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and Students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4초

창의적 융합인재양성을 위해 학생들의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한 융합인재교육 (STEAM Education considering the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of Students in order to Cultivate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 안선경;곽옥금;전병균;박종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527-535
    • /
    • 2021
  • 창의·융합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함양시키기 위해, 창의·융합교육을 과학고 학생들에게 처치하였으며, 수업처치 후 학생과 교사들의 인식변화를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인식조사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 교육 만족도, 등 융합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98% 이상의 학생들이 앞으로도 융합교육 수업에 계속해서 참여하겠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수업활동 시간 부족으로 문제해결 미완성이 학생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였으며, 한 학기당 20~30% 이내에서 이 프로그램이 운용되길 바라고 있었다. 특히 융합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나노과학의 내용 및 교수-학습 활동을 과학고 학생들의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알맞게 구성하였다. 또한, 학생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결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 능력', 등에서 80.0% 이상의 교사들이 매우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과학 수업에서 통합적 적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 과학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of Elementary Teachers depend on Application Experience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 맹희주;손연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601-61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pplication group and nonapplication group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in the science class about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and PCK.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bout science teachers' fundamental background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s. This results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didn't have relation with the fundamental background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group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has a lower frequency than the application group, however, it has been analysed that the application group has been applied at the introduction stage for students' motivation, focused on biology as twice every month. Second, to apply a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it has analysed that not only teachers should need to understand about application method and concept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but also science textbook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 should be developed and diffused in the well-integrated science. Third,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ity of elementary teachers to teach the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is not comparatively high and non-application group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has a lower PCK than the application group. Therefore, it should be provided that not only training programmes to learn interdisciplinary knowledge related to science, can lead to more understanding about instructional design, teaching strategies and concept for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but also chances to participate in various training programmes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elementary teachers' professionality for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물질의 입자성과 관련된 학생들의 오개념에 대한 중등 교사들의 지식과 인식 (Secondary Science Teachers'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 박지애;한수진;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2-53
    • /
    • 2010
  • 교사들이 학생들의 오개념을 아는 것은 구성주의적인 수업 전략을 행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단계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등 교사들이 물질의 입자성과 관련된 학생들의 오개념을 인지하는 정도를 조사하고, 교사가 제시한 오개념 총 수의 차이를 배경 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에서 어떻게 오개념을 사용하는지, 그리고 과학 개념을 지도하기 위해 오개념 파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도 조사하였다. 서울특별시 28개 중학교의 과학교사 87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사들이 제시한 오개념을 중학교 1학년 240명에게서 나타난 오개념과 비교 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집단적으로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오개념의 유형을 대부분 알고 있었으나 실제로 학생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오개념이 무엇인지는 잘 예상하지 못하였다. 교사가 제시한 오개념 총 수는 교육 경력이 10년 미만이거나 학력이 높거나 전공이 화학인 교사 집단에서 더 많았다. 비록 대부분의 교사들이 학생들의 오개념을 아는 것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지만 실제 수업에서는 오개념을 자주 사용하지 않거나 단순한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수업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오개념을 알게 된 교사들이 많았으며 오개념에 관한 자료나 교사 양성 과정, 교사 재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오개념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응답한 교사는 드물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 Perceived b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김유림;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5호
    • /
    • pp.360-375
    • /
    • 2019
  •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자발적으로 설정하고 1년 이상 탐구 수업 계획, 실행 경험 공유, 반성을 함께 한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개방형 설문과 개별 면담 자료를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은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를 수행함으로써 교육 과정에 제시된 과학 핵심 개념을 형성하는 것이 과학 탐구 수업의 목표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참여교사들은 학생들이 과학 수업에서 탐구를 수행하면 '과학 핵심 개념 학습', '과학에 대한 흥미 향상', '과학적 사고력 함양', '과학의 본성 이해' 등의 과학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참여 교사들은 과학 탐구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뿐만 아니라 과학 탐구 수업에서 학생들이 탐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사가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탐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사는 '핵심 개념 설정', '과학 실천 기반 교수-학습 내용 재구성', '학생의 수준 고려', '발문 및 피드백 제공', '과학적 개념 설명', '학생들의 활발한 논의 유도'하는 역할을 해야한다고 강조하였다.

과학과 행동영역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Science Practices)

  • 박현주;정대홍;최원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1-77
    • /
    • 2011
  • 이 연구는 과학과 평가에 이용되는 행동 영역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행동 영역은 학생들이 과학 지식을 어떻게 이해하고 과학적 탐구를 어떻게 수행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지역 중, 고등학교에서 5년 이상 근무한 7명의 과학 교사였고, 연구를 위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기출된 27문항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질문지와 심층 면담이 진행되었다. 질문지와 면담 내용은 동료 연구자와 함께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교사들은 문항에 포함된 소재나 소재의 제시 방법에 근거해 행동 영역을 결정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교사들이 문항 해결에 필요할 것이라고 예상한 정보와 사고 과정에 따라 행동 영역을 다르게 인식 하였으며 또한 행동 영역의 정의와 의미에 대한 이해정도가 달랐다.

과학 관련 진로 및 진로교육에 대한 초등학생과 교사의 인식 (Elementary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Science-Related Career and Career Education)

  • 이현이;임희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1호
    • /
    • pp.50-6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과학과 관련된 진로에 대한 인식과 초등 교사의 과학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196명과 교사 100명이었다. 분석 결과, 28.1%의 학생이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였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취도인지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과학 관련 희망 비율이 높았다.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지 않는 경우 그 이유는 과학에 대해 관심이 없고 과학이 재미없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사회문화적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경우 42%만이 과학 관련 진로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진로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교사들은 과학 관련 진로교육이 크게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 주된 이유였다.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학생들의 부정적인 인식과 교사의 과학 관련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의 부족은 학생들의 과학 진로 선택 여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파악되며, 학교와 가정에서 이러한 요인들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지구과학 교사 연구 모임 참여 교사의 야외 지질 학습 지도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대한 사례 연구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Teachers in an Earth Science Teachers' Research Group About Teaching Geologic Field Trip: A Case Study)

  • 전영호;진홍진;최변각;박정웅;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86-698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지구과학 교사 연구 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교사의 야외 지질 학습에 관한 인식과 실행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은대리 지역의 야외 지질 학습에 지도 교사로 참여한 지구과학 교사 4명이다. 자료 수집은 야외 지질 학습 수업 관찰 및 녹화, 학생들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 야외 지질 학습 수업 자료 및 학생 보고서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야외 지질 학습 수업 및 면담 자료를 전사한 후 질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연구 참여 교사들은 대체로 야외 지질 학습의 목적으로 심미적인 측면을 중요시하고 있었고, 실제 연구 참여 교사들의 야외 수업에서 학생들이 과학적 탐구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 방법과 전략이 활용되고 있었지만, 각 관찰 지점에서의 제한된 시간 등으로 인하여 학생들의 활동보다는 교사의 설명이 더 많은 야외 강의의 측면이 보였다. 연구 참여 교사들은 교사 연구 모임과 야외 지질 답사 참가, 대학원 진학 등을 통해 야외 지질 학습 지도를 위한 전문성 개발에 계속적인 노력을 해오고 있었다.

초등 예비교사와 교사의 교직 전문성과 과학교수 전문성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s o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ing profession and science teaching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 임희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3호
    • /
    • pp.538-54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의 과학 심화전공 예비교사 및 과학교육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교사들의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 초등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또한, 과학 심화전공자로서 초등 과학교육에 대한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 이러한 인식이 과학교수의 효능감과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한 교육대학교의 과학교육과 예비교사 2학년 64명, 4학년 53명, 과학교육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교사 23명으로 총 140명이었다. 검사도구는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교직 전문성 인식 검사 도구, 과학교수 효능감 검사 도구 및 초등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초등 과학교육의 전문성 인식에 대한 서술형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았으며, 특히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장기간의 전문적 교육, 교사로서의 자율성과 책무성에 많은 의미를 부여함을 알 수 있었다. 교직 전문성 및 일부 하위 영역에서 예비교사 2학년의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긍정적이었으며, 과학 심화전공자로서 초등 과학교육에 대한 전문성은 그에 비해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과학교육 전문성 인식 여부로 집단을 나누었을 때,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집단이 과학교수 효능감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등교사교육에서의 과학 교과 전문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한국영재교육에서 소집단 탐구활동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zing Perceptions of Small Group Inquiry Activity in the Gifted Education of Korea)

  • 정현철;박영신;황동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1-162
    • /
    • 2008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영재교육에서의 소그룹 탐구활동에서의 실태 및 인식을 정량적으로 조사한 것이다. 임의 표본으로 전국의 16개 도시의 영재담당 교사 614명, 수학에서는 1,670명, 과학에서는 1,732의 영재학생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본 연구의 연구자들은 기존의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협동학습 형태의 소그룹활동 및 탐구활동에 대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실태 및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1) 현 한국의 영재교육에서의 소그룹 탐구활동은 교실 내에서 효과적인 학습 및 교수법으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한국영재교육에서의 소그룹 탐구활동에 대해 교사 및 영재학생들은 인지적 및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 실질적으로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도모하기 위한 교수법이나 효과적인 조구성을 위한 교수법은 사용하지 않았다. 이는 영재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소그룹 탐구활동은 단순한 전통적인 그룹 활동에 불과하다는 것을 지적하며, (3) 이는 영재담당 교사들의 소집단 탐구활동, 특히 협동학습 관련 이해 및 지식이 충분하지 않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수법의 부족에서 오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한국영재교육에서의 효과적인 소그룹 탐구활동의 적용을 위해서는 영재담당 교사연수를 통해 소그룹 탐구활동에 대한 이해도 및 지식을 반성하고 개발하며 또한,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관련된 교수법 및 교수 모델을 창안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실습이 중등 예비교사들의 순환학습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Teaching Practices upon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s on Learning Cycle)

  • 강훈식;유지연;김경순;이정순;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50-462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이 중등 예비교사들의 순환 학습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순환학습에 대한 이해도에 따라 조사했다. 2개 사범대학의 화학교육과 4학년 학생 37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전에 순환학습에 대한 이해도와 인식 검사를 실시했고, 교육실습 후에는 순환학습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했다. 또한, 순환학습에 대한 인식이 크게 감소한 예비교사 7명을 선정하여 인식 감소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심층면담도 실시했다. 연구 결과, 교육실습 전 중등 예비교사들의 순환학습에 대한 이해도는 높지 않았으나, 순환학습의 장단점이나 실행의지, 실행과 관련된 외부요인 등의 측면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그러나 교육실습을 마친 후에는 이런 긍정적인 인식이 다소 감소했으며, 특히 순환학습에 대한 이해도가 낮았던 예비교사들보다 높았던 예비교사들의 감소폭이 더 컸다. 그 원인으로 면담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예비교사 요인, 학생 요인, 교육과정 요인, 외부환경 요인을 지적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