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Verbal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33초

통합 교육 방법론에 기반한 테이블탑 협업 게임 디자인 (Tabletop Collaborative Game Design based on Inclusive Education Methodology)

  • 임승현;김형년;박지형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61-68
    • /
    • 2014
  • 테이블탑 게임들은 다수가 동시에 인터랙션 할 수 있는 특성을 바탕으로 사용자들 간의 사회성 및 협업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특히, 아동들에 대한 교육 심리학적 모델 및 행동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테이블탑 게임은 사회성이 낮은 장애아동들의 협업 능력을 향상시키는 도구로써 쓰일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테이블탑 협업 게임들은 유사한 수준의 장애아동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통합교육 이론에서 제시하는 인성적 및 인지적인 효과들을 반영하기가 어렵다. 통합교육 환경을 위한 교구로써 테이블탑 게임이 활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비장애아동과 장애아동 모두에게 동등한 몰입도를 보장하고 자발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디자인 요소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통합교육 방법론에 기반하여 인지적 및 사회적 지수가 다른 아동들을 위한 멀티터치 테이블탑 협업게임을 디자인하고 이를 구현한다. 사용자 평가를 통해 기존 통합교육 환경에서 사용되는 게임 도구와의 몰입 수준 및 상호작용 유형을 비교한다. 실험 결과, 장애아동의 자리이탈 및 이상 행동과 같은 부정적인 상호작용이 감소하였고, 아동들 간의 신체적 및 언어적 의사소통과 같은 긍정적인 상호작용 횟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게임을 수행한 아동들이 장애유무와 관계없이 높은 참여 수준과 공통 집중 시간을 보임으로써, 제안된 게임이 아동들의 몰입도를 향상시켰음을 확인하였다.

효능기대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한 운동요법이 자기효능과 대사에 미치는 영향-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xercise Therapy Applied in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Metabolism.- in NIDDM(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Patients -)

  • 김춘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2-142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exercise therapy applied in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based on the self-efficacy theory of Bandura(1977) would increase self-efficacy and metabolism in NIDDM patients.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st The exercise therapy applied in the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was composed of a staged exercise program, a small booklet relating personal experience with diabetes mellitus and a telephone coaching program on performance accomplishment. vicarious experience and verbal persuasion, which are all induction modes of efficacy expect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enty eight NIDDM patients who received follow-up care regularly through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endocrine medicine in one general hospital which had a diabetic clinic. Fourte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fourteen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therapy applied in the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from three to five times per week for four week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X²-test, t-test, paired t-test, and Cronbach's Alpha using SPSS /PC/sup +/.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efficacy score than control group(t=5.98, p=.00).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efficacy score before exercise therapy applied in the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and after in experimental group(t=-6.42, p=.00). 2. Experimental group did not have lower level of glucose metabolism than control group(FBS : t=.32, p=.75, HbAlC : t=.60, p=.55, pc 2hrs. glucose : t=-.29, p=.78).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aunt of glucose metabolism before exercise therapy applied in the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and after in experimental group(FBS : t=3.63, p=.003, HbAlC t=4.20, p=.00, pc 2hrs. glucose : t=1.93, p=.001). 3. Levels of lipid metabolism were partly a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triglyceride t=-1.87, p=.07, HDL cholesterol : t=-.29, p=.77. body weight : t=1.78, p=.09, Total cholesterol : t=-2.17, p=.04). And, There was partly a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amount of lipid metabolism before exercise therapy applied in the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and after in experimental group(triglyceride : t=2.50, p=.03, HDL cholesterol : t=-.43, p=.67, body weight : t=5.34. p=.00, Total cholesterol : t=2.26, p=.04).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exercise therapy applied in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w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increasing self-efficacy and metabolism.

  • PDF

지지간호가 군 요통환자의 우울ㆍ기분ㆍ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upportive Nursing Care on Depression, Mood and Satisfaction in Military Patients with Low Back Pain)

  • 김정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24-340
    • /
    • 1990
  • Support has always been considered an important nursing concept. However, there is no agreement among nurse researchers as to a conceptual definition of supportive nursing or meaningful supportive behaviors. Clarification of the concept, support in nursing, is necessary to promote communication among nurses on nursing behaviors that are effective in providing support and on understanding the relevant properties and charcteristics of the concept, supportive nursing car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 1. to analyse the concept, support in nursing, in order to provide a definition of supportive nursing care, and 2. to operationalize the definition of supportive nursing care and use it as an experimental nursing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low back pain. The first part of the study used the concept analysis approach developed by Walker and Avant(1983) to define the concept of supportive nursing care. The properties of supportive nursing care, defined by this analysis, included perception of supportive need, reciprocal interaction(Transaction), listening, providing empathy and information related to health, and confirmation of the patient's verbal and non - verbal response. The second part, the experimental part of the study, was done using King's(1970) Interpersonal Theory for Nursing. The concept, supportive nursing care, as defined in the concept analysis was operationalized and used as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The experiment tested the effectivenes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supportive nursing care on the dependent variables, depression, mood and patient satisfaction, in the patients with low back pain in army hospitals. The instruments used to measure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Zung's(1965) Self- Rating Depression Scale, Ryman and Colleagues'(1974) Mood Questionnaire and LaMonica and Colleagues'(1986) Patient Satisfaction Scale. The experimental design used for this study was a Solomon 4 group experimental design. This design has the strength of allowing for observation of the main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care and pretesting, and for observation of the interaction effects of pretesting and supportive nursing care. The design includes one experimental group and three control grou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0 young male patients with low back pain on Neuro - Surgical Wards in three general army hospitals. There were 35 in the experimental group, 39 in the pre - posttest control group, 36 in the treatment - posttest control group and 40 in the posttest only control group. Supportive nursing care, as operationalized by the researcher according to the concept analysis, was given to the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treatment -posttest control group, individually for 30 minute sessions, every other day for 5 days.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a questionnaire. The data were collected in a pretest one week before the supportive nursing care sessions, a posttest immediately after the sessions and follow- up test one week later. Hypotheses testing was done using 2×2 factorial analysis of variance and Meta analysis(Stouffer's Z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Hypothesis Ⅰ, “There will be a difference on depression level between the patients with low back pain who receive supportive nursing care and those who do not receive supportive nursing care”, was supported (F=8.49, p<.05). 2. Hypothesis Ⅱ, “There will be a difference on mood level between the patients with low back pain who receive supportive nursing care and those who to not receive supportive nursing care”, was supported (Z meta=2.17, p<.05). 3. Hypothesis Ⅲ, “There will be a difference on satisfaction level between the patients with low back pain who receive supportive nursing care and those who do not receive supportive nursing care”, was supported (F=13.67, p<.05). 4. ANOVA, done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 of history and matur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he observations of the pre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pretest scores of the pre- posttest control group and the posttest score of the posttest only control group. 5. To test for continuing effect of supportive nursing care, paired t-test was done to compare the scores for the dependent variables at the posttest and at the one week later follow-up test.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cores for the dependent variables was found between the posttest scores and the follow-up test scores for the two groups that received supportive nursing ca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treatment-posttest control group.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young soldiers with low back pain in army hospitals, their depression level was decreased, their mood state was changed positively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was increased by receiving supportive nursing care. Further,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ive nursing care lasted for at least one week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o nursing is in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supportive nursing care and the demonstr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supportive nursing care as an intervention within the limits of the study.

  • PDF

노인과 로봇은 어떻게 만나는가: 상호작용의 조건과 매개자의 역할 (When Robots Meet the Elderly: The Contexts of Interaction and the Role of Mediators)

  • 신희선;전치형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35-179
    • /
    • 2018
  • 이 논문에서 우리는 노인과 로봇이 만나는 여러 프로그램을 검토하여 노인과 로봇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과 그 사이를 매개하는 제삼자의 역할을 분석한다. 우리는 로봇의 성능을 평가하거나 로봇이 노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대신, 노인과 조우할 때 로봇이 어떤 위치, 환경, 맥락에 놓이는지에 주목한다. 이 논문은 인간-로봇 상호작용의 양상은 로봇의 성능뿐만 아니라, 사전에 마련된 환경과 우연적으로 발생하는 상황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는 관점을 취한다. 이 논문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는 것은 <할매네 로봇>(tvN), <미래일기>(MBC), <공존실험, 로봇 인간 곁에 오다>(JTBC) 등 노인 로봇 실험을 실시한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치매 예방 로봇 '실벗'을 사용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들에서 나타나는 노인과 로봇 사이의 언어적, 비언어적 소통을 분석하여 우리는 대부분의 노인-로봇 상호작용이 노인 한 명과 로봇 한 대 사이의 직접 상호작용이 아니라, 노인이 아닌 제삼의 행위자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매개된 상호작용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매개자는 노인-로봇 상호작용에서 일시적이고 부차적인 역할을 맡았다가 바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노인과 로봇의 관계를 시작하고 유지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매개자들은 노인과 로봇의 만남을 주선하거나 상호작용을 촉발하고, 그것을 관찰하면서 적절한 때에 언어적으로 개입하여 둘 사이의 관계를 중재하고, 때로는 물리적으로 로봇의 행동을 보조하여 노인-로봇 상호작용의 실패를 막아낸다. 우리는 매개자의 존재와 역할에 주목함으로써 노인-로봇 관계만이 아니라 일반적인 인간-로봇 관계를 더 잘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인간-로봇의 일대일 관계가 아니라 인간-로봇-인간 사이의 다자 구도와 그를 둘러싼 맥락을 고려함으로써 기존의 공학적, 의학적, 사회과학적 접근을 보완하고 로봇의 개발, 활용, 평가에 대한 유용한 관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외상에 노출된 소방관들의 뇌 구조 및 휴식기 뇌기능 변화: 예비 결과 (Structural and Resting-State Brain Alterations in Trauma-Exposed Firefighters: Preliminary Results)

  • 박예원;전선영;노주환;정석종;한상훈;이필휴;김창수;이승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676-687
    • /
    • 2020
  • 목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이하 PTSD)가 없는 외상에 노출된 소방관들에서 뇌 구조의 변화와 휴식기 뇌기능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모든 피험자는 휴식기 기능 뇌자기공명영상(resting-state functional MRI; 이하 rsfMRI) 검사를 시행하였다. PTSD가 없는 40세 이상의 31명의 소방관(31명, 평균 연령, 49.8 ± 4.7세)이 포함되었다. 26명의 외상을 받지 않은 건강한 대조군(26명, 평균 연령, 65.3 ±7.84세)도 포함되었다. Voxel-based morphometry 분석을 시행하여 뇌 해부학상의 국소적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휴식기 뇌기능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seed-based functional connectivity analysis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서울언어학습결과(Seoul Verbal Learning Test)의 평균 z 값을 비교했을때 소방관은 건강한 대조군에 비해 즉각회상(immediate recall), 지연 회상(delayed recall), 통제단어연상검사(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이하 COWAT)의 동물(animal)과 음소(phonemic) 항목에서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신경인지 기능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관은 좌위마루이랑(left superior parietal gyrus)과 좌하관자이랑(left inferior temporal gyrus)의 회색질 부피가 건강한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다. 소방관은 방추향이랑(fusiform gyrus)과 소뇌(cerebellum) 등을 포함한 여러 부위에서 rsfMRI 값의 변화를 보였다. 결론 구조적 뇌 및 휴식 상태 기능 이상은 외상에 노출된 소방관의 변화를 확인하는 데 유용한 이미징 바이오 마커일 수 있다.

저산소증을 동반하지 않는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의 인지기능장애 (Cognitive Dysfunction in non-hypoxemic COPD Patients)

  • 김우진;한선숙;박명옥;이승준;김성재;이정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5호
    • /
    • pp.382-388
    • /
    • 2007
  • 연구배경: 저산소증을 동반한 COPD 환자에서 인지기능 장애를 보이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저산소증이 없는 COPD 환자에서의 인지기능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또한, COPD 환자는 수면장애를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저산소증이 없는 COPD 환자들의 인지기능을 평가하고, 인지기능 장애를 가진 COPD 환자들에서 수면장애가 얼마나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방 법: 90% 이상의 동맥혈 산소 포화도를 가진 28명의 COPD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환자의 평균 나이는 70.7세였다. 대조군은 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한 33명의 건강성인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의 평균 나이는 69.5세였다. 모든 환자 및 대조군은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CERADK)를 이용하여 신경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결 과: COPD 환자군은 단어목록회상(p=0.03)과 단어목록재인(p=0.006) 항목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9명의 환자에서 유의미한 인지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중 7명의 환자에서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한 결과, 5명의 환자에서 시간당 5회 이상의 apnea-hypopnea index를 보였다. 7명의 환자에서 동맥혈 산소 포화도 감소 지수 및 평균 사지 운동 지수는 각각 3.6/시간과 38.6/시간이었다. 결 론: 이 연구는 저산소증이 없는 COPD 환자에서 언어기억 장애를 가진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렇게 인지기능 장애를 가진 COPD 환자들이 수면장애를 동반하고 있어 이에 관한 추가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의복과 외모를 근거로 한 미국여대생 클럽회원 선택결정과 물질주의성향, 패션의복관여도, 의복의 자아근접성에 관한 연구 (Materialism, Fashion Clothing Involvement, Proximity of Clothing to Self, and US Sorority Member Selection Based On Clothing and Appearance)

  • ;김소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1857-1865
    • /
    • 2008
  • 본 연구는 미국여대생 클럽의 신입회원 선택시 정규회원들의 개인특성이 어떻게 지원자들에 대한 첫인상형성과 선택결정에 관련되는지를 조사하는데 있다. 문헌조사를 통해서 여대생 클럽회원의 첫인상형성과 선택결정 에 관련될 것으로 기대되는 개인특성 변수로는 물질주의성향, 패션의복관여도와 의복의 자아 근접성이 선정되었다. 이외에 회원들의 클럽소속기간, 클럽활동 참여수준, 그리고 클럽만족도가 부가변수로 조사되었다. 연구대상은 미국여대생 클럽에 소속된 회원 140명이었고 설문지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요인분석, 상관관계, 부분상관관계와 ANOVA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의복의 자아근접성은 요인분석결과 의복의 개인성격 반영성향과 타인의식과 사회수용을 위한 의복사용성향의 두 요인으로 나눠졌다. 지원자의 의복과 외모를 근거로 선택평가를 하는 경향은 회원들의 클럽소속기간, 클럽활동 참여수준, 그리고 클럽만족도와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지원자들의 의복과 외모를 근거로 한 선택경향은 참여자들의 개인특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물질주의성향과 패션의복관여도가 높을수록 참여자들은 회원지원자들의 선택여부를 그들의 의복과 외모에 따라서 결정을 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회원지원자들의 의복과 외모를 기준으로 한 선택경향은 참여자들의 의복의 자아근접성이 높을수록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즉, 의복이 본인의 개인성격을 반영한다고 믿는 참여자들과 타인의식과 사회수용을 위해서 의복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는 참여자들은 클럽회원 지원자들의 선택여부를 그들의 의복과 외모에 따라서 결정을 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판정되었다. 일반적으로 타인의 의복과 외모를 근거로 첫인상을 형성하는 경향이 높은 참여자들은 클럽의 신입회원 선택시에도 지원자들의 의복과 외모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상관관계를 통해 다른 변수의 역할도 조사하였다.

수용자 반응 중심의 광고비평과 커뮤니케이션 실효성 - KT&G TV광고 텍스트를 중심으로 - (Advertisement Criticism through Audience Response and Communication Efficacy - focused on KT&G TV-CM text -)

  • 이현우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5호
    • /
    • pp.233-242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용자의 반응을 통해 광고텍스트의 커뮤니케이션 실효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KT&G TV광고를 사례로 질적인 접근을 했다. 또한 연구대상 광고 수용자의 특성과 세부적인 연구방법을 논의하고 집단 심층면담과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작성된 의미기술문과 출현주제를 광역주제로 통합하고 이를 차원화한 다음 애매한 광고 텍스트의 해독 코드, 수용자의 텍스트에 대한 반응 등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연구대상 광고텍스트의 해독에 있어 수용자들은 (1) 언어 (2) 시각 (3) 기술 (4) 수사 등의 다양한 해독 코드와 (1) 언어 (2) 거시 (3) 스키마 (4) 비언어 (5) 사회-문화 등의 복합적 수용요인을 비판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광고 수용자들은 인지, 판단, 감정, 행동 차원에서 상이한 해독 전략을 활용하고 있었는데, 전략적 애매성은 인지적 차원에서 그 실효성이 가장 크게 나타나고 수용자의 인지, 감정, 행동의 모든 단계에 걸쳐 효과를 발휘하기에는 한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질적인 방법에 치중한 본 실증연구의 한계는 보다 심층적인 계량적-질적 연구를 통해 보완되어야 함을 제언했다.

  • PDF

정서가 및 각성수준에 대한 자가 평가 마네킹 척도개발 및 표준화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Modified Self-Assessment Manikin for Emotional Valence and Arousal Manikin)

  • 강은호;최정은;함병주;석정호;이경욱;김원;이승환;임현국;박영민;양종철;안미경;이재선;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3-118
    • /
    • 2011
  • Objectives : The Self-Assessment Manikin (SAM) developed by Bradley and Lang is a non-verbal pictorial assessment tool that measures human emotion and has been widely used. However, the pictures in SAM have not been easy for Korean subjects to understand or relate to. The authors developed a new manikin (Emotional Valence and Arousal Manikin, EVAS) modeling it after Korean faces while modifying and standardizing the SAM. Methods : Forty-one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rate the emotional valence and level of arousal using both the SAM and EVAS after being exposed to pictures of facial expressions for affective neurosciences-Korean version.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EVA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VAS and SAM were examined. Resuts : Internal consistencies of the valence using the EVAS were from 0.63 (surprise) to 0.82 (happiness) and those of the arousal were from 0.90 to 0.95.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valence and arousal between the SAM and EVAS were from 0.61 (both surprise and disgust) to 0.84 (neutral) and from 0.82 (sadness) to 0.94 (fear), respectively. Conclusions : We developed a new manikin (the EVAS) for the Korean population modifying and standardizing the SAM. The EVAS demonstrated a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As such, i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human emotion research.

승용차 영상광고에 나타난 색채적용 분석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about Color Image Analysis Shown in Automobile Video Advertisement)

  • 강민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7호
    • /
    • pp.147-161
    • /
    • 2009
  • 색채는 디자인 요소에 있어서 감각적이며 감성적인 동시에 시각적으로 우선시 되는 비언어적 상징이기도 하다. 제품의 선택에 있어서 소비자에게 우선되어지는 중요한 요소이고, 브랜드에 있어서 차별화된 전략 및 일관된 통합성을 주는 상징이 되기도 한다. 광고에서 색채는 장기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identity) 측면뿐만 아니라 제품의 이미지와 광고의 컨셉을 표현하는 중요한 도구이다. 본 논문의 주제는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발전을 위해 승용차 영상광고의 주도적 색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0cc급이하 경 소형승용차 광고의 색채적용은 명도와 채도가 높고 밝은 분위기로 권위보다는 개인의 개성을 중시, 파스텔조의 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00cc급 이상의 중 대형승용차 광고는 전반적으로 명도와 채도가 낮고 어두운 색채가 대세를 이루고 있는 경향을 볼 수 있다. 경 소형승용차 광고는 실용적 가치를 중시하는 제품외형에 초점을 맞추었고, 중 대형승용차 광고는 상징적 이미지에 초점을 맞추어 광고표현을 하는 차이를 느낄 수 있다. 광고에 사용되는 색채는 곧 소비자의 감성을 대변하는 것이다. 영상광고에서 소구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서, 또한 어떤 상품이냐에 따라서 색채의 컨셉이 설정이 되어야 하며, 또 그에 따른 색채에 의한 감성을 파악하여 광고 전략에 맞게 활용될 때 브랜드와 제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