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1초

폐암의 조기 암검진 여부에 미치는 요인: 폐암 검진 사업대상자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Early Cancer Screening for Lung Cancer: Focusing on Lung Cancer Screening Subjects)

  • 김석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3-65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ancer screening among subjects in the lung cancer screening cycle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cancer screening of subjects in the lung cancer screening cycle. Methods: This study used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7th Year (2017)' surveyed nationwide as the main data. The subjects are lung cancer screening projects, the dependent variable is early cancer screen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gender, age, marital status, household income level, education level, national health insurance type, private health insurance,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general health examination, smoking status, drinking status, moderate intensity physical activity, stress perception rate, and weight control efforts were determin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actors affecting early cancer screening of lung cancer screening subjects were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national health insurance, smoking status, drinking status, moderate physical activity, and weight. Irrespective of the control effort, it was found that the private medical insurance,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 the medical examination, and the stress perception rate were affected. Conclusion: If the lung cancer screening subjec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arly cancer screening themselves and create a social environment to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rate, lung cancer screen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ill help them to live a healthy life.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비교 분석 (Influence of Teachers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 Analysis by Comparing Public and Private Child Care Centers)

  • 이점자;김형모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1-120
    • /
    • 2012
  • 본 연구는 보육현장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보육교사들이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데 변화의 잠재력을 보여주고 이들을 발전시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영유아와 학부모에게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의 개인적 특성과 효능감을 비교하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실천과제를 논의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린이집 소재지는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 모두의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공통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은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들과는 달리 가정연계 및 긍정적 학습환경 조성효능감에서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있어 의사결정참여 효능감이 공통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분석 (Investigation of middle-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 김주후;남궁지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153-16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층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중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분석하는 데 있었다. 학생 개인 및 학교수준의 변량을 고려함으로써 중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은 개인 및 학교의 특성 관점에서 설명되었다. 다층모형 분석을 위해 학생수준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 기회 제공, 개별학생 특성에 대한 배려, 교과 외 활동 참여도, 그리고 사교육 참여정도가 활용되었다. 학교 수준에서는 생활보호대상자 수, 7차 교육과정 운영상의 어려움, 그리고 학부모 지원의 적극성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전체 변량의 95% 이상이 학생 수준에서 설명됨이 밝혀졌으나 학생 수준의 변인 중에서 사교육 참여정도는 유의미한 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다층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중다회귀분석도 실시하여 사교육 참여 정도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사이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시도하였다.

  • PDF

자산유동화증권 도입을 통한 BTL 민간투자사업에서의 재원 조달 다양화 방안 연구 (A Study on Diversification of Financing Method for BTL Private Participation in Infrastructure by Introduction of ABS)

  • 박영민;김수용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78-38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활성화 되고 있는 BTL 사업의 재원조달 방법을 다양화함과 동시에 중소건설사의 민간투자사업 참여활성화를 위하여 자산유동화증권 제도의 도입을 검토하고 도입에 따른 효과와 장단점 등을 사례에 대한 민감도분석 등을 통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가지 형태의 ABS 도입 구조를 제안하고 절차를 제시하였으며 도입에 따른 효과 분석을 위하여 학교시설 신축 사업을 대상으로 조달금리 변화에 따른 사업자의 수익률 변화와 정부의 정부지급금 변화를 분석함으로서 도입의 효과를 계량화 하고자하였으며 ABS 제도의 도입에 필요한 향후 개선 과제를 제시하였다.

  • PDF

65세 이상 노인의 국가건강검진 수검 여부에 미치는 요인: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9~2021년) 자료를 이용하여 (Factors Influencing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in Seniors over 65 years old: Using the eight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II 2019~2021))

  • 김석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60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national health checkup rate of the elderly, analyze the impact of these factors, and discuss countermeasures to problems that may arise based on thi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8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2021)', a nationwide survey, as the main data.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seniors aged 65 years or older, the dependent variable is whether or not they underwent a national health checkup,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gender, marital status, residenc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economic activity, type of medical coverage, private insurance subscription, subjective health,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depression, stress, and weight change were selected. The statistical analysis package for data analysis is SPSS ver. 27.0 was used, and a p value of less than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Of the 2,806 seniors aged 65 years or older, 2,074 (73.9%) took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over the past two years. In terms of marital status, married was 1.451 times higher than single (p<0.001), and in terms of residence, myeon was 1.240 times higher than dong (p<0.01). In terms of education level, college graduates were 2.053 times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graduates (p<0.001), and in terms of economic activity, the employed were 1.325 times higher than the unemployed (p<0.01). Private insurance was 1.883 times higher than non-subscription (p<0.001), weight change was 1.234 times higher for change than no change (p<0.05), and current smoking rate was 2.003 times higher for non-smokers than for former smokers. It was high (p<0.001). Conclusion: In conclusion, if differentiated promotion and health education are strengthened for the elderly who cannot participate in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elderly in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is expected to increase.

대학생집단의 도시 공원녹지에 대한 의식에 관한 연구 -대구시 달성공원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Values for Urban Green Space in terms of University Students -The Case of Talsong Park in Taegu-)

  • 김수봉;김정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883-888
    • /
    • 1998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basic guidelines for the urban park development policy in Taegu. This research is mainly based on university students' essay on <private inquiry of urban park in Taegu>. Talsong Park, the most popular site for the students' essay, was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focused on the general images of the park, negative images of the park and aspirations and demands for the park in relation with Talsong Park redevelopment policy. The research of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renovation of Talsong Park from zoo-oriented park to the historic & cultural park status. The other main suggestion was consideration of public participation from the planning stage for the betterment of park management.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local people was stressed in order to enhance public awareness of environment for the solution of our common environmental problems in relation with Local Agenda 21.

  • PDF

시큐리티요원의 여가유형에 따른 여가제약과 참가의 관계 (Relation between Leisure Constraints and Participation by Leisure Types of Security Agent)

  • 김경식;김찬선;박영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826-83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시큐리티요원들의 여가유형에 따른 여가제약과 참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09년 서울소재 14개소 민간경비회사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총 387명이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이 .673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 집단에서 개인적, 시간적 제약이 높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26-30세 집단에서 시간적 제약, 36세 이상의 집단에서 주변 의식적 제약이 높다. 학력에 따라서는 고졸 이하 집단에서 주변 의식적, 대인적 제약, 전문대졸 집단에서는 구조적 제약이 높으며, 월수입에 따라서는 100만원 미만의 집단에서 주변 의식적, 구조적, 개인적, 대인적 제약이 높다. 직위에 따라서는 팀장급에서 주변 의식적, 구조적, 개인적, 시간적 제약이 높으며, 근무형태에 따라서는 신변보호원 집단이 개인적 제약, 기계경비원 집단에서는 주변 의식적, 구조적, 시간적 제약, 그리고 기타 사무직에서 대인적 제약이 높다. 둘째, 취미 교양 활동의 경우 시간적 제약이 많을수록 참가빈도, 구조적 제약이 많을수록 참가기간, 개인적 제약이 많을 수록 참가강도는 감소한다. 반면, 시간적 제약이 많음에도 참가강도는 증가한다. 놀이 오락 활동의 경우 주변 의식적 제약이 많음에도 참가빈도 및 기간, 개인적 제약이 많음에도 참가기간이 증가한 반면, 구조적 제약이 많을수록 참가빈도 및 기간은 감소한다. 관람 감상 활동의 경우 대인적 제약이 많음에도 참가빈도 및 기간, 시간적 제약이 많음에도 참가기간은 증가한 반면, 구조적 제약이 많을수록 참가빈도 및 기간은 감소한다.

초등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학교에서의 수학 교육 및 사회적 환경을 중심으로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nd Social Environment)

  • 권점례;권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3호
    • /
    • pp.199-217
    • /
    • 2023
  • 수학 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나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나 흥미는 크게 변화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따른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학교에서의 수학 교육 요인과 사회적 환경 요인으로 구분하여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59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들은 학업성취도와 관계없이 자신의 정의적 특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교에서의 수학 수업'을 꼽았다. 그 외에 상 수준의 학생은 '수학 사교육'과 '대학 입시와 직업', 중 수준의 학생은 '학교에서의 평가'와 '수학 사교육', 하 수준의 학생은 '학교에서의 평가'와 '수학 교과서' 순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학업성취도가 낮아질수록 학생들의 수학 수업 참여도가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그 이유로 가장 많은 학생들이 배우는 수학 내용이 너무 어려워서라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정의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교에서의 수학 수업'에서의 변화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따라 정의적 특성의 향상 방안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한국 영재교육의 위기 현상 진단과 해결 방안 (Suggesting Some Conceptual and Practical Improvements Coping to Moribund Symptoms of Contemporary Korean Gifted Education)

  • 최호성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493-514
    • /
    • 2016
  • 한국에서 영재교육 진흥법이 제정된 이래, 지난 15년 이상 동안 한국의 영재교육은 양적으로 급속한 성장을 지속해 왔다. 영재학급이나 영재교육원이 증가하는가 하면, 영재교육 지도교사의 연수나 교육 참여 활동도 늘어났다. 그렇지만, 2014년 이후 영재교육은 다소 위축되는 양상이다. 한국 사회의 사교육 논쟁과 무상복지 확대로 인하여 영재교육에 대한 행 재정적 지원이 축소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역대 정부에서 추진한 영재교육 정책을 개관함으로써, 정부의 정치적 노선과 영재교육 지원 노력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최근 한국사회에서 영재교육이 위축되고 있는 현상을 중앙 및 지방정부의 영재교육에 대한 행 재정적 지원의 약화로 인한 양적 성장의 저하, 사교육 억제와 관련한 규제, 영재교육 접근 기회의 사회적 불평등성, 영재교육 학문공동체의 연대성 미흡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영재교육 현상 분석을 토대로, 향후 한국의 영재교육이 지향해야 할 이념적, 실천적 측면의 몇 가지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념적 차원에서는 영재 혹은 영재성의 개념, 지능의 개념, 영재교육의 정당성에 대한 인식 등 영재교육에 대한 우리 사회의 편협적, 고착적인 관점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점을 역설하였다. 한편, 실천적 차원에서는 영재교육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실증자료의 수집, 영재교육 법령의 개정, 영재 판별과 함께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최적화, 영재교육 서비스 체제의 다원화, 영재교육과 관련하여 새로운 연구 주제의 적극 발굴 등을 제안하였다.

북한이탈주민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에의 영향요인 (The Factor Influencing to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on Policies of the Criminal Victimiz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 임창호;김윤영
    • 시큐리티연구
    • /
    • 제51호
    • /
    • pp.223-24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들의 범죄피해 실태를 분석하고, 북한이탈주민 지원제도 및 보호제도들 중에서 어떤 제도가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전국 17개 지방경찰청의 신변보호 경찰관 107명이며, 독립변수는 (1) 하나원 사회적응교육, (2) 보호담당관제도, (3) 법률적 지원제도, (4) 민간 참여제도, (5) 가정생활 안정지원, (6) 지역사회 참여활동이고, 종속변수는 북한이탈주민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이다.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북한이탈주민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보호담당관제도와 민간 참여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범죄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거주지 편입 후에 받게 되는 3가지 종류의 보호담당관제도가 제 역할을 다해야 한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인 지역사회 조기 정착을 위해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만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 따라서, 시민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북한이탈주민 지원 및 보호 프로그램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적응교육 과정에서 법률교육 시간을 대폭 확대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이 법률지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범죄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북한이탈주민들이 각종 범죄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가정생활이 안정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