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PS

검색결과 398건 처리시간 0.034초

NSCR_PPS 소자에서 채널차단 이온주입 변화에 따른 최적의 정전기보호소자 설계 (Optimal Design of ESD Protection Device with different Channel Blocking Ion Implantation in the NSCR_PPS Device)

  • 서용진;양준원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1-26
    • /
    • 2016
  • PPS 소자가 삽입된 N형 실리콘 제어 정류기(NSCR_PPS) 소자에서 채널차단영역의 이온주입 변화가 정전기 보호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종래의 NSCR 표준소자는 on 저항, 스냅백 홀딩 전압 및 열적 브레이크다운 전압이 너무 낮아 마이크로칩의 정전기보호소자로 적용이 어려웠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채널 차단 영역의 이온주입 조건을 변화시켜 각각 변형설계된 소자에서는 채널 차단 이온주입이 정전기 보호성능의 향상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파라미터였으며, CPS_PDr+HNF 구조의 변형소자는 정전기보호소자의 설계창을 만족시키는 향상된 정전기보호성능을 나타내어 고전압 동작용 마이크로 칩의 정전기보호 소자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CMP용 리테이닝 링의 재질이 웨이퍼의 연마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MP Retaining Ring Material on the Performance of Wafer Polishing)

  • 박기원;김은영;박동삼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2-28
    • /
    • 2020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retaining ring materials, particularly PPS and PEEK, used in the CMP process, on wafer polishing and ring wear. CMP can be performed using bonded type retaining rings made with PPS or injection molding type retaining rings made with PEEK. In this study, after polishing a wafer with a PPS retaining ring, the average profile height of the wafer was 0.098 ㎛ less than that of the wafer polished with a PEEK retaining ring, implying that PPS retaining rings achieve a higher polishing rate. In addition, the center area of the wafer profile had less deviation and improved flatness after polishing with the PPS r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higher polishing rate and smaller profile height deviation can be achieved using retaining rings made with PPS compared to retaining rings made with PEEK. Therefore, with semiconductor circuit patterns becoming finer and wafer sizes becoming larger, the use of PPS in CMP retaining rings can obtain more stable wafer polishing results compared to that of PEEK.

PPS/ABS 블렌드의 동력학적/기계적 특성 (Dynamic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PS/ABS Blends)

  • 이영관;김준명;이미영;남재도;박연흠;박찬석
    • 폴리머
    • /
    • 제26권1호
    • /
    • pp.139-14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PPS와 ABS의 물성을 상호보완하며, 두 성분간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응압출법을 이용하여 maleic anhydride(MAH)를 ABS에 치환시켜 MABS를 제조하였으며, ABS의 화학적 개질이 블렌드의 기계적 및 동력학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동력학적 특성 분석을 통하여서는 PPS/MABS 블렌드가 거의 전조성 영역에서 단일 유리전이온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블렌드의 기계적 성질은, 상용화제를 포함하고 있는 블렌드가 더욱 강한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 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용화제의 도입으로 인해 분산상과 매트릭스 사이의 계면장력이 낮아져 분산상의 크기가 작아지며 계면간의 상호작용이 증진되어 물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Probing of Potential Luminous Bacteria in Bay of Bengal and Its Enzyme Characterization

  • Balan, Senthil S.;Raffi, S.M.;Jayalakshmi, S.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6호
    • /
    • pp.811-817
    • /
    • 2013
  • The present study dealt with the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enzyme characterization of potential luminous bacteria from water, sediment, squid, and cuttle fish samples of the Karaikal coast, Bay of Bengal, India during the study period September 2007 - August 2008. Bioluminescent strains were screened in SWC agar and identified using biochemical tests. As Shewanella henadai was found to be the most common and abundant species with maximum light emission [69,702,240 photons per second (pps)], the optimum ranges of various physicochemical parameters that enhance the luciferase activity in Shewanella hanedai were worked out. The maximum luciferase activity was observed at the temperature of $25^{\circ}C$ (69,674,387 pps), pH of 8.0 (70,523,671 pps), salinity of 20 ppt (71,674,387 pps), incubation period of 16 h (69,895,714 pps), 4% peptone (70,895,152 pps) as nitrogen source, 0.9% glycerol (71,625,196 pps), and the ionic supplements of 0.3% $CaCO_3$ (73,991,591 pps), 0.3% $K_2HPO_4$ (73,919,915 pps), and 0.2% $MgSO_4$ (72,161,155 pps). Shewanella hanedai was cultured at optimum ranges for luciferase enzyme characterization. From the centrifuged supernatant, the proteins were precipitated with 60% ammonium sulfate, dialyzed, and purified using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and then luciferase was eluted with 500 mM phosphate of pH 7.0. The purified luciferase enzyme was subjected to SDS-PAGE and the molecular mass was determined as 78 kDa.

A Concise Review of High Performance PPS Composites using Various Fillers

  • Ahn, Seonghyeon;Park, Chanil;Choi, Jae-Hak;Kim, Yong Seok;Yoo, Youngjae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7권3호
    • /
    • pp.81-91
    • /
    • 2022
  • Composites based on engineering thermoplastics exhibit excellent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and simple processing and reprocessing attributes, and are widely used in the aerospace, three-dimensional (3D) printing, and automobile industries. Polyphenylene sulfide (PPS) is one of the most desirable engineering thermoplastics, owing to its superior thermal performance, inherent flame retardancy resulting from the presence of sulfur in its backbone structure, chemical resistance, and satisfactory electrical properties. However, pure PPS resin has limited applicability owing to its brittleness. 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 various filler materials are frequent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PS composites. In this review,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PPS composite materials using various fillers.

NSCR_PPS 소자에서 게이트와 N+ 확산층 간격의 변화가 정전기 보호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ESD Protection Performance on GPNS(Gate to Primary N+ diffusion Space) Variation in the NSCR_PPS Device)

  • 서용진;양준원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6-11
    • /
    • 2015
  • PPS 소자가 삽입된 N형 실리콘 제어 정류기(NSCR_PPS)소자에서 게이트와 $N^+$ 확산층 간격(Gate to Primary $N^+$ diffusion Space; GPNS)의 변화가 정전기 보호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FPW 구조와 CPS 이온주입을 행하지 않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NSCR 표준소자는 on 저항, 스냅백 홀딩 전압 및 열적 브레이크다운 전압이 너무 낮아 정전기 보호소자의 필요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해 마이크로칩의 정전기보호소자로 적용이 어려웠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PPW 구조와 CPS 이온주입을 동시에 적용하여 변형설계된 소자에서는 GPNS의 변화가 정전기 보호성능의 향상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파라미터였으며, 정전기보호소자의 설계창을 만족시키는 향상된 정전기보호성능을 나타내어 고전압 동작용 마이크로 칩의 정전기보호 소자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기능성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선형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의 개질 및 그 특성 (Modification of Linear Polyphenylene Sulfide with Functional Elastomers and Its Properties)

  • 김성기;홍인권;이상묵
    • 폴리머
    • /
    • 제37권3호
    • /
    • pp.399-404
    • /
    • 2013
  • 장기내열성과 파단신율이 우수한 블렌드 수지를 개발하고자 polyphenylene sulfide(PPS)에 7종류의 elastomer를 용융혼합하여 그 가능성을 조사해 보았다. PPS/elastomer(90/10, 80/20, 70/30) 블렌드를 제조한 후 시험편을 압축성형 또는 sheet를 제조하여 capillary rheometer, UTM, impact tester, SEM 등으로 유변학적 거동, 기계적 특성 및 모폴로지를 측정하였고 오븐에서 일주일간 열을 가한 후 다시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열을 가하기 전의 인장강도는 elastomer 종류에 관계없이 비슷하였고 파단신율은 m-EVA의 경우가 가장 큰 값을 보였다. Elastomer 첨가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신율이 증가하였는데 30 wt%정도 첨가 시 박리가 발생하였다. 오븐테스트 이후에는 인장 강도는 더 증가한 반면에 신율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상기의 elastomer들이 PPS와 부분적인 상용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바 소량의 elastomer 첨가 만으로도 PPS 가공과 관련된 여러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어 다양한 그레이드의 개발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uO nanoparticle 및 fiber 로 구성된 PPS 복합재료의 sliding 조건하의 transfer film 에관한 연구 (Study of transfer film in the sliding of nanoscale CuO-filled and fiber-reinforced polyphenylene sulfide (PPS) composites)

  • 조민행;;박혜영;김윤준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67-972
    • /
    • 2004
  • The role of transfer films formed during sliding of polymer composites against steel counterfaces was studied in terms of the tribological behaviors of composites. Four kinds of composit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1) unfilled PPS, (2) PPS+2%CuO, (3) PPS+2%CuO+5% carbon fiber (CF), and (4) PPS+2%CuO+15%Kevlar. The filler material CuO was in nanoscale particulate form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was in the form of short fibers. The composites were prepared by compression molding at $310^{\circ}C$ and sliding tests were run in the pin-on-disk sliding configuration. The counterface was made of tool steel hardened to 55-60 HRC and finished to a surface roughness of 0.09-0.10 ${\mu}m$ Ra. Wear tests were run for 6 hrs at the sliding speed of 1 m/s and contact pressure of 0.65 MPa. Transfer films formed on the counterfaces during sliding were investigated using AFM and SEM.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transfer film became smooth and uniform, wear rate decreased. PPS+2%CuO+15%Kevlar composite showed the lowest steady state wear rate in this study and its transfer film showed the smoothest and the most uniform characteristics. The examination of worn surfaces of PPS+2%CuO composite using X-ray area scanning (dot mapping) showed back-transfer of steel counterface material to the polymer pin surface. This behavior is believed to strengthen the polymer pin surface during sliding thereby contributing to the decrease in wear rate.

  • PDF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로 기능화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제조와 특성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phenylene sulfide)-Functionalized MWNTs)

  • 홍성연;김영호
    • 폴리머
    • /
    • 제38권6호
    • /
    • pp.791-800
    • /
    • 2014
  • Friedel-Crafts 직접 아실화 반응을 이용하여 $P_2O_5$/폴리인산 매질에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NT)와 4-클로로벤조산(CBA)을 반응시켜 클로로벤조일(CB)기가 도입된 MWNT(c-MWNT)를 제조하였다. 이때 반응시키는 CBA양을 조절하여 염소원자 함량이 최대 5.3 wt%(CB기 함량 20.86 wt%)인 c-MWNT를 얻었다. 한편, 열가소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PPS)와 MWNT의 계면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4-클로로벤젠티올(CBT)의 자기축합에 의한 PPS 중합시 c-MWNT를 함께 넣고 중합시킨 후 호모 PPS를 제거하여 MWNT-g-PPS를 얻었다. 이 MWNT-g-PPS의 열 및 표면 특성들을 분석하였으며, c-MWNT와 CBT가 반응하여 c-MWNT 표면에 PPS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상용화제의 종류가 선형 PPS/PET 블렌드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patibilizer Types on the Properties of Linear PPS/PET Blends)

  • 김성기;홍인권;이상묵
    • 폴리머
    • /
    • 제37권4호
    • /
    • pp.500-506
    • /
    • 2013
  • 비혼화성인 선형의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와 상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블렌드 물성에 미치는 상용화제의 구조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머독 혼련 스크류가 장착된 단축 압출기를 통하여 제조한 블렌드를 성형하여 그 특성들을 살펴보았다. 물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PPS/PET(40/60)을 기초 블렌드로 선정한 후 여기에 도메인 크기감소와 계면접착력 향상을 위하여 상용화제로 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SEBS), modified SEBS(m-SEBS), modified polystyrene(m-PS) 등을 사용하였다. 이들을 기초블렌드에 첨가하여 삼원블렌드를 제조한 후 열적, 유변학적,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고 모폴로지를 관찰하였다. 기계적 물성은 각각 m-SEBS와 m-PS 첨가량 1 phr 부근에서 최대값을 보였는데 그 값이 이론적인 혼화성계의 값에 거의 근접하였으며 m-PS가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m-SEBS와 m-PS는 선형 PPS와/또는 PET와의 부분적인 반응을 통해 상용성을 증대시켜서 더 큰 효과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삼원블렌드는 경제성있는 PPS 알로이로서 적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