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BL학습

검색결과 401건 처리시간 0.021초

비SW전공자 대상 문제중심학습(PBL) 기반의 EPL 활용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PL Utilizing Programming Education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 (PBL) for Non-SW Major)

  • 고광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05-111
    • /
    • 2019
  • 문제중심학습(PBL)은 학습자가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동기의 내재화 등의 교육효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대학 교육에서 PBL에 대한 연구와 적용 사례 발굴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비SW전공 학생 대상 프로그래밍 교육에 있어서 PBL을 적용할 때 학업 성취도와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비SW전공 학생임을 고려하여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EPL) 중에 하나인 스크래치를 활용하였고, 수업을 PBL 적용 반과 비적용 반으로 나누어 수업 종료 후, 두 반의 시험 성적과 교육 효과성 및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PBL 적용 반 학생들이 비적용 반 학생들에 비해 알고리즘 구현 능력을 묻는 시험 항목, 자기주도적 학습, 문제해결능력, 지속적인 학습동기 부여 항목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고 대부분의 컴퓨팅 사고력의 인지력과 활용 능력 설문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PBL을 활용한 <문화와 철학의 이해> 수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class of Using PBL)

  • 박해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435-440
    • /
    • 2021
  • 본 연구는 2020-2학기 00_대학교 <문화와 철학의 이해>라는 균형교양교과목에서 실시한 PBL(문제중심학습) 수업 사례를 통해 그 학습의 효과를 고찰한 것이다. 학습을 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BL(문제중심학습)은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충분히 이루어진다. 비대면 학습이 장기화되고 있는 실정에서 PBL교수법은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의 충분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둘째, PBL학습은 교과목 특성에 맞는 다양한 문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역할 분담과 협업의 과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문제 상황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확장할 수 있다. 본 수업 사례에서 확인한 한계점은 첫째, <문화와 철학의 이해>라는 교과목의 특성상 세계문화 현상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가능하지만, 철학이라는 관점에서 논의가 되어야 한다. 철학적 부분을 분히 검토하여 적절하게 적용해야 한다. 둘째, 비대면 온라인에서 팀 작업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오프라인 수업에서 팀을 이루어 학생들이 논의의 과정을 거친다면 훨씬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웹 기반 PBL에서 블로그 활용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Using Blog in Web based PBL)

  • 최봉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85-39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웹 기반 PBL에서 블로그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블로그는 웹 기반 PBL에서의 개인별 자기 주도적 학습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질문지와 면담, 성찰 노트 분석을 통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39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8주간 커뮤니티를 이용한 웹 기반 PBL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이후 8주간의 기간은 블로그를 추가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웹 기반 PBL에서 학습자들은 심리적, 기능적 측면에서 블로그 활용에 대하여 유용성을 인식하였으며, 블로그가 성찰적 학습 활동을 촉진하고, 학습자들을 동기화하는 데 기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문제중심학습(PBL)의 실행에 관한 수학교사의 인식 조사 : 카드 활용 면담을 이용한 분류체계 및 성분 분석을 중심으로 (On Mathematics Teachers' Recognition about Problem-Based Learning(PBL) Implementation : Taxonomic Analysis & Componential Analysis by using cards)

  • 허난;하영화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43-161
    • /
    • 2011
  • 수학교과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은 학습자가 수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 중에 수학적 개념과 원리를 알게 되고 수학적 사고 능력을 시켜줄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으로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에 비해 실제 적용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BL의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하여 수학교사들이 실제적으로 느끼는 어려움과 요구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2명의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카드활용 심층면담을 이용한 분류체계 분석과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공적인 PBL 적용을 위해서는 수학과 PBL 문제 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의 안내와 수학교과에 적합한 PBL 학습 과정 안내 등의 구체적인 실행 방법에 대한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IMS Learning Design 기반 e-PBL 프로토타입 개발 (Development of e-PBL Prototype with IMS Learning Design)

  • 임철일;홍성연;김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98-508
    • /
    • 2012
  • 효과적인 e-PBL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학습내용 중심이 아닌 학습활동 중심의 이러닝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IMS Learning Design(IMS LD) 기반 e-PBL 프로토타입을 개발함으로써 학습활동 중심의 이러닝의 구현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IMS LD 기반 e-PBL 프로토타입은 일반적인 이러닝 프로 그램과 비교하여 학습내용과 학습활동을 통합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적극적인 학습활동 참여를 유도하고, 학습자의 수준이나 학습자의 역할에 따라 서로 다른 학습내용 및 학습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적응적인 이러닝 구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활동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학습공지 등을 미리 설계하여 과정 운영상 발생하는 교수자의 부담을 경감하였다. 인터페이스 및 학습절차 구성에서 확인된 몇 가지 점들이 개선되는 것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효과적인 이러닝 설계를 위한 대안적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인식과 수업 진행 방식에 대한 탐색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their Application Methods of Problem-based Learning)

  • 윤회정;우애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21-635
    • /
    • 2010
  •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을 적용한 수업이 인지적 정의적 영역을 포함한 다양한 측면에서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중고등학교에서는 PBL의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PBL에 대한 인식과 PBL 수업 진행 방식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PBL을 효과적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중 고등학교 교사 9인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은 전사 후, Nvivo 2.0을 이용하여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PBL의 학습 효과, 학생들의 수업 수행 능력과 학생들의 PBL 수업 만족도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PBL 수업 경험이 없는 교사들도 PBL이 자기주도학습, 협동학습, 문제 해결능력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문제 개발에 대한 부담, 학생지도에 요구되는 시간, 학생들의 토론 능력 부족, 수업 시간의 부족, 입시 등이 PBL 적용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PBL 수업 경험이 없는 교사들은 이 외에도 학생들의 수업 수행 능력, PBL의 학습 효과에 대한 불안감을 나타냈다. 이는 PBL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들에게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PBL 수업 경험에 따라 교사들의 PBL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BL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수업 방식을 통해 PBL을 효과적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해보고, 교사들이 인식하는 PBL에 대한 부정적인 요인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것을 알아보았다.

몽골 대학에서의 PBL 수업 평가 개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Development of PBL in a Mongolian University)

  • 바야르마;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322-32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구글 클래스룸(GC)을 기반으로 문제중심학습(PBL)의 평가를 조사하는 것입니다. GC는 쉽고 자유로운 온라인 학습으로 최근 교육과 훈련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학생들은 아이디어와 자원을 공유하고, 도메인 전체에 걸쳐 지식을 적극적으로 전달하고 PBL의 주어진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연구하면서 점점 더 자기 주도적인 학습에 독립적이 된다. 학생들은 과제 페이지에서 제출일을 확인하고 클릭 한 번으로 과제를 시작할 수 있고 선생님은 과제 완료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며 GC에서 점수를 바로 매길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GC를 기반으로 한 PBL의 평가를 설계하였다. 학생들은 주어진 자료를 읽고 과목의 목적을 파악하여 학습 문제를 조사한다. 그 후에 그들은 주제를 토론하고 보고서를 작성하여 연구 논문, 책, 인터넷 자료를 가지고 그것들을 공부한다. 연구 결과는 GC에 기반을 둔 PBL이 함께 학습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 주었다. 학생들은 PBL학습 환경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 연구는 GC에서 PBL평가의 개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패션 이론 교과목의 개선을 위한 PBL 적용 사례 및 교육적 효과 (Learning Effect and Application Case of PBL for Improvement of Fashion Theory Course)

  • 김장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510-521
    • /
    • 2020
  • 최근 대학에서는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적 혁신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패션학과의 이론 교과목인 <의상과 심리>에 PBL 교수법을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PBL 교수법과 의상과 심리에 관련된 이론적 연구와 PBL이 반영된 의상과 심리의 과정을 안내하기 위한 모형개발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PBL 학습법을 적용한 <의상과 심리>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는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었으며, 전반적으로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역량, 자기주도 학습 역량 및 협동 학습 역량을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제해결 역량은 다른 요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PBL 학습법이 학습자들의 문제 해결 역량을 증진시키고자하는 PBL 학습법의 목표에 부합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PBL 학습법의 교육적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요인들의 관계성을 인지할 수 있는 상관관계분석을 분석해본 결과, 전체적으로 요인들이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문제 해결 역량 및 자기 주도적 학습 역량이 협동 학습 역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함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학습자 개개인이 함양하고 있는 역량들이 하나로 조합될 시,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음을 반증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문제중심학습(PBL)과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about Problem-based Lear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 Solving Skills, Academic Self-efficacy,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 강승주;김은주;신해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3-41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를 통해 확인하고자 시도된 융합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도 J시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학과 2학년 학생 51명이었으며, 연구설계는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의 원시실험연구이다. 연구결과 PBL수업 후 문제해결능력(t=-3.30, p=.002)과 학습동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t=3.004, p=.004)되었으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PBL이 간호대학생의 학습 역량을 향상시킴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PBL의 설계 시,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다양한 변수의 확인을 위한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예비교사를 위한 문제중심학습에 기반한 '소비자학' 수업 사례 (A Case Study on the 'Consumer Studies' Clas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for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 정주원;하오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01-11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 교수방법인 문제기반학습(PBL)을 '소비자학' 교과목에 적용하는 것이다. '소비자학'을 수강하는 대학생 27명을 대상으로 경제개념 특강안과 재무컨설팅을 제안하는 2가지 PBL 문제를 개발하고 총 7주간 PBL 수업을 진행하였다. PBL 효과는 학습자들이 작성한 성찰일지, 자기평가지, 수업만족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학습자는 문제해결 과정에서 소비자학 교과목의 학습목표를 달성했으며, 팀원과의 협업과 소통 방식을 습득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자기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졌으며,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는 학습과제이행, 적극적 상호작용, 자기주도적 학습수행 능력 등 PBL 수업에 임하는 스스로를 평균 4.68로 높이 평가했으며, PBL 수업에 대한 수업만족도도 평균 4.7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교수자 및 예비교원에게 PBL 수업에 대한 유용한 정보로 제공될 것이며, 학습자중심 PBL 수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