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their Application Methods of Problem-based Learning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인식과 수업 진행 방식에 대한 탐색

  • Received : 2010.03.31
  • Accepted : 2010.07.09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Problem-based Learning (PBL) has been known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dealing with various aspects of education such as the enhancement of students' motivation, interest in subjects, academic achievement, and cooperative abilities. However, PBL has not been widely implemented in secondary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and their way of applying it.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nine secondary school teachers. Five of them had experience in implementing PBL, while four of them had interest in using PBL but had not yet had the experience. Different concepts were extracted and categorized. Nvivo 2.0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hanges in student attitude toward class, improvement on cooperation with others,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and satisfaction from students' positive comments on PBL enabled teachers to become more enthusiastic and positive toward PBL. The stress of developing proper problems and the enormous amounts of time and efforts required in using PBL were shown as barriers for teachers in implementing PBL. However, some negative perspectives about PBL changed into positive after teachers experience PBL. By examining each teacher's way of implementing PBL, several teaching strategies suitable to their school systems were suggested.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을 적용한 수업이 인지적 정의적 영역을 포함한 다양한 측면에서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중고등학교에서는 PBL의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PBL에 대한 인식과 PBL 수업 진행 방식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PBL을 효과적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중 고등학교 교사 9인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은 전사 후, Nvivo 2.0을 이용하여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PBL의 학습 효과, 학생들의 수업 수행 능력과 학생들의 PBL 수업 만족도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PBL 수업 경험이 없는 교사들도 PBL이 자기주도학습, 협동학습, 문제 해결능력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문제 개발에 대한 부담, 학생지도에 요구되는 시간, 학생들의 토론 능력 부족, 수업 시간의 부족, 입시 등이 PBL 적용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PBL 수업 경험이 없는 교사들은 이 외에도 학생들의 수업 수행 능력, PBL의 학습 효과에 대한 불안감을 나타냈다. 이는 PBL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들에게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PBL 수업 경험에 따라 교사들의 PBL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BL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수업 방식을 통해 PBL을 효과적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해보고, 교사들이 인식하는 PBL에 대한 부정적인 요인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것을 알아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희, 정미경, 최운필 (2008). 웹 기반 문제중심 학습에서 메타인지, 몰입, 상호작용과 문제해결력의 관계. 교과교육학연구, 12(2), 293-315.
  2. 강숙희 (2008). 중학교 과학교과에서의 실시간 PBL 사이버 수업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1), 51-72.
  3. 강인애, 김선자 (1998). PBL에 의한 수업 설계와 적용: 초등사회과 수업사례. 교육공학연구, 14(3), 1-31.
  4. 강인애 (2002). 성인학습환경으로서의 PBL의 가능성. 간호학 탐구, 11(1), 26-54.
  5. 김경현, 정미경, 최운필 (2005). 웹 기반 문제중심 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9(1), 1-14.
  6. 서경선 (2002). 웹 활용 문제중심학습 모형의 실증적 효과. 교육방법연구, 14(2), 45-68.
  7. 윤회정 (2009). 문제중심학습(PBL) 전략의 개발과 적용 및 그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윤회정, 우애자 (2009). PBL과 온라인 토론을 적 용한 방과 후 실험수업의 효과. 열린교육연구, 17(4), 145-167.
  9. 이인경 (1997). 강의기반학습과 문제기반학습에 있어서의 학습 전략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13(2), 241-261.
  10. 이향연, 최경희 (2008).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2(3), 747-76.
  11. 장경원, 이지은 (2009).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1), 315-339.
  12. 조연순 (2006). PBL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3. 최영미 (2003).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PBL의 과학 수업 모델 고찰 및 적용.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최정임 (2007). 대학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연구: 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23(2), 35-65.
  15. 한신일, 김혜정, 이정연 (2004). 한국대학 상황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사례 비교연구-경영학, 경제학, 물리학 관련 과목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14(1), 23-53.
  16. 홍기칠, 김세찬 (2004).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구 교육대학교 논문집, 제 39집, 537-571.
  17. Barrows, H. S., & Myers, A. C. (1993). Problem-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Unpublished monograph. Springfield, IL, Problem-based Learning Institute. Lanphier high school and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Medical School.
  18. Barrows, H. S., & Tamblyn, R. M. (1980). Problem based learning: An approach to medical education.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 Barrows, H. S. (1996). Problem-based learning in medicine and beyond: A brief overview. In L. Wilkerson, & W. H. Gijselaers (Eds.), Bringing problem-based higher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No.8(5- 6). San Fransisco: Jossey-Bass.
  20. Bridges, E. M. (1992). Problem-based learning for administrators. Eugene, Oregon, ERIC Clearinghouse on Educational management.
  21. Charmaz, K. (2000). Grounded theory: Objectivist and constructivist methods. In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2. Delisle, R. (1997). How to us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Alexna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3. Gallagher, S. A., Stepien, W. J., & Rosenthal, H. (1992).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Gifted Child Quarterly, 36(4), 195-200. https://doi.org/10.1177/001698629203600405
  24. IMSA(1996). PBL Network: Collaborative Inquiry in Action. Retrieved May 20, 2009, from Illinois Mathematics and Science Academy Web site: http://pbln.imsa.edu/ model/template
  25. Kaufman, D. M., & Mann, K. V. (1996). Students'perceptions about their courses in problem-based learning and conventional curricula. Academic Medicine, 71(1), S52-S54. https://doi.org/10.1097/00001888-199601000-00042
  26. Margetson, D. (1991). Why is problem-based learning a challenge? In D. Boud & G. Felitti (Eds.), The challenge of problem-based learning. NY: St. Martin's Press.
  27. Sage, S. M. (1996). A qualitative examin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at the k-8 level: preliminary finding.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98 263)
  28. Shepherd, N. G. (1998). The probe method: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s affect on critical thinking skills of fourth and fifth grade social studies student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Section A: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59(3-A): 0779.
  29. Torp, L., & Sage, S. M. (2002). Problem as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 K-16 education (2nd Eds.),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0. Vernon, D. T. A., & Blake, R. L. (1993). Does problem-based learning work? A metaanalysis of evaluative research. Academic Medicine, 68(7), 550-563. https://doi.org/10.1097/00001888-199307000-00015
  31. Vernon, D. T. A., & Michael, C. H. (1996). Faculty attitudes and opinions about problembased learning. Academic Medicine, 71(11), 1233-1238. https://doi.org/10.1097/00001888-199611000-00020

Cited by

  1. The Differences Occurring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according to Creativity Style vol.18, pp.3, 2010, https://doi.org/10.24231/rici.2014.18.3.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