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tion therapy

검색결과 749건 처리시간 0.027초

HepG2 간암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경로를 통한 개똥쑥 추출물의 Apoptosis 유도 효과 (Extract from Artemisia annua Linné Induces Apoptosis through the Mitochondrial Signaling Pathway in HepG2 Cells)

  • 김보민;김근태;김은지;임은경;김상용;김영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708-1716
    • /
    • 2016
  • Akt 및 mTOR는 세포 생존에 필수적인 경로로 세포 성장과 증식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암 및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개똥쑥(Artemisia annua L.)에 의한 HepG2 간암세포의 apoptosis 유도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개똥쑥 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HepG2 세포의 생존율은 억제되었으며, 이는 apoptosis 유도 효과에 의한 것임을 세포의 형태적 변화와 flow cytometry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리고 mitopotential assay와 caspase-3/7 activity assay, western blotting으로 Bcl-2 family 단백질을 확인함으로써 apoptosis 경로 중 내인성 경로(intrinsic pathway)에 의해 apoptosis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효과는 Akt/mTOR의 활성 저해와 연관이 있었으며 Akt/mTOR의 저해제인 LY294002/rapamycin을 개똥쑥 추출물과 병행처리하였을 경우 개똥쑥 추출물에 의한 apoptosis 효과를 더욱 증대시켰다. 따라서 Akt/mTOR의 저해는 개똥쑥 추출물의 apoptosis 효과를 상승시켰으며 이에 따라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손상과 caspase 활성의 증가를 통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한국형 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 혼합제제의 변비 개선 효과 (Efficacy of Mixture of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Bifidobacteria Supplement in the Management of Constipation; Demonstration of Functionality in Animal and Clinical Trials)

  • 김정래;이도경;백은혜;안향미;양환진;김미진;최경순;윤미은;정이정;오복자;정명준;하남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2-62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동물실험과 임상실험을 통해 변비 치료에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Pediococcus pentosaceus, Bifidobacterium longum SPM1205를 포함한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LAB) 및 비피더스균 혼합제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5마리의 ICR 마우스와 4명의 여성 변비 환자들은 2주 동안 유산균 및 비피더스균 혼합제제를 복용하였다. 복용 전과 후에 분변에서 유산균수와 유해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분변 중 유산균수가 증가하였고, 장내 미생물에 의한 유해 효소 활성은 일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61명의 피실험자들은 유산균 및 비피더스균 혼합제제와 lactose 중의 하나를 2주 동안 하루에 3번 복용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변비환자군에서 매일 유산균 및 비피더스균 혼합제제를 복용한 군(56.3%)은 lactose를 복용한 군(26.7%)보다 변비증상이 개선되었고, 단단한 변의 배변 횟수가 0.22에서 0.03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L. acidophilus와 P. pentosaceus, B. longum SPM1205를 포함한 유산균 및 비피더스균 혼합제제는 변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Intestinal Immune Modulating Polysaccharides of Atractylodes lancea DC. Rhizomes

  • Yu, Kwang-Won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심포지엄
    • /
    • pp.1-3
    • /
    • 2000
  • A kind of traditional herbal prescription, Sip-Jeon-Dae-Bo-Tang (TJ-48), has been reported to improve the general condition of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nd /or radiation therapy, and to accelerate hematopoietic recovery from bone marrow injury by mitomycin C. In the present studies, we found that hot-water extract from Atractylodes lancea DC. rhizomes contributed mainly to intestinal immune modulating activity of TJ-48 on Peyer's patch cells mediated-hematopoietic response. After the fractionation, ALR-5 II a-1-1, 5 II b-2-2 and 5 II c-3-1 were further purified from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Chemical analyses of each fraction indicated that ALR-5 II a-1-1 mainly contained arabinogalactan fraction whereas ALR-5 II b-2-2 and 5 II c-3-1 mostly comprised pectic polysaccharide fractions as the active polysaccharide ingredients. In order to analyze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activity, ALR-5 II a-1-1 was treated by sequential enzymatic digestion using exo-${\alpha}$-L-arabinofuranosidase and exo-${\beta}$-D-(1\longrightarrow3)-galactanase. Based upon the results of chemical and MALDI-TOF-MS analyses and activity on the digested fractions, the galactosyl side chains consisting of 6-linked Galf and Galp over tetrasaccharide in ALR-5 II a-1-1 might be responsible for the potent intestinal immune modulating activity. To characterize moiety of ALR-5 II c-3-1 for the expression of activity, endo-${\alpha}$-D-(1\longrightarrow4)-polygal acturonase (GL-PGase) purified from dried leaves of Panax ginseng digested ALR-5 II c-3-1. The results of structural analyses and activity on the digested fractions showed that PG-2, which structurally resembles to rhamnogalacturonan II (RG II), and PG-3 (galacturono-oligosaccharides) contained potent intestinal immune modulating activity. Further purification of the other acidic fraction (ALR-5 II b-2-2) indicated that ALR-5 II b-2-2Bb showed that the most potent activity. ALR-5 II b-2-2Bb also contained the unusual component sugars characteristics in RG- II as well as PG-2 derived from ALR-5 II c-3-1, but it could not be digested with GL-PGase. The present studies of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s and intestinal immune modulating activity of the active polysaccharides purified from A. lancea DC. rhizomes suggested that neutral galactosyl chains consisting mainly of (1\longrightarrow6)-linked Galf and Galp, and RG- II -like moiety with unique component sugars, such as 2-Me-Xyl, 2-Me-Fuc, Api, AceA, Kdo and Dha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otent intestinal immune modulating action of A. lancea DC. rhizomes.

  • PDF

연령층별 구강건강과 저작불편이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Intake on Oral Health and Chewing Difficulty by Age Group)

  • 김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02-209
    • /
    • 2018
  • 본 연구는 연령층별 구강건강과 저작불편이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2015), 질병관리본부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그 중 20세 이상 성인 5,855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저작불편군은 60세 이상이 39.5%로 나타났으며, 20-39세 8.1%에 비해 5배 가까이 높게 조사되었다. 저작불편군은 치주질환 33.4%, 치아우식 30.1%, 당뇨 41.8%, 심근경색 57.3%, 관절염 44.0%, 천식 48.0%, 우울증 41.9%를 현재 경험하고 있었고. 저작불편군의 86%가 발음 불편을 경험하고 있었다. 저작불편군의 식품섭취량은 1446.59g으로 저작용이군 1666.62g보다 낮았고 단백질, 탄수화물, 식이섬유 등 다양한 식품 섭취량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저작불편은 식품섭취, 전신 및 정신건강과 관련이 있었고, 연령증가에 따른 저작불편은 발음 불편의 문제와도 연관성이 있었다. 그러므로 연령증가에 따른 구강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방처치에 관심을 갖고 구강건강을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저작불편 문제의 초기치료가 요구되었다. 그리고 구강질환 예방을 위한 치과적 치료뿐만 아니라 구강근훈련을 통한 구강기능 개선으로 저작, 발음 기능을 유지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구강건강관리가 요구되었다.

Antioxidant effect of garlic and aged black garlic in animal model of type 2 diabetes mellitus

  • Lee, Young-Min;Gweon, Oh-Cheon;Seo, Yeong-Ju;Im, Ji-Eun;Kang, Min-Jung;Kim, Myo-Jeong;Kim, Jung-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3권2호
    • /
    • pp.156-161
    • /
    • 2009
  • Hyperglycemia in the diabetic state increases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therapy can be strongly correlated with decreased risks for diabetic com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ntioxidant effect of garlic and aged black garlic in animal model of type 2 diabete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arlic and aged black garlic was measured as the activity in scavenging free radicals by the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Three week-old db/db mice were fed AIN-93G diet or diet containing 5% freeze-dried garlic or aged black garlic for 7 weeks after 1 week of adaptation. Hepatic levels of lipid peroxides and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were measured. TEAC values of garlic and aged black garlic were $13.3{\pm}0.5$ and $59.2{\pm}0.8{\mu}mol/g$ wet weight, respectively. Consumption of aged black garlic significantly decreased hepatic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level compared with the garlic group which showed lower TBARS level than control group (p<0.05).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of garlic and aged black garlic group were significantly elevat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atalase (CAT) activity of aged black garlic group was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aged black garlic exerts stronger antioxidant activity than garlic in vitro and in vivo, suggesting garlic and aged black garlic, to a greater extent, could be useful in preventing diabetic complications.

Dietary Habits Contributing to Breast Cancer Risk Among Iranian Women

  • Mobarakeh, Zahra Sheikhi;Mirzaei, Khadijeh;Hatmi, Nadia;Ebrahimi, Mandana;Dabiran, Sohaila;Sotoudeh, Gity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1호
    • /
    • pp.9543-9547
    • /
    • 2014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mographic features, dietary habits, and some possible risk factors for being susceptible to breast cancer in Iranian women. Materials and Methods: A study of dietary habits and breast cancer was conducted among 53 Iranian women with histological confirmed disease and 40 matched controls. A dietary habits questionnaire was used to evaluate the pattern of selected food intakes. The risk of cancer was analyzed after adjustment for confounding factors. Age, weight, body mass index (BMI), waist circumference, educational status, parity, lactation, marital status, menopause, history of estrogen therapy, and family history of breast disease or cancer were assessed among participants.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of high fat meat, milk, yogurt and cheese as well use of frying oils for frying foods, use of olive/liquid oils for cooking, removing fat from meat and poultry, removing chicken skin and not use of mayonnaise as salad dressing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Moreover, salad,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and eating outdoors owere investigated. Results: Our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lower education and higher BMI and waist circumference level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The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reast cancer risk in overweight women in comparison with normal weight (OR=2.91, 95%CI 1.24 to 6.82). High intake of fat dairy products including milk and cheese was found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for increasing breast cancer risk in models adjusting for age, BMI and education. Use of olive/liquid oils for cooking and avoidance of mayonnaise as salad dressing are related to lower risk of breast cancer. The frequency of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compared to healthy women. Conclusions: Dietary habits might be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among Iranian women. Adoption of a prudent diet could be an appropriate strategy for preventing breast cancer.

대두를 이용한 Lovastatin 대량생산용 Seed Culture의 제조기술 (Development of Seed Culture Using Soybean for Mass Production of Lovastatin with Aspergillus terreus ATCC 20542 Mutant)

  • 김수정;고희선;김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66-670
    • /
    • 2008
  • 본 연구는 Asp. terreus ATCC 20542 변이주로부터 lovastatin 생산용 seed culture의 대량제조를 위한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배양체의 선발, 분석 및 최적 배양용기를 검토한 결과 대두를 이용하여 petri dish(${\phi}150{\times}20mm$)에 배양하였을 때 lovastatin의 생산성이 우수하였다. 포자의 발아 촉진을 위하여 대두에 Asp. terreus를 접종한 다음 열처리를 달리하여, 각 전배양체를 미강에 본배양하였다. 본배양액을 추출한 후 HPLC를 이용하여 lovastatin 생산량을 검토한 결과 $30^{\circ}C$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한 전배양체가 본배양 12일째에 가장 높은 lovastatin 생산성을 보이며, in vitro assay 결과, 대두를 $30^{\circ}C$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 본배양하였을 경우에 HMG-CoA reductase가 82%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포자현탁액 접종법보다 대두를 이용한 방법이 더욱 높은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 및 배양시간의 단축성을 보여 산업화에 유리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사람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HEp2 세포에서 BCH에 의한 세포성장 억제기전 (Mechanism of Growth Inhibition by BCH in HEp2 Huma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최봉규;정규용;조선호;김춘성;김도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55-560
    • /
    • 2008
  • 사람 두경부 편평세포암종 HEp2 세포를 이용하여 아미노산 수송계 L 억제제인 BCH의 암세포 성장억제에 미치는 효과와 세포성장 억제기전을 밝히기 위해 HEp2 세포에서 uptake 실험, MTT 분석, DNA fragmentation 분석 및 immunoblotting 등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아미노산 수송계 L 억제제인 BCH는 L-leucine uptake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그 $IC_{50}$$ 51.2{\pm}3.8{\mu}M$로 산출되었다. BCH는 HEp2 세포의 성장을 시간과 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BCH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DNA fragmentation 현상은 볼 수 없었다. BCH를 처리한 실험군에서 procaspase-3과 procaspase-7의 proteolytic cleavage 현상은 볼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사람 두경부 편평세포 암종 HEp2 세포에서 아미노산 수송계 L 억제제 BCH는 LAT1 활성을 억제하여 세포성장에 필수적인 L-leucine 등 중성아미노산의 세포 내 고갈을 유도함으로써 HEp2 세포의 성장억제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유산간균인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의 안정화 (The Stabil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

  • 김강민;이진영;홍용근;이상길;강재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1044-1048
    • /
    • 2008
  • 유산균인 Bp2를 3중 코팅으로 미세캡슐화 시켜 에탄올, 온도, 인공위액 및 인공담즙산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코팅된 bead의 크기는 약 $15\;{\mu}m$로 나타났으며 코팅된 Bp2의 내생포자의 온도에 대한 내성에서는 $100^{\circ}C$ 끓는 물에서 5분간 방치하였을 경우 생존률이 76%, 10분에서 70%, 15분에서 68%로 나타났으며 130oC 증기에서는 코팅처리하지 않은 Bp2는 1%의 생존율에 비해 코팅을 하였을 시 99%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위액 및 담즙산에 대한 안정성에서는 코팅처리하지 않은 Bp2는 42%, 41%에 비해 3중 코팅된 Bp2는 96%, 94%로 아주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이것은 alginate, chitosan 및 HPMCP를 이용한 코팅방법은 Bp2에 대한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였고 alginate의 양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Bp2의 미세캡슐화로 안정성이 증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에탄올에 대한 생존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식품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 기술을 적용할 경우 3중 코팅된 생균제 Bp2는 산업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pellet형 사료에도 사용할 수 있어서 그 효용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한국 성인에서 식이섭취와 우울증 유병의 관련성: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Relationship between diet and prevalence of depression among Korean adult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 정용준;한아름;신새론;이수영;김자형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1권2호
    • /
    • pp.75-84
    • /
    • 2016
  • 우울증 유병의 원인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식이섭취에 대한 연구는 적은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이섭취와 우울증 유병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20-65세 사이의 의사 진료를 통해 우울증 유무가 확인된 73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남녀군으로 구분하여 탄수화물섭취량, 섬유소섭취량, 칼슘섭취량, 철섭취량, 나트륨섭취량, 칼륨섭취량, 비타민A섭취량, 티아민(thiamine)섭취량, 리보플라빈(riboflavin)섭취량, 니아신(niacin)섭취량, 비타민C섭취량에 따른 식이섭취와 우울증 유병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성군에서 식이섭취와 우울증 유병의 관련성은 없었다. 여성군에서 섬유소섭취가 증가할수록 우울증 유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odds ratio=0.923, 95% confidence interval=0.850-0.986), 그 외 식이섭취와 우울증 유병의 관련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20-65세의 여성군에서 섬유소섭취와 우울증 유병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식이섬유를 포함한 환자의 식이요법은 우울증 유병을 감소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