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dered logit analysis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3초

가구별 차량보유패턴을 고려한 차량 보유구조 분석 (Analysis on the Car Ownership Structure Considering Household Car Ownership Pattern)

  • 이정훈;정헌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667-675
    • /
    • 2016
  • 본 연구는 향후 교통수요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가구별 차량보유패턴 및 보유구조를 분석하였다. 차량등록대수와 가구당 차량보유대수가 증가하는 현시점에 가구별 차량보유실태를 통해 보유패턴에 대해 알아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차량 증가 원인에 대해 분석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가구통행실태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승용차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와 승용차 및 비승용차 보유하는 가구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차량보유구조 패턴을 통해 가구당 차량보유대수가 2대 이하인 경우에는 승용차만을 보유하는 가구수가 많았으며 3대 이상의 경우 승용차만 보유하는 가구보다 비승용차와 함께 보유하는 가구 비율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순서형 로짓 모형을 활용하여 가구별 차량 보유구조를 분석한 결과 가구 속성 자료 및 주거형태 변수에 따라 차량보유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대한 어업인 인식의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Fishermen's Perception to Climate Change in Korea)

  • 김봉태;이상건;정명생
    • 수산경영론집
    • /
    • 제45권3호
    • /
    • pp.71-84
    • /
    • 2014
  • This study indicates that 84.5% of fishermen have perceived climate change and 74.9% of fishermen have responded that frequency and intensity of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re increasing.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have shown that the level of fishermen experienc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differs according to individual's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length of experience, sea area (fishing area) and types of fisheries. About half of the respondents have shown that they are not taking any actions against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The main reasons are that they either have lack of knowledge on how to respond to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r have the perception that climate change is irresistible. The majority of respondents have responded that they are not aware of the government's climate change policy and emphasize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effective countermeasures strengthening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about climate change policy. The result of perception survey have highlighted that it is essential for the government and the fishermen to share relevant information and to consider method of cooperation.

농업인의 농업·농촌 정책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n Satisfaction Level of Agricultural and Rural Polices)

  • 김선애;문승태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4호
    • /
    • pp.1105-1147
    • /
    • 2013
  • 본 연구는 농업 농촌 정책에 대한 농업인의 만족도를 진단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호남 지역 750명의 농업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리커트 척도로 측정한 22개 정책에 대한 5점리커트척도 만족도의 평균은 2.71~3.09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순서형 로짓모형 분석결과 농업인의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 많을수록, 농업관련 교육 경험이 많을수록 정책 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주작목이 수도, 전작, 축산, 원예인 농가는 타작목 재배 농가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가의 위치가 산간이나 준산간 지역인 경우 또한 만족도와 부(-)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소유농지가 많을수록 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2개 농업 농촌 정책가운데 농업인이 선호하는 정책은 쌀소득보전직불제, 친환경농업, 농지은행사업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도움이 되었다고 인지하는 정책은 수준별 맞춤형 교육, 친환경농업, 쌀소득보전직불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농업인이 선호하는 직접지불 정책은 농업발전에 직접적으로 기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농업발전을 유도하는 동시에 농가 소득을 개선 할 수 있는 정책이 농업인의 만족도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농간 소득 격차도 해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진단되었다.

농업인의 경영기록 실태 및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Current Farm Management Record Practices and Characteristics)

  • 이상학;최세현;손찬수;하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937-2948
    • /
    • 2012
  • 농업경영기록은 체계적인 경영 분석을 위한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농가에서 농업경영기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 결과 경영 실태의 파악이 어려우며, 이를 기초로 경영진단과 장래의 경영 계획 또한 어렵게 된다. 경영 기록의 중요성이 이와 같이 명백한 반면 학계에서의 관련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경영기록과 관련된 현재 농업인의 실태를 파악하고, 기록 관련 실태에 영향을 미치는 농업인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개별 농업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농업경영 기록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빈도분석, 교차분석, 로짓(Logit) 분석, 순위프로빗(Ordered Probit) 분석 등 통계적 분석을 이용하여 기록 실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농업인의 특성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다수의 농업인들이 경영기록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회계 지식이 다소부족하고 적절한 기록 매체가 부족하여 농업경영기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관련 교육 또한 매우 부족하였다. 따라서 농업인들이 사용하기 쉬운 농업경영기록장을 개발하고 농업경영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 시행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농업경영기록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감사의견구매의 존재에 관한 실증적 연구 (The Empirical Study on the Existence of the Opinion Shopping)

  • 신찬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93-101
    • /
    • 2020
  • 외부감사시장에서 감사의견구매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으나, 감사의견구매의 존재에 대한 실증적 증거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감사의견구매가 존재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은 먼저 순위형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감사인 교체기업과 미교체기업의 감사의견 표명기준점을 각각 측정하였다. 이후, 차이분석을 수행하여 측정된 감사의견 표명기준점이 감사인 교체기업과 미교체기업 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감사인 교체기업과 미교체기업 간의 계속기업불확실성 표명의 기준점이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에 따라 외부감사시장에서 감사의견구매가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은 아닌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외부감사시장에서 감사의견구매가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것이다.

농촌지역 마을회관 이용 활용도와 만족도에 관한 결정요인 분석 (Determinants of Utilization & Satisfaction for the Exploit of Community Centers in Rural Area)

  • 이병훈;김동원;박혜진;윤영석
    • 농촌계획
    • /
    • 제18권4호
    • /
    • pp.27-3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munity center users' the determinants of utilization & satisfaction for the exploit and to draw out the implication as to what are the influencing factors. The ordered logit model approach was used to examine the determinants. For the use of community center, we surveyed by mail subjecting on rural residents for one month, June 2012, analyzed 625 valid questionnair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acility-Satisfaction', 'Education', 'Exploit-Frequency' and 'Ag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affect users' satisfaction. Second, 'A meeting hall function', 'Cultural & Educational function', 'Social & Organizational function', and 'functional criticality function' influence the attributes of users' utilizat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various functions of community center and to prepare the vitalization plan in futuristic viewpoint reflecting the change of rural area.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clear entity to supervise community center administratively, policy support system to community center should be equipped. Along with these, it is needed to develop managing and operation model for customized community center.

정부 기술개발 지원사업이 중소기업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 (Government R&D Programs and Innovation Activities)

  • 이병헌;박상문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1권4호
    • /
    • pp.177-188
    • /
    • 202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government R&D programs on firm innovation activitie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analyzed survey data on innovation survey in Korea. To investigate our research hypothesis we used ordered logit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 This study unveils different effects of diverse government R&D programs on firm innovation activities. Most of government programs-R&D tax incentives, information/training, and marketing supports-have positive effects on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and negative effects of the usage of procurement programs on management innovation efforts. Some government programs-R&D tax incentives, R&D grants, information/training-have positive effects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iverse government R&D programs on technological and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We examine simultaneous effects of multiple government R&D programs rather than effects of independent R&D programs. This result can contribute to develop more effective government R&D programs to support firm innovation activities.

신기술 도입의향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 '콩 노린재 포획트랩'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New Technology Adoption -Focusing on the Pilot Project on 'Bean Stinkbug Trap'-)

  • 윤진우;채용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48-456
    • /
    • 2020
  • 본 연구는 신기술의 보급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농가가 신기술을 수용하고자 하는 도입의향의 제고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도입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영향 요인에 대한 한계효과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신기술을 보급하기 위하여 시행된 시범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농가 99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교육지원, 기술지원, 자금지원, 적합성, 시험가능성, 관찰가능성, 반감으로 7개의 잠재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총 19개의 관측변수를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신기술 도입의향으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순서형 로짓 분석에서는 신기술 도입의향에 유의한 변수의 Odds Ratio 크기는 교육지원(6.938), 관찰가능성(2.716), 반감(0.501)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한계효과의 크기를 살펴보았을 때 '그렇다'의 한계효과는 교육지원(20.2%), 관찰가능성(10.4%), 반감(-7.2%)순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신기술의 보급 확산을 위해서는 첫째, 효과적인 교육으로 양질의 지원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관찰이 가능하도록 신기술에 대한 가시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농가의 반감요인을 줄이기 위하여 농가와의 지속적인 관계 구축을 통해 농업기관의 신뢰를 제고가 필요가 있다.

경기지역 IT산업의 하도급거래 분석 (The Analysis of Subcontracting Trade in the IT Industry located in Gyeonggi-Do)

  • 윤충한;손종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146-3152
    • /
    • 2014
  • 본고는 경기지역 IT산업의 하도급거래에 대한 설문조사를 이용해 위탁기업(납품대상업체)과 수탁기업(납품업체)을 중심으로 순위로짓 및 회귀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하도급거래 지배력 및 집중도 결정요인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제조업 관련 기업일수록, 수출비중이 높을수록, 기업규모가 클수록 하도급 지배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고의 주요한 관심변수인 기술집약도의 경우도 하도급 지배력의 크기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탁업체를 대상으로 한 하도급거래 집중도 분석 결과, 하도급거래 집중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기술집약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일한 분석을 위탁업체에 적용한 결과, 하도급거래 집중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기술집약도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수탁업체의 추정결과와 대조를 이루었다. 전반적인 실증분석 결과는 하도급거래 집중도가 높을수록 수탁기업의 매출액대비 연구개발 투자 비중이 축소되는 등 거래비용이론의 예측을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부문 탄소배출 탈동조화 현상의 원인분석 및 에너지전환의 효과: OECD 25개국 패널분석 (Drivers of Carbon Decoupling in Transportation Sector and the Effect of Energy Transition: Panel Analysis of 25 OECD Countries)

  • 임형우;조하현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9권3호
    • /
    • pp.389-418
    • /
    • 2020
  • 최근 OECD 일부 국가를 중심으로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탈동조화 현상이 강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1990~2017년 OECD 25개 국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의 탈동조화 현황을 살펴보고, 에너지전환이 탈동조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당수의 국가들이 탈동조화 국면에 도달했으며, 일부 국가는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감소하는 강한 탈동조화 국면에 도달했다. 에너지 전환이 탈동조화 국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본 결과, 전기화 현상은 탈동조화 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가스화 현상은 유의성이 없었다. 이 외에도 적은 운송량, 높은 도시화율, 강한 환경정책, 높은 무역개방도가 탈동조화 달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