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Innovativeness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2초

핀테크의 사용자 특성과 제품 특성이 지속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Fintech User and Product Characteristics on Intention for Continuous Use)

  • 하창승;정대현
    • 정보화정책
    • /
    • 제23권4호
    • /
    • pp.59-75
    • /
    • 2016
  • 융복합 시대에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해 금융거래 패러다임의 혁신을 꾀하고자 하는 핀테크의 발달이 주목받고 있다. 금융관련 서비스를 모바일 및 정보통신기술과 접목하려는 핀테크의 확산은 단순한 결제 및 송금서비스 외에 대출, 투자, 자산관리 등 보다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소비자들의 인식이 낮은 편이다. 따라서 다양한 핀테크 비즈니스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어지는 시점이다. 본 논문은 핀테크 사용자들의 지속사용의도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소비자 관점의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용자특성 측면에서 보면, 혁신성은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특성 측면에서는 지각된 위험은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Quality of Entrepreneurship and Micr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MSMEs) Financial Performance in Indonesia

  • HANGGRAENI, Dewi;SINAMO, Timothy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4호
    • /
    • pp.897-90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entrepreneurship - motivati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risk behavior - in relation to the odds of micr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MSMEs) financial performance in Indonesia. Additionally,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se qualities apply for the current challenges perceived by MSMEs' entrepreneurs in Indonesia due to Covid-19 crisis;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the odds of MSMEs' financial performance during the pandemic in respect to when these qualities are implemented by the entrepreneurs. The empirical data was obtained from an online survey by means of a structured questionnaire. MSMEs surveyed were randomly selected on a national scale. To test the hypotheses, a quantitative approach is employed, using multinomial regression. The main result shows that, under normal economic environment, the more intrinsically-motivated and continuity-driven entrepreneur is, the more likely the MSME will achieve financial growth compared to remaining stagnant. To our surprise, innovativeness leads to less likelihood of MSME's financial growth, suggesting the significance of innovation does not apply to MSMEs in Indonesia. Lastly, MSMEs' risk behavior to operate in a stable business environment is found more likely to result in a better performance and is true for operational and financial risks, but not marketing risks.

수입대행쇼핑몰의 제품 특성과 소비자 특성이 제품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위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oducts Characteristics, Consumers Characteristics on Products Attitudes and Purchasing Intention of Import Agency Shopping Mall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Risk-)

  • 송선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40-34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첫째, 수입대행쇼핑몰에서 취급하는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성 변수(제품 특성, 소비자 특성)를 도출하여 영향관계를 파악하였으며 둘째, 지각된 위험을 조절변수로 투입하여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규명하였다. 셋째, 이상의 연구결과가 의미하는 시사점을 근거로 수입대행쇼핑몰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성변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126개의 유효응답 자료를 SPSS 23.0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실증분석 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입대행쇼핑몰에서 취급하는 제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국가 이미지와 소비자의 혁신성향, 가격지각이었으며, 브랜드 이미지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수입대행쇼핑몰에서 취급하는 제품에 대한 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셋째 지각된 위험(경제적 위험, 제품성능 위험, 프라이버시 위험)은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조절변수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지속적 사용의도 영향 요인 및 요인 간 관계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n Affecting Factors of Healthcare Applications Continuous Usage Intention and their Relationships)

  • 기연수;안성만;조민국;최병구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9-89
    • /
    • 2019
  •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수용 및 도입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성공이 기술 수용이나 도입이 아닌 지속적 사용의도에 의해 결정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나아가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있어 성별과 연령의 역할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자기효능감, 혁신성은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자기효능감, 건강정보지향, 즐거움은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은 지속적 사용의도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령과 성별은 유용성과 지속적 사용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였을 뿐 아니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영자들에게 일정 정도의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소기업 종업원의 지각된 기업특성과 개인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기업 혁신성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mpany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Employees of Small Businesses on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Intermediary Role of Company Innovation)

  • 유은희;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1호
    • /
    • pp.1-1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종업원의 지각된 기업특성과 개인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 확장하여 기업혁신성이라는 기업관련 변수를 추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중소기업의 CEO들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을 유발시키고 변화하는 글로벌 사회의 환경에 초점을 맞추어 관리방안들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하여 조직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경영의 개선이나 제도적 발전을 위한 제언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약 2개월간 실시하였으며, 실증적 분석의 결과 첫째, 중소기업 종업원의 지각된 기업특성과 개인특성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중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중소기업 종업원의 지각된 기업특성과 개인특성이 기업혁신성에 미치는 영향관계 중 조직유연성과 CEO의 리더십, 회사의 의사소통과 부서간, 개인간 협력정도, 지각된 개인의 특성에서의 개인의 도전성은 기업혁신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스트레스는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기업혁신성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네째, 기업혁신성이 종업원의 지각된 기업특성 및 개인특성과 직무만족 사이에서의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조직유연성과 소통과 협력은 부분매개를, CEO의 리더십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의 도전성과는 완전매개를, 직무스트레스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독립변수인 중소기업 종업원의 지각된 기업특성과 개인특성은 직무만족과의 직접적인 관계일 뿐아니라, 기업의 혁신성에 따라 매개되는 간접효과도 가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중소기업 종업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의 혁신활동의 성과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리더십과 개인의 도전성은 기업의 혁신성을 통해 완전 매개되므로 중소기업 종업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의 혁신성 노력이 동시에 추진되어야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업무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Perceived Job Performance in the Context of Enterprise Mobile Applications)

  • 정성훈;김기민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4권1호
    • /
    • pp.31-50
    • /
    • 2014
  • The ubiquitous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through mobile devices has led to an increased mobility of workers from their fixed workplaces. Market researchers estimate that by 2016, 350 million workers will be using their smartphones for business purposes, and the use of smartphones will offer new business benefits. Enterprises are now adopting mobile technologies for numerous applications to increase their operational efficiency, improve their responsiveness and competitiveness, and cultivate their innovativeness. For these reasons, various organizational aspects concerning "mobile work" have received a great deal of recent attention. Moreover, many CIOs plan to allocate a considerable amount of their budgets mobile work environments. In particular, with the consumeriz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enterprise mobile applications (EMA)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explosive growth of mobile computing in the workplace, and even in improving sales for firms in this field. EMA can be defined as mobile technologies and role-based applications, as companies design them for specific roles and functions in organizations. Technically, EMA can be defined as business enterprise systems, including critical business functions that enable users to access enterprise systems via wireles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or tablets. Specifically, EMA enables employees to have greater access to real-time information, and provides them with simple features and functionalities that are easy for them to complete specific tasks. While the impact of EMA on organizational workers' productivity has been given considerable attention in various literatures, relatively little research effort has been made to examine how EMA actually lead to users' job performance. In particular, we have a limited understanding of what the key antecedents are of such an EMA usage outcome. In this paper, we focus on employees' perceived job performance as the outcome of EMA use, which indicates the successful role of EMA with regard to employees' tasks. Thus, to develop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among EMA, its environment, and employees' perceived job performance, we develop a comprehensive model that considers the perceived-fit between EMA and employees' tasks, satisfaction on EMA, and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With this model, we try to examine EMA to explain how job performance through EMA is revealed from both the task-technology fit for EMA and satisfaction on EMA, while also considering the antecedent factors for these construc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ddres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can employees successfully manage EMA in order to enhance their perceived job performance? (2) What internal and/or external factors are important antecedents in increasing EMA users' satisfaction on MES and task-technology fit for EMA? (3) What are the impacts of organizational (e.g. organizational agility), and task-related antecedents (e.g., task mobility) on task-technology fit for EMA? (4) What are the impacts of internal (e.g., self-efficacy) and external antecedents (e.g., system reputation) for the habitual use of EMA? Based on a survey from 254 actual employees who use EMA in their workplace across industries, our results indicate that task-technology fit for EMA and satisfaction on EMA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job performance. We also identify task mobility, organizational agility, and system accessibility that are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ask-technology fit for EMA. Further, we find that external factor, such as the reputation of EMA, and internal factor, such as self-efficacy for EMA that are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satisfaction of EMA. The present findings enable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o understand the role of EMA, which facilitates organizational workers' efficient work processe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ask-technology fit for EMA. Our model provides a new set of antecedents and consequence variables for a TAM involving mobile applications. The research model also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EMA are important mobile services that positively influence individuals' performance. Our findings suggest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agility and task mobility d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ask-technology fit for EMA usage through positive beliefs about EMA, that self-efficacy and system reputation can also influence individuals' satisfaction on EMA, and that these factors are important contingent factors for the impact of system satisfaction and perceived job performance. Our findings can help managers gauge the impact of EMA in terms of its contribution to job performance. Our results provide an explanation as to why many firms have recently adopted EMA for efficient business processes and productivity support. Our findings additionally suggest that the cognitive fit between task and technology can be an important requirement for the productivity support of EMA. Further, our study findings can help managers in formulating their strategies and building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affect employees perceived job performance. Managers, thus, can tailor their dependence on EMA as high or low, depending on their task's characteristics, to maximize the job performance in the workplace. Overall, this study strengthens our knowledge regarding the impact of mobile applications in organizational contexts, technology acceptance and the role of task characteristics. To conclude, we hope that our research inspires future studies exploring digital productivity in the workplace and/or taking the role of EMA into account for employee job performance.

중국 대학생들의 창업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 태도와 인지된 행동 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 석수;오근엽;김형준;민태기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3호
    • /
    • pp.175-189
    • /
    • 2020
  • 창업가의 개인 특성이 창업 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 결과가 많은 것에 비하여 이에 대한 내재적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최근의 연구 결과들을 보면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 요인이 창업 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 창업 태도와 인지된 행동 통제를 매개로 하여 창업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창업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는 중국 대학생들의 창업 의도를 형성하는 개인 특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233명의 중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계획된 행동 이론을 기반으로 창업 태도와 인지된 행동 통제를 창업 의도를 형성시키는 중요한 변수로 설정하고, 잠재적인 창업자의 개인 특성 요인들(리더십, 계획성, 혁신성, 사회성)이 두 변수를 매개로 창업 의도를 형성시킨다는 가설과 모형을 구성하여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 대학생의 경우 창업 태도와 인지된 행동 통제가 창업 의도를 형성시키는 중요한 선행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 특성 요인 중 리더십과 혁신성은 창업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리더십과 계획성은 인지된 행동 통제의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리더십은 창업 태도와 인지된 행동 통제를 매개로 창업 의도를 형성하며, 혁신성은 창업 태도, 그리고 계획성은 인지된 행동 통제를 매개로 창업 의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잠재적인 창업자로서 중국 대학생에 대한 창업 교육을 수행하는 경우 리더십, 혁신성, 계획성의 요소를 강조하는 창업 교육이 필요하며 잠재적인 창업자의 선택 기준을 설정함에 있어서도 중요한 개인적 특질로 위의 세 요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오디 시설재배 조기 확산을 위한 수용요인분석 (An Analysis Acceptance Factors for the Early Diffusion of Mulberry Protected Cultivation)

  • 김웅;이기권;유영석;최돈우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2호
    • /
    • pp.29-56
    • /
    • 2014
  • 본 연구는 오디 시설재배기술이라는 신기술을 수용하지 않은 농가 200명을 대상으로 혁신확산이론과 기술수용이론을 결합한 연구모델을 통해 각각의 요인들이 신기술 수용 및 확산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유용성, 용이성, 위험성이라는 내생변수를 통해 신기술 수용 및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채택된 지표중에서 인지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혁신성과 인지된 위험성 변수의 교육지원 품질, 기술지원 품질과 자금지원정도 지표는 부(-)의 영향을 미치고 나머지 지표들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오디 시설재배의 조기확산을 위해서는 먼저 기술보급 담당자의 전문성과 기술수준을 높이고, 신기술 수용농가와 더불어 애로사항 발생에 따른 해결을 위한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다음은 오디재배 농가들은 시설재배기술이 쉽지만 시설투자에 대한 부담 때문에 유용성에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므로 시설투자비에 대한 개인별 맞춤형 자금보조가 필요하다. 끝으로 기술수용에 부정적인 농가들을 대상으로 재배기술교육과 신기술 수용현장견학과 경영성과에 대한 홍보를 지속적으로 실시하면 빠른 시일 내에 보급이 가능할 것이다.

인터넷 구매결정과정에서의 관여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in the Internet Purchase Decision Process)

  • 곽기영;지소영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8권2호
    • /
    • pp.15-40
    • /
    • 2008
  • With the explosive growth of the Internet, Internet shopping malls have become recognized as one of the major purchasing channels for consumers, as well as one of the competitive distribution channels for companies that allow them to contact with customers without intermediaries. It has motivated information systems(IS) researcher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behavior and the purchase decision process in the context of Internet shopping malls. Despite the extensive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on the purchase decision process of consumers in online shopping malls, the results have demonstrated a need for further understanding of consumer behavior due to the unique features of virtual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onsumers. Previous studies from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domains have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involve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consumers' purchase behavior. Despite the critical role of involvement and the explosive growth of e-commerce, little research has examined the role of involvement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context. With this motivation, this study has two research objectives. First, it introduces and tests an theoretical model capable of better explaining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context. The proposed model extends and integrates existing models on purchase intention by incorporating purchase experience, innovativeness, and perceived self-control as the consumer factors, along with perceived risk, information provision, and perceived price as the Internet shopping mall factors. Second, this study examines how involvement differences may affect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For this purpose, two factors from involvement theory, involvement type and involvement level, are introduced into the research model as moderating variables. In order to test the proposed model, the overall approach employed was a field stud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developed our data collection instrument by adopting existing validated questions wherever possible. All question items were measured with a seven-point, Likert-type scale, with anchors ranging from 'strongly disagree' to 'strongly agree.' Two IS researchers reviewed the instrument and checked its face validity. We collected empirical data for this study over a period of two weeks from subjects who had purchase experiences through Internet shopping malls. A total of 473 complete and valid responses were obtained. We carried out data analysis using a two-step methodology with AMOS 4.0. The first step in the data analysis was to establish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constructs. In the second step, we examined the structural model based on the cleansed measurement model. The empirical results partly support the proposed model and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differenc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its limitations.

블록체인 기반 금융 플랫폼 특성과 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lockchain-Based Financial Platform and the Intention to Use)

  • 이상호;조광문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81-9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금융 플랫폼의 이용자 특성과 기술적 특성이 금융 소비자의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영향 관계에서 상대적 이점과 인지된 위험이 사용 의도에 어떠한 인과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2021년 6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블록체인 기술이 접목된 금융 플랫폼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를 표본으로 비대면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87부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값의 유의 수준은 95% 미만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 특성에서 혁신성과 유용성이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적 특성에서 적합성과 신뢰성이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자 특성과 사용 의도의 관계에서 상대적 이점과 인지된 위험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술적 특성과 사용 의도의 관계에서 상대적 이점과 인지된 위험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증서 사용 경험에 따라 이용자 특성의 편재성, 기술적 특성의 적합성, 사용 의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금융 플랫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