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al abus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2초

The Effects of Peer Attachment, Abuse, and Self - Esteem on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y

  • Kim, Hyung-hee;Choi, Chiwon;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173-179
    • /
    • 2020
  • 본 연구는 또래애착과 부모 학대가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조사, 초등학교 1학년 7차 연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총 1,937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SPSS 26.0과 AMOS 26.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또래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면서 휴대폰 의존도는 낮아졌으나, 학대가 심할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고 휴대폰 의존도는 높아졌다. 둘째, 또래애착과 학대가 휴대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긍정적인 성장·발달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싶다.

로지스틱회귀모형을 활용한 아동학대 가족의 연구 (Study of child abuse families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s)

  • 민대기;최미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5호
    • /
    • pp.1327-1336
    • /
    • 2016
  •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의 대부분은 가정 내에서 부모에 의해 발생하며 해가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다. 성장기에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대는 아동의 발달전반에 피해를 주며, 그 영향이 장기화되어 청소년기 부적응, 성인기 범죄로까지 이어지기 쉬우므로, 사회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맞벌이, 한 부모 가족 등 다양한 가족형태가 등장했으며, 취약한 경제구조속에서 가장들의 고용형태의 불안정은 가족들을 더욱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힘이 없는 아동은 무방비 상태로 부모로부터 신체적, 정신적 학대를 경험할 위험에 놓인다. 어려운 사회 경제적 환경 속에서 어떤 형태의 가정에서 아동학대가 많이 발생하는지에 대하여 회귀모형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부모교육과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이 부모의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태도, 부모역할 만족도 및 체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arent Education and Social Support Program on the Parental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 Parenting 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the Use of Corporal Punishment)

  • 윤혜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3권
    • /
    • pp.246-269
    • /
    • 2000
  •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from a prevention program for low-income mothers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13 aiming at the positive change on parental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 parenting 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the use of corporal punishment. The program duration was 8 weeks and consisted of two parts: parent education on understanding parent-child relationship, communication skill improvement, techniques of problem solving, non-punitive child rearing techniques; and the recognition and use of existing social support network including networking of the neighborhood resources. The pre-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The results are: the program is effective on bringing some positive changes on an three variables: parental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 parenting 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the use of corporal punishment. Increase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bove variables except the attitudes toward corporal punishment. To decrease the risk factors as well as to increase the protective factors of child abuse, well designed parent education and social support program is recommended on every community level.

  • PDF

사회적 지지가 부모로부터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of the Children Who Were Abused by Their Parents)

  • 조은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7-2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social supports, such as family, teachers, and friends, affect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who were abused by their parents, and suggest the interventional solu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social support system and school adjustment. 692 children, aged 4 to 6 in primary schools in Busan, were chosen for the survey and all of them are currently under children's service. Among the respondents, 485 children (70.1%) have experienced abuse, and neglect was the most frequent abuse experienced among them. Neglected children were influenced by teachers, families and friends' support in terms of social support for school adjustments. However, the emotionally abused children were influenced by families, teachers and friends in terms of social support for school adjustments. In addition, children who experienced physical abuse have been influenced by families and teachers'support. Support from friends has no meaning for them. As a result, this paper suggests that an effective interventional solution will be necessary for the school adjustment of abused children. The effective interventional solutions are firstly that neglected children require a high level of attention from their teachers and teachers should encourage parents with parental education and counseling to be helpful for their children. Secondly, emotionally abused children require strong family support through parents'education for child development and caring support programs. Finally, physically abused children need caring programs which develop supportive relationship skills both with parents and teachers for their adjustment in school.

유아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이 언어적 학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Verbal abuse of Early Children Mother's)

  • 박동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368-4379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 어머니의 언어적 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 간에 경로를 설명하는 모형을 구축하고 검정함으로써 언어적 학대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1년 12월 7일부터 12월 25일까지 D시 소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유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20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최종모형의 적합도는 $x^2$통계량은 99.603(0.000), GFI는 .960, AGFI는 .905, CFI는 .912, IFI는 .913, NFI는 .899, SRMR는 .706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스트레스, 분노, 분노 표현은 언어적 학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언어적 학대 요인으로 확인된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분노를 긍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자살시도 청소년과 자살 비시도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비교분석 -짐이 되는 느낌과 좌절된 소속감의 직접효과와 매개효과- (Path Analysis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 Comparison of Adolescent Suicide Attempters and Non-attempters-)

  • 홍나미;정영순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40호
    • /
    • pp.255-283
    • /
    • 2012
  • 본 연구는 자살시도 청소년과 자살 비시도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비교분석하였다. 복수모집단 동시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이 두 집단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었으나 경로계수는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부모학대와 또래 괴롭힘은 자살 비시도 청소년의 자살생각에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짐이 되는 느낌과 절망감의 직접적 영향력은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하였으나 좌절된 소속감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를 보면, 두 집단 모두 또래 괴롭힘이 짐이 되는 느낌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간접적인 영향을 상당히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자살 비시도 집단의 자살생각에만, 부모학대는 짐이 되는 느낌을 매개로, 짐이 되는 느낌과 좌절된 소속감은 절망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살시도 청소년과 비시도 청소년의 자살생각 예방 및 완화를 위해서는 집단 별로 차별화된 대책이 마련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해주는 것이다.

청소년의 우울이 인터넷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부모양육방식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Adolescents' Internet Over-Dependency: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yle)

  • 김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676-684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우울과 인터넷과의존, 부모양육방식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청소년 우울과 인터넷과의 존 간의 작용하는 부모양육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3차 한국복지패널(KWPS)데이터를 활용하여 청소년 37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WIN v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양육태도 중 부모참여는 우울과 인터넷과의존에서 부적인 매개효과를 가졌고, 부모양육태도 중 지도감독의 경우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 중 아동학대는 우울과 인터넷과의존에서 정적인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부모참여를 향상시키고 아동학대를 줄일 수 있는 실천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지역아동센터 저소득층 아동의 차별피해 영향요인 분석 (Factors Affecting the Discrimination Damage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 우정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73-584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중에서 저소득층 아동의 차별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조사의 대상은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2기 3차의 응답자인 초등학교 6학년생이며, 이중에서 가정경제 수준이 기초생활수급대상, 차상위, 사각지대에 해당하는 아동 355명이다. SPSS Statistics 25.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한부모 가정, 부모 의논상대 존재 여부, 부모의 학대, 행복감이 지역아동센터 저소득층 아동의 차별피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부모 가정일수록, 부모가 의논상대 역할을 하지 못할수록, 부모 양육태도가 학대의 경향일수록 아동의 차별피해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부모 관련 요인들이 저소득층 아동의 차별피해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지역아동센터 및 관련 기관들은 이용 아동의 가족관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고등학생의 진로 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정적 정서에 따른 소비자 유형화 분석 (Career Identity of High School Students: Exploring Differences by Negative Emotions of Consumer Typology)

  • 김효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76-489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총 2,010명의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부정적 정서를 기반으로 집단을 유형화하고, 집단별로 진로 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 정서에 따라 청소년 집단을 유형화한 결과, '정서 불안정형', '정서 안정형' 집단으로 유형화 되었다. 둘째, '정서 불안정형' 집단이 '정서 안정형' 집단보다 자아 인식, 삶의 만족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 과잉 기대, 부모 학대, 그리고 또래 소외 항목에서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 불안정형' 집단의 경우 부모 감독, 부모 과잉 기대, 또래 소통, 또래 신뢰, 그리고 교사 애착이 진로 정체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정서 안정형' 집단의 경우 부모 감독, 또래 소통, 교사 애착이 진로 정체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부모 학대가 진로 정체감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lcohol Problems and Alcohol Use among Adolescent Females in Republic of Korea

  • Shin, Dong-Eok;Delva, Jorg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7권3호
    • /
    • pp.232-237
    • /
    • 2004
  • Objectives : The study was designed to test if alcohol use and alcohol-related problems among adolescent females are related to their parents' level of alcohol problems. Methods : In 2001, a stratified sample of 2077 adolescent females, grades 10-11, from twelve female-only high schools located in a large metropolitan city in the Republic of Korea completed a questionnaire about alcohol use, parental attention, and parental alcohol consumption, and other risk and protective factors. Data were analyzed with chi-square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 Nearly 63% of the student drinkers had experienced at least one to two alcohol-related problems in their lives. Two-thirds of all 2077 students indicated that at least one of their parents had an alcohol-related problem and that approximately 29% had experienced several problems. Results of random effects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uggest a dos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nd youth alcohol-related problems. Youth who report having parents with some and many alcohol problems were 30% (Odds Ratios [OR] = 1.30; 95% Confidence Interval [CI] = 1.10 - 1.53) and 55% (OR = 1.55; 95%CI = 1.23 - 1.95) more likely to experience alcohol-related problems than youth whose parents do not have alcohol problems, respectively, after statistically adjusting for important covariates. Conclusions : This study presents evidence that alcohol-related problems among adolescent female students is highly prevalent. Also, the study findings reveal a high percentage of parents with alcohol problems, as reported by students. This study presents evidence of what might be a hidden problem among adults and youths in the Republic of Korea that merits serious at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