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balance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형 작업균형 평가(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의 동시타당도 연구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Korean 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OBA) Tool)

  • 홍소영;홍덕기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한국형 작업균형 평가(Occupational Balance Assessment: OBA)의 동시타당도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9년 10월 1일부터 10월 25일까지 10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OBA와 작업균형 설문지(Occupational Balance Questionnaire11: OBQ11)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OBA의 세 가지 영역별 점수와 OBQ11의 총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세 가지 영역 모두 양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시간사용 영역(r=.554)과 작업빈도 영역(r=.574)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작업특성 영역의 하위요인(중요도 r=.582, 목표성취 r=.633, 즐거움 r=.649, 건강 r=.650)은 대부분 높은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 결론 : OBA는 작업균형을 평가하기 위해 타당한 평가도구임을 검증하였다. 향후에는 임상적 유용성을 위해 작업균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COVID-19 유행으로 인한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작업균형과 삶의 질 변화 (Changes i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Occupational Balance and Quality of Life in Epidemic of COVID-19)

  • 이향숙;한경주;박인영;황은비;채현아;노종수;차정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22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예비 작업치료사인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로 인한 작업균형과 삶의 질 변화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20년 5월 27일부터 6월 26일까지 전국 62개의 작업치료(학)과 중 총 35개의 대학교에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COVID-19 관련 특성, OBQ, WHOQOL-BREF를 사용하여 작업균형과 삶의 질을 평가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PC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및 카이제곱검정, 독립-t검정 및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 작업균형 관심 유무에 따라 학제, 수업, 생활패턴, 삶의 질, 개인일정 및 공적 일정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작업균형(OBQ)과 삶의 질(WHOQOL-BREF)의 비교에서 '취미여부' 'COVID-19 이후 새로 생긴 취미', '생활패턴', 대중교통이용, '작업균형 유지', '삶의 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작업균형 관심유무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작업균형과 삶의 질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냈다(p<.05). 결론 :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해 생활의 변화가 많은 대상자들이 작업균형에 관심이 높고, 작업균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활동수준과 정서적 웰빙을 잘 유지 할수록 작업균형과 삶의 질이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작업균형과 삶의 질 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COVID-19 유행으로 사회적 고립이 쉬운 시기에 작업균형,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중재전략과 관련된 연구들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스마트폰 기반 경험표집법을 통해 수집된 작업균형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몰입과 정서경험 분석 (Analysis of Flow and Emotional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 Among Type of Occupational Balance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s Based on Smart Phone)

  • 홍승표;유연환;권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227-23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경험표집법을 통해 학생들의 작업균형 유형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몰입과 긍정 부정정서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학생 12명에게 하루 8회, 5일간 경험표집법을 시행하였다. 경험표집법을 통해서 외적경험으로는 주활동을, 내적경험으로는 몰입과 긍정 부정정서 상태를 파악하였고, 주활동의 빈도수에 따라 작업균형유형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작업균형유형으로는 일상생활군 3명, 노동과다군 8명, 작업균형군 1명이었다. 일상생활군에서는 무관심을 경험한 활동이 34%로 가장 높았고, 노동과다군에서는 노동활동에서 몰입을 경험한 활동이 41%로 가장 높았다. 작업균형군에서는 노동과 여가활동의 빈도가 높았지만, 여가활동에서 지루함을 많이 경험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주활동 시 몰입을 경험할 때 긍정정서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균형유형에 따른 작업수행영역별 몰입경험에 차이가 있음과 몰입을 경험하는 활동 시 누적된 긍정정서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과 낙상 위험도 및 낙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개별대상자 실험연구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on Increasing Balance and Fall Index & Fall Efficacy Scale of Stroke Patients: 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 이재홍;김수경;최성열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7-49
    • /
    • 2012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과 낙상 위험도 및 낙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뇌졸중 진단을 받은 4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개별대상자 실험연구 방법 중 대상자간 다중기초선(multiple baseline across individuals)으로 설계되었다. 기초선 과정과 중재 과정을 포함해 총 20회를 4주 동안 진행하며, 기능적 손 뻗기 검사를 이용해 균형능력의 변화를 측정했다. 그리고 낙상 위험도(Tetrax) 프로그램과 낙상 효능감으로 중재 전 후를 비교했다. 시각적 분석과 2 표준편차 밴드 분석방법을 통해 나타냈다. 결과 : 상상연습 중재기간 동안, 기능적 손 뻗기 검사를 사용한 결과 대상자들의 균형능력의 향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로 낙상 위험도가 감소하였고, 낙상 효능감이 증가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 더 많은 연구 대상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균형능력을 측정하여 확인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 PDF

Predicting Ability of Dynamic Balance in Construction Workers Based on Demographic Information and Anthropometric Dimensions

  • Abdolahi, Fateme H.;Variani, Ali S.;Varmazyar, Sakineh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4호
    • /
    • pp.511-516
    • /
    • 2021
  • Background: Difficulties in walking and balance are risk factors for falling. This study aimed to predict dynamic balance based on demographic information and anthropometric dimensions in construction workers. Methods: This descriptive-analytical study was conducted on 114 construction workers in 2020. First, the construction workers were asked to complete the demographic questionnaire determined in order to be included in the study. Then anthropometric dimensions were measured. The dynamic balance of participants was also assessed using the Y Balance test kit. Dynamic balance prediction was performed based on demographic information and anthropometric dimensions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 software version 25. Results: The highest average normalized reach distances of YBT were in the anterior direction and were 92.23 ± 12.43% and 92.28 ± 9.26% for right and left foot, respectively. Both maximal and average normalized composite reach in the YBT in each leg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leg length and navicular drop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atio of sitting height to leg length. In addi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s showed that age, navicular drop, leg length, and foot surface could predict 23% of the variance in YBT average normalized composite reach of the right leg, and age, navicular drop, and leg length could predict 21% of that in the left leg among construction workers. Conclusion: Approximately one-fifth of the variability in the normalized composite reach of dynamic balance reach among construction workers using method YBT can be predicted by variables age, navicular drop, leg length, and foot surface.

시각되먹임 훈련이 소뇌 실조증 환자의 균형과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사례보고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on Balance and ADL in Cerebellar Ataxia : Case Report)

  • 양현주;조바회;장종식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3-53
    • /
    • 2013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소뇌 실조증 환자에게 시각되먹임 프로그램 훈련을 적용 후 균형과 일상생활수행에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대전 모 재활병원에서 소뇌 실조증으로 진단받고 입원 중인 대상자 1명을 대상으로 주 5회기씩 총 2주간에 걸쳐 중재를 시행하였고, 사후 2주를 포함하여 총 4주간 실시하였다. 중재 전 후, 사후 균형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BIORescue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안정성의 한계(Limit of stability; LOS)와 롬버그 검사를 시행하였고, 다른 균형평가로는 버그 균형척도를 시행하였다. 일상생활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COPM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소뇌 실조증 환자에게 안정성의 한계와 롬버그 검사, 버그 균형척도에서 중재 후 변화를 확인하였고, 유지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상생활수행에서도 목욕하기, 이동하기, 교통수단의 이용, 세탁하기, 모임활동 5개 영역 모두 수행도와 만족도가 향상 되었다. 결론 : 소뇌 실조증 환자에게 균형향상을 위하여 시각되먹임 프로그램이 유용하게 적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 PDF

골반압박벨트가 뇌졸중 환자에서 보행속도, 분속 수, 보장, 활보장, 및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lvic Compression Belt on Gait Velocity, Cadence, Step Length, Stride Length of Gait and Dynamic Balance in Stroke Patients)

  • 신영일;김진영;이호종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3-70
    • /
    • 2019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pelvic compression belt on gait abilities and balance in subacute stroke patients. Methods: Twenty two patients with subacute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 Two group offere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for five day. The group was composed of twelve patients.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the pelvic compression belt an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although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provided in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To assess the gait ability, the GAITRITE system was used and the Balance system SD was used to test balance. Al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s a significant improvement the cadence, velocity,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in gait (p<.05) and show significant increase in the dynamic standing balance (p<.05). However, control group shows a significant improvement the cadence, velocity,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in gait (p<.05), but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ynamic standing balance. Fur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gait velocity, dynamic standing balance between two groups (p<.05). Conclusion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lastic pelvic belt application is effective to improve gait velocity, dynamic balance in the subacute stroke patients. Thus, the elastic pelvic belt is seemed to be one of the potential methods to facilitate the ac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hemiplegia patients.

한국 간호사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Work-life Balance in Korean Registered Nurses)

  • 정미숙;김현리;이윤정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4-12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ersonal as well as occupational factors and health status associated with work-life balance in Korean registered nurses. Methods: This study was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cross-sectional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from the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in 2014. Study participants included 450 registered nurses in South Korea.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t-test, $x^2$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Work-life balance was reported in 70.6% individuals with 85.7% being male and 70.0% being female nurs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being male good health state, having less than 40-hour working week, lower number of night duty, policy on flexible work arrangemen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work-life balance.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that identify predictors of work-life balance in registered nurses in South Korea. Therefore, we need the actively support health care service promotion and prevention for work-life balance predictors.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이 만성 소뇌경색 환자의 균형능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일 사례연구 (Affects of Pilates Exercise Program on Balance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Performance Ability for Patient With Chronic Cerebellum Infarction)

  • 류성현;조영남
    • 재활치료과학
    • /
    • 제2권1호
    • /
    • pp.77-86
    • /
    • 201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이 만성 소뇌경색 환자의 균형능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단일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에 소재한 K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62세 여자 소뇌경색 환자였다. 중재 전 후 균형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수정된 바델 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시행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균형능력은 중재 전 19점에서 중재 후 29점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또한 중재 전 74점에서 중재 후 87점으로 증가 되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이 만성 소뇌경색 환자의 균형능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기존의 일반적인 작업치료에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환자의 기능 회복에 더 많은 도움이 되리라 기대된다.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낙상예방 작업치료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all-preventive Occupational Therapy Applied to Elderly in the Community upon Balance Ability)

  • 장기연;우희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32-240
    • /
    • 2010
  • 지역사회 여성노인에게 적용한 작업치료가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노인들의 낙상 예방을 위한 작업치료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립보행이 가능하고 균형에 영향을 주는 약물 복용을 하지 않는 65세 이상 여성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험군 13명, 대조군 13명으로 분류하여 낙상 예방을 위한 교육과 운동을 병행한 6주 간의 작업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균형 능력 평가는 Berg 균형척도와 Tetrax 낙상지수가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Berg 균형척도는 6주간의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48.38에서 50.69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p=.017). 실험군의 Tetrax 낙상지수 또한 6주간의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46.77에서 35.54으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나타내었다(p=.000).대조군의 Berg 균형척도와 Tetrax 낙상지수는 모두에서 유의한 수준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낙상예방 교육과 운동을 병행한 낙상예방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6주 간의 적용이 노인의 균형 능력증진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았으며, 추후 낙상 예방 교육의 효과만을 다룬 연구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