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n older worker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3초

중고령 근로자의 경력적응력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업무몰입과 중고령 근로자에 대한 인식의 역할 (The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on turnover intention among older workers: the role of work engagement and perception on older workers)

  • 김영형;김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203-213
    • /
    • 2022
  • 본 연구는 기업환경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환경에서는 경력적응력이 높은 종사자가 중요하다는 점과, 생산가능인구의 지속 감소로 중고령 근로자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중고령 근로자의 이직 의도를 줄이고 업무몰입을 통해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방안을 찾고자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중고령 근로자의 경력적응력 수준이 높을수록 이직 의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적응력과 이직 의도 간의 관계에서 업무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경력적응력이 업무몰입의 매개를 통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중고령 근로자에 대한 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근로자 경력적응력 및 업무몰입도 제고를 통한 이직 의도 감소방안과 더불어 중고령 근로자에 대한 고정관념 변화를 위한 기업의 노력 등에 관한 실용적 시사점 등을 제안했다.

연령규범과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관계: 고용서비스 인지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Recognition of Employment Welfare Servi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Norms and Negative Perception on Older Workers)

  • 정순둘;이미우;정세미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8권3호
    • /
    • pp.47-76
    • /
    • 2017
  • 본 연구는 20대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우리 사회에 만연한 연령규범이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고령근로자를 위한 고용서비스 인지가 활동적 그리고 분리적 연령규범과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관계에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은 15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중 현재 직업을 가지고 있는 총 630명이며, SPSS Win 18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지역에 따라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분리적 연령규범은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다중회귀분석 결과 고용서비스 인지는 분리적 연령규범과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고용서비스 인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고령근로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유연하게 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서울지역 단체 급식소 영양사들의 고령 인력 고용에 관한 의식 조사 (Attitudes of Non-Commercial Foodservice Dietitians toward Hiring Older Workers)

  • 이중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7호
    • /
    • pp.821-82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ttitudes of non-commercial foodservice dietitians toward hiring older workers who are over fifty-five years of ag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600 members of Korea Dietitians Association who are working in Seoul, Korea, Data from 233 usabl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ackage program. The study showed that dietitians do not have a favorable perception of hiring older workers. Dictitians responded older workers have more serious accidents than younger workers(under age 30). In addition, they think than older workers are harder to train, find it more difficult to adapt to adapt to new ways of working, and are slower in their work. On the positive side, the response did show that dietitians realize that older workers are not absent from work as frequently than younger workers and that they are more cooperate than younger workers. The data also showed that those dietitians who had more positive experience with older workers also perceive the workers in more positive way than those dietitians that have had a negative experience with older workers(p<0.001). Finally, dietitians who are working in industrial foodservice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older workers than the dietitians who are working in hospital and school foodservice(p<0.01).

  • PDF

식품영양학 전공 대학생들의 고령 인력 고용에 관한 태도 (Attitudes of Food and Nutrition Majors toward Hiring Older Workers)

  • 이중희;박정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6-4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ttitudes of nutrition majors toward hiring older workers who are over fifty-five years of ag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500 students who are studying food and nutrition in three colleges and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its suburbs. Data from 490 usabl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ackage program. The study showed that although the students have a favorable perception about hiring older workers, they prefer to hire younger people under the age of 30 father than older workers(over 55 year old). Additionally, even though both the younger and older people have the same ability, they would still choose to hire younger people. Also, they think that older workers are harder to train, find it more difficult to adapt to new ways of working and are slower in their work. On the positive side, the response did show that students realize that older workers are not absent from work as frequently as younger workers and that they are more cooperative than younger workers are. The data also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had a more positive experience with older workers also perceive those workers in a more positive way than the students who did mot have experience with older workers(p<0.0001). Finally, students who have family members who are older workers(p<0.01) and students who are planning to work past fifty-five years of ages show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older workers(p<0.01). Moreover male student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older workers than female students did(p<0.0001).

  • PDF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China private antidesertification afforestation support project and evaluation

  • Ji, Seung-Yong;Lee, Sang-Hyuk;Lee, Oh-Kyu;Choi, Jaeyo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2호
    • /
    • pp.288-297
    • /
    • 2016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ivate antidesertification afforestation support project' in the Kubuqi Desert through a survey of local residents and interviews with relevant personnel. Based on this survey, gender, age, and occupational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project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project was evaluated based on the OECD/DAC criteria using survey result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levant personnel. The survey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nts answered most of the questions positively, claiming that they were receiving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benefits through the project. However, most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negatively to questions regar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oject and relevant information. Gender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project were not found, whereas, age and occupational differences in perception were found. Older age groups showed higher levels of perception. Participants in the agro-livestock industry and office workers showed higher levels of perception compared to middle/high school students, the unemployed and college students. Teenagers, in particular, showed the lowest level of perception of the project, and thus, promotional activities targeting teenager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Results of this evaluation of the project based on the OECD/DAC's five criteria (relevance, effectiveness, efficiency, impact, and sustainability) showed that the project operated effectively for the most part.

재가노인서비스 위기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risis in Home Support Service for the Elderly)

  • 임병우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65-17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노인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재가노인지원서비스 존립에 대한 위기 인식을 파악하고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인 귀납적 내용분석을 기반하여 현재 재가노인지원서비스 존립 위기 인식의 원인과 위기 강화요인이 무엇인지 이로 인해 나타나는 위기 인식과 위기완화를 위한 상호작용, 위기완화 결과 예측은 어떠한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수도권 00시 재가노인복지협회에 추천된 자발적 참여자 4명을 표본 추출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재가노인지원 센터의 위기관련 주요 요인은 심리적인 측면, 정책적인 측면, 역할 측면의 3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정책적인 측면에서 정책변화에 능동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변화를 위한 노력에 한계가 있었다. 둘째, 심리적인 측면에서 정체성 혼란과 지역사회에서 부정적인 인식이다. 셋째, 역할 측면에서 기관과 법인, 그리고 협회의 적극적인 역할과 지원의 아쉬움이 있었다.

「독거노인 친구만들기」를 통해 살펴본 '숨겨진 이웃', 사회적 고립이 심각한 노인 1인 가구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Social Worker's Perceptions and Working Experiences of Older Adults Who Live Alone in Severe Social Isolation Based on the Case of 「Making Friends of Older Adults who Live Alone」)

  • 김유진
    • 한국노년학
    • /
    • 제38권4호
    • /
    • pp.1149-117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고립에 처한 노인 중에서도 마치 '숨겨진' 것처럼 심각한 고립 상태에 있는 노인 1인가구에 대한 사회적 개입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질적기술연구 방법을 통하여 "독거노인 친구만들기" 사업의 사회복지사들이 심각한 고립 상황에 있는 독거노인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사업 수행 경과에 따라 노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는지, 그리고 노인들에게 사례관리를 제공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사 40명과의 심층 면담, 70명 노인의 사례관리 기록지, 연구일지를 수집하였고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질문에 맞추어 자료 분석의 결과를 크게 두 개의 범주와 각각 네 개의 하위범주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범주: 문전박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방문을 통해 막연하게 일반화하여 보던 노인들의 삶과 상처를 개별적으로 보게 됨, 두 번째 범주: 노인의 작은 변화들에 뿌듯해하지만 사회적 돌봄의 현실적인 한계를 실감함.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사항을 제안하였다: 1) '은둔형' 용어 사용의 제고, 2) 사회적 고립에 처한 노인의 다양성에 대한 연구, 3) "독거노인 친구만들기"사업 인력에 대한 정서적 교육적 지원, 4)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연계를 위한 고민.

1인가구의 고용형태 및 연령별 혼자 식사(혼밥)관련 식행동 비교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 of Eating Alone in Single Households by Status of Workers and Age)

  • 조필규;오유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08-421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dietary behavior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hen eating alone according to the employment pattern and age. Methods: A total of 566 people aged 20~59 years old were collected from the status of workers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employment pattern (regular, non-regular workers and business owner). The subjects were collected by purposive quota sampling on a Gallup panel from June to November in 2017. The dietary behavior and perception of eating alone of the subjects were surveyed via online an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Results: The frequency of eating al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gular group than the non-regular group and business group (p<0.01). The place of eating al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gular and non-regular group in the convenience store, and business group in the office (p<0.001). Ramen, the menu when eating alon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n-regular group than the other groups (p<0.01). The preference for eating alone was lower in the older age group (p<0.05). The young aged group (aged 20~30) ate more fast food and felt more convenience than the older aged group aged 40~50 years (p<0.05). Conclusions: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a non-regular job have poorer dietary behavior in eating alone than those who had regular employment. In a situation of an increasing number of non-regular workers aged in their 20s and 30s, there is a high likelihood of social problems, such as health and poverty.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a healthy food selection environment to improve the dietary life of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non-regular jobs for the diverse typ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노후 주거용 건축물 비구조체 해체 시 환경유해인자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Hazards when Dismantling Non-Structure of Old Residential Buildings)

  • 손병훈
    • 도시과학
    • /
    • 제10권1호
    • /
    • pp.29-37
    • /
    • 2021
  • The number of old buildings older than 30 years in Korea continues to increase from 29.9% in 2005 to 38.8% in 2020. Considering the grow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urban maintenance projects, the suppression of urban expansion, and the lack of idle land in the city, the dismantling of old buildings is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in the future. As major accidents at building dismantling sites continue to occur, related agencies are also strengthening safety management of building dismantling works. While physical safety management such as collapse and fall is strengthened, there is a relative lack of interest in the health of workers at dismantling sites due to environmental hazards. Since relevant laws stipulate that construction waste should be separated and discharged, old buildings need to be considered for environmental hazards such as fine dust, floating bacteria, and floating molds when dismantling. In this study, we intend to find important safety management elements in the management of building dismantling sites,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harmful to dismantling workers, and present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of dismantling sites in the future. "Safety management" was the highest priority, followed by "dust," "vibration," "noise," "bacteria," and "smell."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hysical damage prevention" with workers working on dismantling and managers managing the site came out similar, but the perception of "work efficiency" and "health disorder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hazard management showed different priorities. In the process of dismantling, floating bacteria and floating mold were collected, cultured, and measured the concentration in the indoor air. The measurement was measured by dividing it into pre-dismantling and during dismantling.

고령자 고용 안정화를 위한 기업과 기관 운영자의 정년연장 인식에 관한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erception of Retirement Extension of Companies and Institutional Top Leaders for Stabilizing the Employment of the Elderly)

  • 김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60-474
    • /
    • 2022
  • 본 연구는 고용의 주체인 기업과 기관의 운영자가 인식하는 정년연장에 관한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면접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질적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제조업과 건설 현장 중심의 기업은 외국인 근로자보다 고령자를 선호하였고 사회서비스 기관의 운영자들은 건강하고 능력이 있는 고령자들은 계속 일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기업의 사정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률적으로 정년을 연장하는 것에 반대하는 의견도 다수 제시되었다. 높아진 호봉 대비 일에 대한 열정이 감소하여 정년제도가 없으면 조직의 활력을 저하하고 인건비 부담을 가중할 것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회사와의 합의에 따른 계약 연장 및 촉탁직의 형태를 취한다면 정년 이후에도 고용이 연장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고령자의 연봉을 조정하여 기업의 부담을 줄이고 좀 더 고용의 탄력성이 보장되면 기업에서 고용유지뿐만 아니라 고령자 고용 창출도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