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8초

비대면 교육 문제점 파악을 위한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 분석 (Big data text mining analysis to identify non-face-to-face education problems)

  • 박성재;황욱선
    • 한국교육논총
    • /
    • 제43권1호
    • /
    • pp.1-27
    • /
    • 2022
  •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만연해짐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비대면화를 시행하게 되었고, 교육 시스템 또한 급격한 비대면화로 인해 많은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계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교육환경에 맞추어 비대면 교육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성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의견들이 존재하는 소셜네트워크 빅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텍스톰(Textom), 유씨넷6(Ucinet6) 분석 도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와 관련된 키워드가 주를 이루었으며 '기사', '뉴스'등의 높은 빈도의 키워드들이 존재했다. 분석 결과 네트워크 장애 및 보안 문제와 같은 비대면 교육에 관련한 다양한 이슈들을 확인해 볼 수 있었고, 분석 이후 교육 시장의 성장과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른 비대면 교육 시스템의 방향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한 비대면 교육시의 보안 강화 필요성과 수업 방식에 대한 피드백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Non Face to Face Real Time Education Focused on Firefighter in COVID-19)

  • 박진찬;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91-103
    • /
    • 2022
  • 연구목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후 교육생태계의 변화가 일어났고 소방학교 역시 대면교육을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 되었다. 이로 인해 교육생(소방공무원)의 교육효과는 떨어지고 만족도 역시 낮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현 실태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보완하여 이에 맞는 교육방법, 교육내용, 교육환경 등을 개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시스템 환경운영, 컴퓨터의 자기효능감, 콘텐츠(교육내용, 구조, 설계 등), 적절한 상호작용으로 구성하였고, 종속변수로는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 만족도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사이에 조절변수로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을 추가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가 좋고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적 일수록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학습만족도가 높아졌고,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이 높아지면 컴퓨터 자기효능감도 학습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다. 결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으로 인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만족을 높이기 위해 교육설계자 혹은 교수자는 학습동기와 학습태도의 적극성을 높일 수 있는 비대면 교육콘텐츠를 제공해야하고 비대면 교육시스템에 대한 사전교육을 통해 컴퓨터 자기효능감을 높여 학습자의 교육 만족도를 높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일부 치기공과 학생의 비대면 강의 서비스 품질 인식 및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recognition of lecture and satisfaction with its quality among dental technology students)

  • 권은자;최에스더;한민수;김창희;김형미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3-65
    • /
    • 2021
  • Background: To survey and analyze awareness and recognition during a non-face-to-face lecture, and satisfaction with among dental technology students. Methods: Total 179 undergraduates were surveyed from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analyzing statistics. Result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non-face-to-face lecture was the highest (p=.037) while watching a recorded lecture in the theory curriculum subject. In the case of practical subjects, satisfaction with face-to-face lectures appeared to be higher (p=.039) compared to non-face-to-face lectures. Factors influencing the recognition of non-face-to-face lecture quality included awareness of a place to conduct a class and of face-to-face delivered lecture quality, satisfaction with face-to-face lecture, and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lectur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a non-face-to-face lecture included a place to conduct a class, the most effective theory non-face-to-face class method, the method of having been experienced the most among non-face-to-face lecture methods, and the recognition of non-face-to-face lecture quality. Conclusions: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include combined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lectures. An efficient educational indicator will be needed to evaluate learners' assessments and opinions about online classes, followed by its application to teaching methods.

대면과 비대면 교육 환경이 반복되는 상황에서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실습 교육 사례 (A Case Study on Software Practical Education that is Efficient for Repetitive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ducation Environments)

  • 전혜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93-102
    • /
    • 2022
  • Due to COVID-19, all activities in society are emphasized non-face-to-face,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changing without exception.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urvey after conducting non-face-to-face education, there was a lot of rejection of non-face-to-face practical education. The biggest reason was that instructors were not familiar with the non-face-to-face education method, and feedback was not smooth during or after education. In particular, software practice education was not easy to share the software development environment, but communication and feedback on class contents and tasks were important. In particular, i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are alternately variable, it is not easy for practical education to be consistently connected. Even if non-face-to-face hands-on education is changed to face-to-face hands-on education, we will present a plan to use a data sharing system such as question-and-answer, assignment, practice content, and board content so that it can proceed smoothly. This study presents an efficient software education process that can provide learners with a software integrated practice environment based on a shared server, question-and-answer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nd share feedback on task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presented process, the effectiveness was confirmed through the survey results by applying the face-to-face/non-face-to-face education process to 220 trainees for 30 months in software education classes such as A university hands-on education, B company new employees, and ICT education courses.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 산학협력형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개발 사례 연구 (Case Study of Industrial- Academic Cooperation Capstone Design Subject Development in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 황윤자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7-3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비대면 교육(online mode)의 형태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서 여러 대학 간의 디지털 기술을 토대로 대학 간 공유와 협력을 공유할 수 있도록 비대면 환경에서의 산학협력형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비대면 환경, 캡스톤 디자인 등의 문헌 및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비대면 환경에서의 산학협력형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개발 모델을 개발하여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웨어러블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을 시범 적용하여 학생 인터뷰, 설문을 통해 실효성을 확인하고 수정, 보완하였다. 이는 비대면 환경에서 산학협력형 캡스톤 디자인 수업 계획, 개발 시 기초자료 제공 및 단계별 운영가이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소방공무원의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 관한 의식조사연구 (A Study on Survey of Non Face to Face Realtime Education Focused on Firefighter in COVID-19)

  • 박진찬;백민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22-732
    • /
    • 2021
  • 연구목적: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 펜데믹으로 인해 모든 교육기관은 전면 비대면 실시간 교육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였고 이에 소방공무원에게도 비대면교육을 적용하여 소방교육을 운영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펜데믹 상황에서 중앙소방학교가 소방공무원에게 실시한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비대면 실시간 교육의 방향을 찾고 개선방안을 제시 하려한다. 연구방법: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비대면 실시간 원격교육의 질적 향상 및 전문화를 위한 의식조사' 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심층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첫째, 교수자 혹은 교육운영자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특성에 맞는 원격교육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비대면 교육을 위한 전용노트북을 제공하여 모든 학습자들이 교육 참여에 어려움 없는 교육환경을 제공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소방공무원 교육훈련 특성상 장비 활용이 필요한 교육훈련의 경우에는 각 소방서에 교육 장비를 배치하여 비대면 실습교육 장소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실습교육은 이론교육으로 대처하는 것은 만족스러운 교육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렇기에 비대면 실시간 실습교육이 가능한 시설과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한다. 그러한 비대면 실습교육이 가능해지기 전까지는 사회적 거리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대면교육을 적절하게 병행하는 것도 고려해볼만 하다. 다섯째, 비대면 교육은컴퓨터 화면의 불빛과 전자파로 인하여 눈의 피로도가 높고 시간이 흐를수록 집중도가 많이 떨어진다는 의견으로 보아 적절한 수업시간과 휴식시간을 통해 학습자의 눈의 피로를 줄이고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시간을 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수자는 일방적인 지식전달을 하는 교육보다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학습자 참여 중심의 교육을 운영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대면 원격교육 기술적인 문제는 사전시스템 점검을 통해 교육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Metaverse Realistic Media Digital Content Development Education Environment Improvement Research

  • Kyoung-A,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67-73
    • /
    • 2023
  • COVID-19의 영향으로 약 2년 1개월에 걸친 사회적 거리두기의 조치로 ICT 요소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서비스들이 교육 분야뿐만 아니라 전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메타버스(Metaverse) 플랫폼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들이 여러 분야로 확산되면서 교육자와 학습자가 에듀테크(Edutech)를 활용한 학습 경험이 많아지고 있지만 교육에 대한 몰입도나 집중력 저하 등 비대면 학습을 통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대면 학습을 통해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메타버스 기반 실감미디어 디지털 콘텐츠를 개발하여 교육 환경을 개선하고자 몰입형 메타버스 기반으로 VR(Virtual Reality)을 활용하여 군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훈련 콘텐츠와 교육환경을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로 군 교육/ 훈련에 투입되는 학습자에게 HMD(Head Mounted Display)를 활용하여 가상환경에서 몰입도와 집중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교육콘텐츠에 대한 시스템을 제시했으며, 교육훈련에 필요한 장비들을 실사화하여 몰입도를 더욱 향상시켰다.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 온라인 협업 툴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Use Online Collaboration Tools for the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 서재이;안선주;최정일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571-591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online collaboration tools for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perspective of the learners. Methods: For empirical analysis, the survey of this study was administered with data that were limited to experienced learners using online collaboration tools such as Google Docs, Allo, Padlet, and Slido in online education environments such as Zoom, Webex, MS Teams, etc. and valid 400 data were analyzed by SPSS(ver 22.0) and R(ver 4.1.0) program package. Result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performance expectancy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reliability of system quality, empathy of service quality, playfulness and informativity of content qualit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ollaboration tool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security of system quality, responsiveness of service quality, and extroversion of use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did not affect. It was analyzed that playfulness had the greatest positive effect, followed by informativity, empathy, and reliabilit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ollaboration tools, it was found that the reliability and security of system quality and informativity of content quality had an effect on the effort expectancy. It was analyzed that informativity has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security and reliability.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perspectives of users and learners, who can be said to be the end customers of online collaboration t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not only platform operators that provide online collaborative tools, but also providers that use online collaboration tools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edutech and infrastructur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동기식 온라인창업교육의 학습자만족 모델 개발 (A Study on Developing the Model of Learner Satisfaction in Synchronous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 변영조;이상한;김재영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2호
    • /
    • pp.119-135
    • /
    • 2020
  • Owing to pandemic (COVID-19), the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 method has been changed to the non-face-to-face real-time online education methods. Using a real time-based video conference system, synchronous education can be adopted by face-to-face class easily. 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minimize the difference in learning effects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is study, in order to deriv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in synchronous online education, authors collected data from learners taking a synchronous entrepreneurship course. Through previous research, learned the reality of education and the composition of lessons. Spatiotemporal effectiveness, mentor abili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fluence learning satisfaction. PLS-SEM results revealed that it was confirmed that only spatiotemporal effects affect learner satisfaction. However, the education environment (fluent operation and convenience of function use of real-time based online conference system) effect teaching presence, class structure, and spatiotemporal effects. Through this research, we hope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support for developing effective teacher activities, proper lesson structure, convenient function of the conference system, and learner-centere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hen developing synchronous online classes.

집체훈련 대체 원격훈련시스템 구축 방안: 비대면 학습경험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Distance Training System for Transitioning to a Non-Contact Education and Training Methods: Focusing on Learner's Non-Contact Learning Experiences)

  • 임경화;신정민;이두완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05-320
    • /
    • 2021
  • 코로나19는 직업능력개발 분야의 교육훈련 환경을 크게 변화시켰다. 상대적으로 집체훈련 비중이 큰 직업능력개발훈련은 일부 훈련과정을 온라인 방식으로 전환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는 학습 방식이 직업능력개발훈련 현장에 실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 주목하여 기존의 집체 방식의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대체할 수 있는 비대면 원격훈련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 공공 고등직업훈련기관, 민간 직업훈련기관 등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교육 경험을 조사하여 교육환경과 교육목적이 상이한 학습자들의 비대면 학습경험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비대면 교육을 위한 원격훈련시스템 구축 방안의 초안을 구성하여, 비대면 원격훈련시스템 초안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비대면 교수학습 전략, 학습 및 운영 지원 방안 등 원격훈련시스템 구축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