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rrence peak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2초

친환경 시설상추에서 작기별 주요 해충의 피해와 발생소장 (Damage and Seasonal Occurrence of Major Insect Pests by Cropping Period in Environmentally Friendly Lettuce Greenhouse)

  • 전흥용;김형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75-282
    • /
    • 2006
  • 2003년부터 2004년까지 화성, 남양주, 수원의 친환경 시설상추 패배지에서 해충을 조사한 결과, 8목 11과 16종이 확인되었으며 그중에서 발생과 피해가 많아 가장 문제가 되었던 해충은 싸리수염진딧물, 꽃노랑총채벌레, 검은은무늬밤나방이었다. 이 3종 해충의 엽피해는 30% 이상이었다. 싸리수염진딧물은 1작기인 4월 중순${\sim}6$월 초순에 $1{\sim}2$회의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나, 2작기와 3작기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꽃노랑총채벌레는 6월 중순${\sim}7$월 하순과 8월 중순${\sim}10$월 중순에 각각 1회와 2회의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검은은무늬밤나방은 6월 초순${\sim}7$월 하순과 8월 중순~ 10월 하순에 각각 1회와 2회의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싸리수염진딧물의 발생밀도가 가장 많았던 시기는 6월 상순으로 100주당 4,836마리였고, 꽃노랑총채벌레는 7월 상순으로 437마리였다. 검은은무늬밤나방은 10월 상순으로 42마리였다. 꽃노랑총채벌레는 수경재배 보다는 토양재배에서 발생밀도가 높았으나, 싸리수염진딧물과 검은은무늬밤나방은 재배방식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Tilt variation and wake turbulence in the otter board of a bottom trawl during fishing operations

  • KIM, Yong-Hae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4호
    • /
    • pp.337-348
    • /
    • 2017
  • The tension of warp from trawler and sea-floor contact can generate tilt and wake turbulence around otter boards. Preliminary measurements of otter board tilt and 3-D flow velocity during bottom trawl operations were taken using a vector instrumen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ke turbulence at the trailing edge of the otter board. Tilt data (i.e., yaw, pitch, and roll) at 1 Hz and flow data (velocities in the towing, lateral, and vertical directions) at 16 Hz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ir periods and amplitudes using global wavelet and peak event analyses. The mean period (${\pm}standard$ deviation) of the tilt from the peak event analysis ($5{\pm}2s$) was longer or double than that of flow velocity ($3{\pm}2s$). The two periods also had a significant linear relationship. The turbulence rate of flow was 30-50% at the trailing edge and was closely related to roll deviation. The frequency of phase difference ratios (i.e., peak time differences between tilts and flow period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random occurrence in two trials, possibly due to side tidal effects. However, in the other trials, flow peaks were random, as shown by the even peak times between tilts and flows.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reducing tilt variation, wake turbulence, and bottom contact to stabilize otter board motion.

유구골구의 출현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A ROENTGENOGRAPHIC STUDY OF THE APPEARANCE ON THE HOOK OF THE HAMATE)

  • 이성복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22
    • /
    • 1977
  • The author investigated the timing of land and wrist ossification events taking place in the hamate and pisiform by means of roentgenographic examination and its relation to the peak growth velocities in body height. Materials obtained included 493 sheets of X-ray films taken from 257 boys ana 236 girls aged between 7 and 17 years lived in Seoul area. The results indicate that; 1) The average ages at occurrence of initial ossification of the hook of the hamate were 12 years 3 months in boys and 10 years 1 month in girls. 2) The average ages at which advanced ossification of the hook of the hamate occurred were 13 years 7 months in boys and 11 years 11 months in girls. 3) Initial ossification of the pisiform appeared at 13 years 0 month in boys and 10 years 2 months in girls. 4) All three ossification events in hand and wrist, and peak growth velocity in body height occurred earlier in girls than in boys. 5) Initial ossification in the hook of the hamate and pisiform preceded or coincided with peak growth in body height in most boys and girls, on the other hand, advanced ossification in the hook of the hamate occurred around peak growth in body height but in girls did it after peak growth in body height. 6) It would appear that initial ossification in the hook of the hamate or in the pisiform, both for boys and girls, provides a better indication of approaching peak adolescent growth in body height. 7) Advanced ossification in the hook of the tamale would indicate that the period of cercumpuberal peak growth had teen entered or finished.

  • PDF

감관총채벌레(Ponticulothrips diospyrosj)의 발생소장과 피해 양상 (Seasonal Occurrence of Japanese Gall-forming Thrips, Ponticulothrips diospyrosi Haga et Okajima, and Its Damage Pattern)

  • 신원우;이흥수;이규철;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3-109
    • /
    • 2004
  • 경남 김해와 창원의 단감원에서 감관총채별레(Ponticulothrips diospyrosi Haga et Okajima)의 발생생태와 피해양상을 조사하였다. 황색끈끈이 트랩 조사(2002년)와 피해권엽 내부 정밀조사(2002,2003년)에 의하면 월동세대 성충은 4월 하순부터 5월 하순 사이에 월동처에서 단감원으로 이동하여 단감의 새 잎에 산란하며, 제 1세대 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6월 상중순이었다. 피해권엽 정밀조사에 의한 제1세대 난, 약충, 번데기의 발생 최성기는 각각 5월 상중순, 5월 하순6월 상순, 6월 상순이었다. 대부분의 제1세대 성충은 우화후 월동처로 이동하지만 일부 성충이 산란한 개체가 발육하여 제2세대 성충이 되는데, 7월 하순 이후에 발생하는 성충이 제2세대 성충인 것으로 생각된다. 피해엽율은 시기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창원포장에서 6월 상순에 9.7%로 가장 높았다. 피해과율은 6월 중순 낙화 이후부터 관찰되었으며 김해 B포장에서 9월 상순의 피해과율이 30.2%로 가장 높았다. 과수원의 가장자리에 가까이 위치한 나무일수록 피해엽 발생시기가 빨랐으며, 특히 소나무 군락을 중심으로 l0m이내에 피해가 심하였다. 성충의 발생시기와 관련하여 방제시기 문제를 고찰하였다.

전북지역 노지 고추에서의 총채벌레 발생과 피해 (Seasonal occurrence and damage by thrips on open red pepper in Jeonbuk Province)

  • 문형철;조인권;임주락;고복래;김대향;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13
    • /
    • 2006
  • 전북지역 노지 고추 포장에서 총채벌레의 발생소장과 피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고추에 발생하는 총채벌레는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이었다. 총채벌레는 5월 5반순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 $2{\sim}4$반순경에 발생이 가장 많았으며 4차례의 발생최성기를 나타냈다. 1차 발생최성기는 6월 4반순, 2차는 7월 2반순, 3차는 8월 3반순, 4차는 9월 4반순이었다. 총채벌레에 의한 고추 피해증상은 과실 끝부분에 부착된 꽃잎 밑에서 총채벌레가 가해함에 따라 이 부위에 검은색의 가해흔이 남게 되며, 고추가 붉게 변해감에 따라 피해부위가 백색으로 되는 것으로 이에 따른 상품가치가 하락되게 된다. 또한 기형과의 발생이 많아지게 되며 과실 꼭지 부분이 총채벌레가 가해함에 따라 거칠게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총채벌레에 의한 피해과율은 8월 상순에 임실지역에서 20.8%로 가장 높았으며, 꽃당 발생밀도는 7월 중순에 가장 높았다.

수원지방 담배포장에서의 Campoleits chlorideae의 발생소장과 담배나방 방제효율 (Seasonal Occurrence of Campoletis chlorideae Uchida and Its Control Efficacy on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Guenee), in Tobacco Fields in Suwon)

  • B.S. Nandihalli;Joon-Ho Lee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7-153
    • /
    • 1995
  • 담배포장에서 담배나방의 발생은 조식 및 만식 재배구 모두에서 2 또는 3개의 뚜렷한 최성기를 보였다. 반면에 Campoleitis chlorideae는 담배 조식구에서는 담배나방의 두번째 최성기 직후 짧은 기간동안 발생하였으며 만식구에서는 담배나방 유웅이 존재하는 한 발생하였다. 만식구에서의 담배나방 발생은 조식구에서보다 많았다. 4가지 담배 품종중 NC-744에서 담배나방 유충의 발생이 비교적 컸다. 그러나, 기생벌의 발생은 Burley-21과 NC-82에서 많았다. 담배나방 유충의 포장에서의 인위적인 방사 및 재포획법에 의한 결과는 C. chlorideae의 활동은 6월말부터 9월초까지 보였으며 7월초 부터 8월말까지는 비교적 높은 밀도로 발생하였다. C. chlorideae의 담배나방에 대한 생물적방제 수단으로서의 가치평가를 위한 포장내 소규모 케이지 실험결과 방사밀도가 높을수록(암컷 4마리/2 $m^3$) 유충기생률이 높고(86.1%) 담배잎의 피해는 감소함을 보였다.(8.7%) 무처리구에서의 담배잎의 피해는 상당히 높았으며(23.2%) 살충제처리구에서 피해가 가장 낮았다.(1.6%)

  • PDF

홍수유출 모형 자동 보정의 벌칙함수를 이용한 기능 향상 연구 (Application of a Penalty Function to Improve Performance of an Automatic Calibration for a Watershed Runoff Event Simulation Model)

  • 강태욱;이상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12호
    • /
    • pp.1213-1226
    • /
    • 2012
  • 유역유출 모의 모형의 자동 보정에 주로 사용되는 진화계열의 알고리즘은 무제약 최적화 알고리즘이다. 이러한 진화계열 알고리즘에 제약조건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제약조건을 다룰 수 있는 별도의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진화계열 알고리즘의 일종인 집합체 혼합진화 알고리즘에 벌칙함수를 적용하여 제약조건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약조건을 고려할 수 있는 집합체 혼합진화 알고리즘을 SWMM의 자동 보정 모듈에 적용하여 기존 자동 보정 모듈의 기능을 개선하는 것이다. 홍수유출 해석에서는 첨두유량과 관련된 지표가 중요하므로 첨두유량의 오차와 첨두유량 발생시간의 오차를 제어할 수 있는 제약조건을 구성하였다. 제약조건을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 보정 모듈은 밀양댐 유역과 구로1 빗물펌프장 배수유역의 홍수유출 모의 모형에 대하여 적용되었다. 자동 보정의 결과는 제약조건의 포함 유무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여제시되었다. 그 결과, 제약조건을 고려함에 따라 본래의 목적함수를 크게 위배하지 않으면서, 첨두유량과 첨두유량 발생시간의 오차가 크게 개선되었다. 또한, 검증을 통해서도 제약최적화를 통한 자동보정의 적절성이 검토되었다. 결론적으로 벌칙함수를 이용한 제약조건의 반영을 통해 자동 보정 모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경작지 주변의 토양에서 털진드기류의 군집구조와 계절별 발생소장 (Community Structure and Seasonal Occurrence of Chigger Mites in Soil Around Farmland)

  • Kim, Myoung Hai;Byung Chan Ka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1호
    • /
    • pp.31-37
    • /
    • 1996
  • The chigger mites known as the vectors of Tsutsugamushi disease seriously increased due to the expansion of their habitats by the change of farmland into idle land, arboreta and golf courses with the progress of industrialization. These mites were surveyed for their nymphs in soil of four areas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Kyonggido known as the outbreak areas of Tsutsugamushi disease. Total number of the chigger mites collected in the soil of four surveyed areas was 2576, and two genera and ten species including Leptotrombidium palpale were indentified. Among them L. pallidum was the dominant species with the highest occurrence rate of 62 percent. Nine species occurred on the bank of Changrungchon that has been idled for more than ten years, but six or seven species occurred in Wonhundong and Ilsandong that hans been idled for less than five years. The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was also higher in Changrungchon than the other sites. Seasonal occurrence of these mites showed a peak with 166 mites in November on the west slope and another with 192 mites in February on the east slope of the bank of Changrungchon, but none in June. Component ratio of individual numbers for L. palpale, L. pallidum, L. orientalis and L.scutelaris were 19, 62, 9 and 3 percent, respectively. Individual number of L. pallidum and L. scutelaris appeared to some extent of 397 and 23 mites, respetively.

  • PDF

낙동강유역의 태풍경로별 호우발생특성 및 유출특성 분석 (Analysis of Typhoon Storm Occurrence and Runoff Characteristics by Typhoon Tracks in Nakdong River Basin)

  • 한승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4-73
    • /
    • 1996
  • When typhoon occurs,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get worse and can cause a large damage from storm and flood . This damage, however, can be minimized if a precise analysis of the runoff characteristics by typhoon tracks is used in the flood contorl This paper aims at the analysis of storm occurrence and runoff characteristics by typhoon tracks in Nakdong river basin. Therefore, the data of 14 typhoons which invaded Nakdong river basin during the period from 1975 to 1991 were collected, analyzed, and studi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The frequency of the typhoon occurrence here in Korea was affected by the storms three times a year on the average. The highest-recorded frequency was during the months of July to September. 2) The survey of the track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forms of the storm in the Nakdong river basin showed that typhoon storm advanced from the south of the basin to the north, while the frontal type storm was most likely to advanced from the west to the north. 3) Typhoon track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6 predictors with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are finally selected,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ethod are used to establish typhoon strom forecasting models. 4) The riview on the directions of progress of the storm made it clear that the storm moving downstream from upstream of the basin could develop into peak discharge for ca short time and lead to more flood damage than in any other direction.

  • PDF

기상학적 및 수문학적 가뭄지수를 이용한 청미천 유역의 첨두가뭄지수 분석 (Peak drought index analysis of cheongmicheon watershed using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index)

  • 김수현;정은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1호
    • /
    • pp.65-73
    • /
    • 2017
  • 본 연구는 청미천 유역을 대상으로 1985년부터 2015년까지의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첨두 가뭄심도와 가뭄기간을 분석하였다. 이을 위해 기상학적 가뭄지수로는 강수량만을 변수로 하는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강수량과 증발산량을 함께 고려하는 SPEI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를 적용하였으며, 수문학적 가뭄지수는 유역의 유출량을 변수로 하는 SDI (Streamflow drought index)를 적용하였다. SDI의 경우 청미천 유역을 구축한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도출한 유출량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첨두 가뭄심도의 발생시기는 SPI, SPEI의 발생 후에 SDI가 발생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평균적으로 SDI와 SPI는 0.59개월, SPEI는 0.72개월의 차이를 보인다. 최대 발생지체 시간은 SPI, SPEI 모두 2개월을 보인다. 또한 기상학적 가뭄이 해결될 수 있는 강우량임에도 수문학적 가뭄을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