploids was 20∼40% heavier than that of diploid.

  • PDF

도라지 수집종의 형태적 특성과 SSR마커에 의한 유연관계 분석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Diversity Analysis of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Determined Using SSR Markers)

  • 엄유리;이이;;이대영;이재원;김금숙;김창국;홍창표;김옥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5-61
    • /
    • 2016
  • Background : Plant breeding requires the collection of genetically diverse genetic resources.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Platycodon grandiflorum resources have not been carried out so far.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iscriminate P. grandiflorum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diversity using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s. Methods and Results :We collected 11 P. grandiflorum cultivars: Maries II, Hakone double white, Hakone double blue, Fuji white, Fuji pink, Fuji blue, Astra white, Astra pink, Astra blue, Astra semi-double blue and Jangbaek. Analyse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were conducted for aerial parts (flower, stem and leaf) and underground parts (root). Next, the genetic diversity of all P. grandiflorum resources was analyzed using SSR markers employing the DNA fragment analysis method. We determined that the 11 P. grandiflorum cultivars analyzed could be classified by plant length, leaf number and root characteristic. Based on the genetic diversity analysis, these cultivars were classified into four distinct groups. Conclusions :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for further research on cultivar development using molecular breeding techniques and for conservation of the genetic diversity of P. grandiflorum. Moreover, the markers could be used for genetic mapping of the plant and marker-assisted selection for crop breeding.

길경(桔梗)을 이용한 호상 요구르트 제조(製造) (Production of Curd Yogurt from Platycodon grandiflorum(Jacq.) A.DC.)

  • 이성태;김만배;김동길;류재산;이홍재;허종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65-270
    • /
    • 1998
  • 진해(鎭咳), 거담(祛痰)의 약리작용으로 기관지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는 길경을 건강보조 식품으로 널리 애용하기 위해 탈지유와 설탕이 들어있는 기본배지에 길경을 즙, 퓨레 및 분말을 각각 첨가하고 4종의 흔합유산균주를 접종하여 호상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시 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즙, 퓨레 및 분말 상태를 각각 첨가한 호상요구르트의 최적 발효시간은 12시간 이었으며 이때 pH는 4.1, 산도는 1.15%였다. 2. 길경 첨가 상태별 관능검사에 의한 최적 첨가량은 즙은 2% , 퓨레 및 분말은 각각 1% 첨가시에 좋았으며 즙 2% 첨가가 가장 좋았다. 3. 저장기간에 따른 요구르트의 pH는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약간 감소하였고, 산도는 약간 증가하였으며 점도는 퓨레 첨가시에 가당 높았다. 4. 생균수는 발효완료 후 대조구가 $6.2{\times}10^{8}/ml$, 즙 2% 첨가는 $4.4{\times}10^{8}/ml$, 퓨레 및 분말 1% 첨가에서 각각 $3.7{\times}10^{8}/ml$, $4.2{\times}10^{8}/ml$이었으며, 저장 9일동안 모든 시료에서 기준생균수 1억 마리 이상으로 좋은 저장성을 나타내었다.

  • PDF

'녹색 꽃잎 도라지'의 기관분화에 미치는 배지조성 및 생장조절제의 영향 (Medium Composition and Growth Regulator on Organogenesis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with Yellow Green Petals)

  • 권수정;조갑연;김학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3-50
    • /
    • 2014
  • 본 연구는 '녹색 꽃잎 도라지'의 기내배양 시 배지구성물질의 적정농도 구명에 의한 대량번식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녹색 꽃잎 도라지'의 절을 배양재료로 배양조건은 MS배지의 여러가지 구성물질의 농도를 달리한 결과, 1/4MS 배지에서 가장 양호한 부정근의 형성을 보였으나 생장은 1/2MS배지에서 좋았다. Sucrose첨가는 농도가 높을수록 신초와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이 좋았다. 활성탄은 무첨가구에서 가장 많은 부정근의 형성과 양호한 생장을 보였다. 배지의 pH는 4.8로 조절된 배지에서 가장 많은 부정근을 형성하였으며, pH가 높아질수록 그 형성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부정근과 신초의 생장 또한 pH 4.8에서 가장 왕성하였다. Agar 농도별 실험에서 부정근의 형성과 생장은 그 농도가 낮아질수록 양호한 경향을 보여 가장 낮은 첨가구인 0.4% 농도구에서 가장 많은 부정근의 형성과 왕성한 생장을 보였다. 생장조절제를 혼용 첨가한 경우 신초의 형성은 BA와 IAA의 혼용구가 kinetin과 IAA 또는 NAA 혼용구에 비해 효과적이었으며, BA 0.1 mg/L와 IAA 0.5 mg/L 혼용구에서 절편체당 3.9개로 가장 많은 신초가 형성되었다.

제주 자생 식물들에 대한 항비만 효능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Anti-obesity Activity of the Wild Plants of Jeju Island)

  • 박덕훈;정은선;이종성;정광선;김새봄;허성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5-17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30여 종의 식물추출물에 대한 항비만 효능을 조사하였다. 항비만 효능은 in vitro oil red-O staining 방법을 이용하여 지방전구세포 3T3-L1에서 분화억제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30여 종의 식물 중에서 약도라지, 호장근, 유근피 등을 포함한 6종의 식물이 지방전구세포 3T3-L1의 분화를 억제하였다.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물질 중 유근피, 약쑥, 호장근, 후박 4종은 우수한 항산화 효능도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실험에서 확보된 추출물이 항비만 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난알부민 유도 알레르기 면역반응에 대한 길경(桔梗)에탄올추출물의 효능 연구 (Effects of Platycodi Radix ethanol extract on ovalbumin-induced allergic responses in mice)

  • 정진기;강석용;김진웅;이상국;박용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23-129
    • /
    • 2012
  • Objectives : Allergy has been described as an inflammatory with hypersensitivity resulting from seasonal or perennial responses to specific allergens. The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Platycodi Radix; Campanulaceae) has been traditionally used to treat chronic diseases such as bronchitis, asthma, pulmonary tuberculosis, inflammation and hyperlipidemia.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70% ethanol extract of Platycodi Radix (PR-E) on ovalbumin (OVA)-induced airway inflammation in mice. Methods : Mice were sensitized and challenged by OVA inhalation to induced chronic airway inflammation, and then were intragastrically administered PR-E extract at doses of 50 and 200 mg/kg/day from days 21 to 30 consecutively. The levels of allergic mediators such as histamine, OVA-specific immunoglobulin (Ig) E, and cytokines such as IL-4 and IFN-${\gamma}$ were measured in the sera of mice by ELISA. The histological change of lung tissue was observed by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Results : PR-E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rum levels of histamine, OVA-specific IgE, and Th2 cytokine, IL-4 compared with those in the OVA-induced group. PE-E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erum level of Th1 cytokine, IFN-${\gamma}$. Based on lung histopathological studies,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mucus hypersecretion were inhibited by PE-E extract administration compared to that in the OVA-induced group. Conclusions :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E-E extract may be useful as an adjuvant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bronchial asthma.

토성에 따른 도라지뿌리의 생육과 성분함량 변화 (Changes in Growth and Saponin Content in Roots of Bell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with Different Soil Textures)

  • 박미영;김용철;권순욱;류수노;함태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4호
    • /
    • pp.296-304
    • /
    • 2022
  • 최근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자연식품을 선호하는 쪽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약용작물은 지역 토질과 기후에 따라 독특한 약효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라지뿌리 재배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도라지뿌리의 약효 성분을 극대화하고자 토성에 따른 도라지뿌리의 생육 및 사포닌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배 토성별 도라지뿌리의 생육조사에서는 지상부는 양질사토 > 사양토 > 배합토 > 마사토 순이었고, 지하부는 양질사토 > 배합토 > 사양토 > 마사토 순이었다. 2. 일반성분은 평균적으로 수분은 77.3%, 조지방은 2.6%, 조회분은 3.2%, 조단백질은 6.0%, 탄수화물은 10.9%의 함량을 보였다. 3. 도라지뿌리의 사포닌 분석 결과 platycodin D > platycodin D3 > polygalacin D > deapioplatycodin D 순이었고, 각 각 282.4, 104.7, 29.1, 19.1 mg/100g으로 나타났다. 재배 토성별 결과는 platycodin D, polygalacin D, deapioplatycodin D는 배합토와 사양토에서 높았고, platycodin D3는 모든 토양에서 유사한 함량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