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xygen-plasma effect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7초

Catalase 첨가에 따른 돼지 정액 동결 및 융해 후 생존 정자에서 Hydrogen Peroxide의 감소 (The Reduction of Hydrogen Peroxide in Viable Boar Sperm Cryopreserved in the Presence of Catalase)

  • 김수희;이영준;강태운;김용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19
    • /
    • 2011
  • 요 약: 정액 동결 과정은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유발하며, 생성된 활성산소종은 정자의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결 과정 중 항산화 효소 중 하나인 catalase (CAT)를 첨가함으로써 융해 후 정자의 기능과 활성산소종의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5마리 돼지에서 채취한 정액은 0 (대조군), 200, 400 U/mL CAT가 첨가되어 있는 동결 희석액으로 각각 동결하였다. 융해 후, 정자 운동성, 생존성, 정상 형태율, 형질막 온전성, 미토콘드리아 기능, 세포내 ROS를 평가하였다. CAT는 400 U/mL의 농도에서 전체 정자 운동성을 향상시켰지만 (P < 0.05), 전진 운동성, 생존성, 기형율, 형질막 온전성,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향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활성산소종의 평가에서, CAT는 융해된 생존 정자의 ${\cdot}O_2$의 감소에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H_2O_2$를 감소시켰다(P < 0.05). 결론으로 CAT는 동결 및 융해된 정자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큰 효과를 나타내진 않았지만 생존 정자에서 $H_2O_2$을 제거함로써 생존정자의 산화적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Desalinated underground seawater of Jeju Island (Korea) improves lipid metabolism in mice fed diets containing high fat and increases antioxidant potential in t-BHP treated HepG2 cells

  • Noh, Jung-Ran;Gang, Gil-Tae;Kim, Yong-Hoon;Yang, Keum-Jin;Lee, Chul-Ho;Na, O-Su;Kim, Gi-Ju;Oh, Won-Keun;Lee, Young-D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1호
    • /
    • pp.3-10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salinated underground seawater (named as 'magma seawater', MSW) of Jeju Island in Korea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activity. MSW was collected from underground of Han-Dong in Jeju Island, and freely given to high fat diet (HFD)-fed C57BL/6 mice for 10 weeks.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ody weight changes and plasma lipid levels, hepatic triglyce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MSW group than in the normal tap water (TW)-drunken control group. Furthermore, the activity of fatty acid synthase (FA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CPT) activity was increased in MSW group compared to TW group. Similarly, real-time PCR analysis revealed that mRNA expressions of lipogenic genes were lowered in MSW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 morphometric observation on the liver tissue, accumulation of fats was remarkably reduced in MSW group. Meanwhile, in vitro assay, t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easured by using diphenylpicrylhydrazyl (DPPH) was increased in MSW group. The 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DCF-DA) staining followed with fluorescent microscopy showed a low intensity of fluorescence in MSW-treated HepG2 cells, compared to TW-treated HepG2 cells, which indicated that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by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in HepG2 cells was decreased by MSW treatment. The antioxidant effect of MSW on t-BHP-induced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s was supported by the increased activities of intracellular antioxidant enzymes such as catalase and glutathione reductase. From these results, we speculate that MSW has an inhibitory effect on lipogenesis in liver and might play a protective role against cell damage by t-BHP-induced oxidative stress.

나노임프린트 공정에서 실란커플링제 기상증착을 이용한 표면처리 효과 (The Surface Treatment Effect for Nanoimprint Lithography using Vapor Deposition of Silane Coupling Agent)

  • 이동일;김기돈;정준호;이응숙;최대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2호
    • /
    • pp.149-154
    • /
    • 2007
  • 나노임프린트 공정기술은 나노구조물이 패턴된 스템프(혹은 몰드)를 이용하여 적절한 기판 위에 나노구조물을 복제하여 패턴을 전사하는 기술이다. 효과적인 나노임프린트 공정을 위해서는 몰드의 이형처리뿐 아니라 반대쪽의 기질과 레지스트 사이에 접착력 증가(adhesion promoter) 처리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립 실란커플링제의 기상증착을 이용하여 나노임프린트 공정에서 사용되는 접착 증가막 및 표면처리 방법을 비교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서 평탄화층(DUV-30J), 산소 플라즈마 처리, 실란커플링제 자기조립막이 비교되었다. 실란커플링제 자기조립막이 형성된 실리콘 표면은 전체적으로 나노 두께의 균일한 막이 형성되며 임프린트시 구조물들을 정밀하게 전사하였으며 3-acryloxypropyl methyl dichlorosilane(APMDS)을 이용한 자기조립막(SAMs) 처리가 평탄화층과 산소 플라즈마 처리보다 강한 접착력을 가지고 있어 나노임프린트 공정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PDMS의 접촉각 및 외부전압 변화에 따른 마이크로채널에서 유체의 속도변화 (Effect of Contact Angles of PDMS and External Voltage on Flow Velocity in Microchannel)

  • 이효송;김진용;김정수;이영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1호
    • /
    • pp.92-9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음성 감광제를 이용하여 모형을 제작하고, PDMS(polydimethylsiloxane)로 본을 뜬 후에 유리와 접합시켜 마이크로채널을 제작하였다. 특히 PDMS의 접촉각 변화에 따른 마이크로채널에서 유체의 속도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PDMS의 표면을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표면처리된 PDMS의 접촉각은 $19^{\circ}$, $46^{\circ}$ 그리고 $69^{\circ}$였으며, 미처리된 PDMS의 접촉각은 $105^{\circ}$였다. 표면처리된 PDMS와 플라즈마 처리를 하지 않은 PDMS에 대하여 외부전압을 변화시켜서 마이크로채널에서의 유체의 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접촉각을 갖는 PDMS에 대하여 외부전압을 변경시켰을 때, 외부전압이 증가할수록 유체의 속도가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외부전압이 증가할수록 계면에서의 전하밀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전기이중층이 압축되어 표면전위가 증가하며, 따라서 제타전위의 값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동일한 외부전압에서 PDMS의 접촉각이 가장 작은 $19^{\circ}$일 때 유체의 속도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이는 유체와 PDMS의 부착 정도에 따라 전기이중층 두께가 달라지고, 이러한 두께변화가 결과적으로 동일한 외부전압에서 접촉각의 크기에 따라 유체의 속도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사료된다.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is an Environmental Stress Factor by Exerting Oxidative Stress

  • Park, Yong-Jin;Park, Won-Joo;Yim, Sung-Hyuk;Yang, Seong-Jun;Sun, Yuan Lu;Jeong, Ji-Hoon;Park, Eon-Sub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5권1호
    • /
    • pp.58-64
    • /
    • 2007
  • The previous study reported the biological effect of magnetic field exerted by acting on endocrine and anti-oxidant system. The present study aims to study whether ELF-MF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affects the physiological endocrine systems such as thyroid and whether ELF-MF affects the defense system against oxidative stress when it alters the function of thyroid. Finally, we correlate the effects of MF on oxidative stress, and adrenal and thyroid with an environmental stress factor. We exposed sham or MF to rats for 5 or 25 days. After the exposure, we determined pain sensitivity, level of TSH, $T_3$ and free $T_4$ in plasma. We also assayed in whole brain, lipid peroxidation, the activity of enzymatic anti-oxidant defense including superoxide dismutase(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and non enzymatic defense such as reduced or oxidized glutathione contents. MF induced the hypersensitivity to thermal stimuli with the reduction of latency. $T_3$ and $T_4$ levels were also increased by the exposure of MF. In addition, we observed the rise of MDA level in rat brain by MF although the MF did not change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The effect of MF on both reduced and oxidized glutathione results in decrease in reduced or oxidized glutathione in whole brain. In every experi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F influence between short term (5 days) and long term (25 days) exposure. Taken together, MF exposure affects the thyroid hormonal control in brain. The elevated thyroid hormone acts on brain, leading to hyper-utilization of oxygen. This phenomenon may be correlated with oxidative stress resulting from MF exposure.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MF exposure may be an environmental stress by exerting oxidative stress.

홍삼추출물이 이스라엘잉어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immune function of Israeli carp, Cyprinus carpio.)

  • 최민순;박성우;박관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7-285
    • /
    • 2005
  • 홍삼추출물을 다양한 농도 (1-50 mg/kg)로 어체의 복강내에 주입하여 3일 후 어체를 희생시켜서 Ht, lysozyme, TIC 및 NBT reduction을 측정한 바, 10 ㎍/㎎ 이상의 처치군에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한편, in vitro에서 홍삼 추출물을 처리시 림프구의 증식능에 미치는 영향은 PHA 혹은 Con A와 혼합처리 경우에는 10 ${\mu}g/m{\ell}$농도에서 가장 높은 증가를 보였으나, 고농도 (100 ${\mu}g/m{\ell}$)에서는 억제되었다. 그렇지만, RGE 단독 혹은 LPS혼합 처리군에서는 증가효과가 유의성 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백혈구의 유주능 및 발생기산소 (ROI)의 생성은 10 ${\mu}g/m{\ell}$이상의 처리군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홍삼추출물을 복강내로 처리시 림프구의 증식 및 탐식세포의 기능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면역보조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경구투여에 따른 실행이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araquat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흑마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tive Effect of Black Garlic Extract on Paraquat-induced Oxidative Stress in ICR Mice)

  • 노병규;이정규;원용덕;박현진;이성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60-76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PQ의 독성으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흑마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효과를 검정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써의 흑마늘 추출물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흑마늘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하였으며 마우스를 이용하여 PQ 투여 전 5일, 투여 후 5일간 흑마늘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PQ 독성에 의한 체중 변화 관찰과 혈중 간 기능 지표인 AST와 ALT값을 측정 하였다. 또한 간 조직에서 SOD, catalase의 활성과 GSH, MDA 함량 등을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써 흑마늘 추출물의 황산화 활성 성분이 PQ의 독성에 대한 회복 작용 그리고 지질과산화와의 상호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흑마늘 추출물의 투여는 간조직에서 항산화 효소인 SOD, catalase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 시켰다. 또한, 흑마늘 추출물은 자유라디컬에 의해 생성된 지질과 산화의 최종 산물인 MDA의 함량을 혈액과 간 조직에서 유의적으로 감소 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방어 작용을 하는 GSH 농도를 유의적으로 증가 시켰다. 이와 같이 흑마늘 추출물은 항산화 관련 효소의 활성도를 증가시키고 생체 내에서 내인성 항산화 물질의 합성능력을 강화 시킴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생체 손상에 대한 회복 작용을 향상 시킨다고 결론 내릴 수 있으며, 항산화 건강기능식품으로써의 기능성이 기대된다.

호박즙, 옥수수수염차, 팥차 및 혼합물이 식이유도 비만동물모델에서 체중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umpkin, Corn Silk, Adzuki Bean, and Their Mixture on Weight Control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Rats)

  • 박재희;이은지;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239-1248
    • /
    • 2016
  • 4주간 식이로 유도된 비만 동물에서 호박즙(250 mg/kg BW), 옥수수수염차(250 mg/kg BW), 팥차(250 mg/kg BW)와 이들 혼합음료(호박즙 분말 : 옥수수수염차 분말 : 팥차 분말, 1:1:1, 250 mg/kg BW)를 9주간 투여하여 그 효능을 알아본 결과 호박즙, 옥수수수염차, 팥차 개별 섭취 시 체중감소 효과는 보였으나 그 기전은 본 연구에서 규명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혼합음료 섭취군에서는 지방조직 무게의 유의적 감소로 인한 체중 저하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고환지방조직의 표면적은 고지방식이섭취군(HFD)군에 비해 고지방식이+혼합음료섭취군(HFD+PCA)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HFD+PCA군의 아디포넥틴은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음료섭취군들 중 고지방식이+혼합음료섭취군(HFD+PCA)은 고지방식이섭취군(HFD)보다 ORAC value가 증가하였고, GSH-Px의 간 항산화 효소에서도 HFD군보다 HFD+PCA군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HFD+PCA군은 고지방식이에 의한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비만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따른 DNA 손상을 현저히 낮추었다. 따라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는 비만 치료에 호박즙, 옥수수수염차, 팥차를 각각 섭취하기보다는 이들 세 가지를 동일한 비율로 혼합 섭취 시 각각의 항산화 효능의 상승작용에 의한 항비만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낼 것으로 생각한다.

천마구등음가감(天麻鉤藤飮加減)이 고혈압 유관인자 및 SHR 병태모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eonmagudeng-um gagam(CGG) on Spontaneous Hypertensive Rat(SHR))

  • 송병용;최은희;정태산;강성순;안가영;김오영;전상윤;홍석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45-360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exami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eonmagudeng-um gagam (CGG) extract on spontaneous hypertension. Methods : For the study of CGG, we divided rats into three groups. The normal group was Wister Kyoto rats (WKY). The control group was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The treatment group was SHR which were administered CGG extract (SHR-CGG). SHR-CGG were orally administered CGG extract that was diluted in distilled water at the various concentrations for 4 weeks (234.5 mg/kg) and SHR were orally administered the same dosage of plain distilled water as SHR-CGG. Then we measured anti-oxygen effects, ACE inhibitory activity, weight of heart and kidney, blood pressure, heart rate, plasma aldosterone, electrolyte, creatinine, uric acid, BUN, and observed the cortex of the cardiac muscle, kidney, and adrenal gland. Results : CGG increased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SOD similar activity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CGG significantly decreased ROS, TNF-${\alpha}$, IL-6, IL-$1{\beta}$, heart weight, blood pressure, heart rate, aldosterone, and BUN in SHR. CGG increased ACE inhibition activity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CGG inhibited the heart, kidney and adrenal gland tissue injury that is caused by hypertens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GG is effective i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ypertension.

Usefulness of Intravenous Anesthesia Using a Target-controlled Infusion System with Local Anesthesia in Submuscular Breast Augmentation Surgery

  • Chung, Kyu-Jin;Cha, Kyu-Ho;Lee, Jun-Ho;Kim, Yong-Ha;Kim, Tae-Gon;Kim, Il-Guk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9권5호
    • /
    • pp.540-545
    • /
    • 2012
  • Background Patients have anxiety and fear of complications due to general anesthesia. Through new instruments and local anesthetic drugs, a variety of anesthetic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These methods keep hospital costs down and save time for patients. In particular, the target-controlled infusion (TCI) system maintains a relatively accurate level of plasma concentration, so the depth of anesthesia can be adjusted more easily. We conducted this study to examine whether intravenous anesthesia using the TCI system with propofol and remifentanil would be an effective method of anesthesia in breast augmentation.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100 patients who underwent breast augmentation surgery from February to August 2011. Intravenous anesthesia was performed with 10 mg/mL propofol and 50 ${\mu}g/mL$ remifentanil simultaneously administered using two separate modules of a continuous computer-assisted TCI system. The average target concentration was set at 2 ${\mu}g/mL$ and 2 ng/mL for propofol and remifentanil, respectively, and titrated against clinical effect and vital signs. Oxygen saturation, electrocardiography, and respiratory status were continuously measured during surgery. Blood pressure was measured at 5-minute intervals. Information collected includes total duration of surgery, dose of drugs administered during surgery, memory about surgery, and side effects. Results Intraoperatively, there was transient hypotension in two cases and hypoxia in three cases. However, there were no serious complications due to anesthesia such as respiratory difficulty, deep vein thrombosis, or malignant hypertension, for which an endotracheal intubation or reversal agent would have been needed. All the patients were discharged on the day of surgery and able to ambulate normally. Conclusions Our results indicate that anesthetic methods, where the TCI of propofol and remifentanil is used, might replace general anesthesia with endotracheal intubation in breast augmentation surg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