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ActiveX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3초

Toluene의 생물학적 분해능 향상을 위한 계면활성제의 선정 (Surfactant Selection for the Enhanced Biological Degradation of Toluene)

  • 김용식;손영규;김지형;송지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4호
    • /
    • pp.26-32
    • /
    • 2005
  • 계면활성제는 소수성 물질(톨루엔)의 물질전달율을 증가시켜 미생물이 있는 액상으로 잘 녹아들어가게 함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분해를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계면활성제가 존재할 때 톨루엔의 물질전달율과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용한 계면활성제는 다음과 같다: Sodium Oodecyl Sulfate (SOS), TritonX-100, Tween 80, BYK-345 (silicone 계면활성제). 실험결과에 따르면 BYK-345는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에서 톨루엔의 용해도를 증가시켰다. 하지만, SDS와 TritonX-100는 CMC에서 톨루엔의 용해도를 증가시키지 못했다. 증류수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면 증류수만 있는 경우보다 톨루엔의 물질전달율$(K_La)$이 증가했다. 톨루엔 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회분식 실험에서 SOS는 톨루엔의 분해를 감소시켰다. 그 이유는 SDS가 미생물에 독성을 미쳤기 때문일 수도 있고, 기질로서 이용되어서 톨루엔과 경쟁관계에 놓였기 때문일 수도 있다. BYK-345를 계면활성제로 사용한 실험에서도 톨루엔의 분해가 감소했는데 이것은 BYK-345가 미생물의 활성도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하지만, TritonX-100 와 Tween 80의 경우에는 톨루엔의 분해가 크게 감소하지 않았다. 낮은 농도의 TritonX-100의 경우에 오히려 톨루엔의 분해는 증가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통해 톨루엔의 생물학적 분해를 위해 가장 적절한 계면활성제는 TritonX-100임을 알 수 있었다.

새로운 2-(4-(6-chloro-2-benzoxazolyloxy)phenoxy)-N-phenyl-propionamide 유도체들의 제초활성에 관한 HQSAR 모델과 높은 활성 화합물의 예측 (Molecular Holographic QSAR Model on the Herbicidal Activities of New Novel 2-(4-(6-chloro-2-benzoxazolyloxy)phenoxy)-N-phenylpropionamide Derivatives and Prediction of Higher Activity Compounds)

  • 성낙도;김대황;정훈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79-286
    • /
    • 2005
  • 일련의 새로운 기질 분자로서 2-(4-(6-chloro-2-benzoxazolyloxy)phenoxy)-N-phenylpropionamide 유도체들의 구조 변화와 그에 따른 발아 전, 논피 (Echinochloa crus-galli)에 대한 제초활성과의 분자 홀로그래피적(H) QSAR 관계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높은 제초활성 화합물들이 유도된 HQSAR 모델에 의하여 예측되었다. 가장 양호한 HQSAR 모델은 분자조각 크기($7{\sim}10bin$) 조건에서 유도된 모델(VI-1)이었다. 제초활성에 관한 HQSAR 모델(VI-1)은 높은 예측성($r^2_{cv.}$ 또는 $q^2=0.646$)과 상관성($r^2_{ncv.}=0.917$)에 근거하여 양호한 통계값들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HQSAR 기여도로부터 가장 낮은 제초활성은 4-(6-chloro-2-benzoxazolyloxy)phenoxy 고리($pred.pI_{50}=-3.20$)에 의존적이었다. 특히, (X)-phenoxy-N-(R)-phenylpropionamide 유도체의 R=4-fluoro, X=isobutoxy 치환체인 4-isobutoxyphenoxy-N-(4-fluorophenyl)propionamide (P2)는 가장 높은 제초활성($pred.pI_{50}=9.12$)을 나타내는 화합물로 예측되었다.

3D 프린팅 구조물을 이용한 자기주도 학습방법이 방사선학과 학생들에 미치는 교육 효과 (Educational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Using 3D Printing Products on Radiological Science Students)

  • 성열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5-5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영상학 수업에서 3D 프린팅 해부학 구조물을 이용한 자기주도 학습이 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은 4년제 대학교의 방사선학과 2학년의 32명(남자: 20명, 여자: 12명)으로 방사선영상학 교과목을 수강한 재학생들로서 소극적인 학생 그룹과 적극적인 학생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학습방법은 3D 프린팅 해부학적 구조물을 이용한 자기주도 학습으로 진행했으며 학습 전·후로 정량적 학습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학생들의 정성적인 평가를 위해 수업의 흥미도, 만족도 그리고 학습효과(해부학 명칭 암기 용이성, X선 영상 해독력, 해부학 구조물 이해도, X선 촬영법 이해도)에 대해서 5점 리커트 5점 척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개선효과는 평균 65.4%가 향상되었으며 모든 학생들이 모든 변수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특히, 흥미도와 X선 영상 해독력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소극적 학생그룹이 적극적인 학생그룹보다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3D 프린팅 해부학 구조물을 이용한 자기주도 학습이 방사선학과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TRA-NIGHT OPTICAL VARIABILITY OF ACTIVE GALACTIC NUCLEI IN THE COSMOS FIELD WITH THE KMTNET

  • Kim, Joonho;Karouzos, Marios;Im, Myungshin;Choi, Changsu;Kim, Dohyeong;Jun, Hyunsung D.;Lee, Joon Hyeop;Mezcua, Mar
    • 천문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89-110
    • /
    • 2018
  • Active Galactic Nucleus (AGN) variability can be used to study the physics of the region in the vicinity of the central black hol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intra-night optical variability of AGN in the COSMOS field in order to understand the AGN instability at the smallest scale. Observations were performed using the KMTNet on three separate nights for 2.5 to 5 hours at a cadence of 20 to 30 min. We find that the observation enables the detection of short-term variability as small as ~ 0.02 and 0.1 mag for R ~ 18 and 20 mag sources, respectively. Using four selection methods (X-rays, mid-infrared, radio, and matching with SDSS quasars), 394 AGN are detected in the $4deg^2$ field of view. After differential photometry and ${\chi}^2$-test, we classify intra-night variable AGN. The fraction of variable AGN (0-8%) is statistically consistent with a null result. Eight out of 394 AGN are found to be intra-night variable in two filters or two nights with a variability level of 0.1 mag, suggesting that they are strong candidates for intra-night variable AGN. Still they represent a small population (2%). There is no sub-category of AGN that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ra-night variability.

여성 구매자의 정보원 활용 유형에 따른 의복관여도 및 쇼핑성향과 의복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othing Involvement, Shopping Orientation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 Usage)

  • 임경복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21-234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effect of clothing involvement and shopping orientations on the usage of information source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clothing involvement, shopping orientation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 usage.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302 females living in Seoul. The datas were analyzed with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OVA, discriminant analysis, and $x^2$-test. The results generat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othing involvement and shopping orientation factors influenced the usage of information source. Among the clothing involvement factors, fashion/clothing involvemen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 Second, according to usage of information sources, female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such as active, nonpersonal, personal, and non-active information source usage group. Fashion/clothing involvement was the most significant involvement factor to divide four groups. Third,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only age was the useful factor which can differ the usage of information source. For example, 30s' were more active than other groups, on the other hand 50s' use personal information source more than other groups. Therefore, marketer should blow consumer's clothing involvement and shopping orientation which are effective to the usage of information source, and use this knowledge on the advertising and marketing plan.

  • PDF

Cu/CeO2 촉매의 구조적 특성이 일산화탄소 저온 산화반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u/CeO2 Catalyst on the Low-Temperature Oxidation of Carbon Monoxide)

  • 김민수;최경륜;김세원;홍성창
    • 청정기술
    • /
    • 제26권4호
    • /
    • pp.286-292
    • /
    • 2020
  • 본 연구는 Cu/CeO2-X 촉매의 저온 CO 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촉매의 구조적 특성, 반응 특성을 통해 확인하였다. 사용된 촉매는 습윤 함침법으로 제조되었으며, 각기 다른 소성온도(300~600 ℃)에서 형성된 CeO2 (지지체)를 이용하여 Cu (활성금속)를 담지함으로써 Cu/CeO2-X 촉매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Cu/CeO2-X 촉매는 저온 CO 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125 ℃에서 Cu/CeO2_300 촉매는 90% 이상의 활성을 나타냈으며, CeO2의 소성온도가 증가됨에 따라 활성이 점차 감소하여, Cu/CeO2_600 촉매는 65%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촉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Raman, BET, XRD, H2-TPR, XPS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XPS 분석 결과, CeO2-X의 소성온도가 낮을 수록 불안정한 Ce3+ 종(비 화학양론 종) 비율이 증가하였다. 증가된 Ce3+종은 Cu와 결합함으로 써 치환결합을 형성하였으며 Raman 분석의 CeO2 peak 변화와 H2-TPR 분석의 치환결합 구조의 환원 peak를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Cu와 CeO2의 치환 결합 형성은 촉매의 redox 특성 및 저온 CO 산화 활성을 증진시켰다고 판단된다.

퇴행성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진통제 평가를 위한 임상시험자료의 GEE 분석 (Analysis of Repeated Measured VAS in a Clinical Trial for Evaluating a New NSAID with GEE Method)

  • 임회정;김윤이;정영복;성상철;안진환;노권재;김정만;박병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7권4호
    • /
    • pp.381-389
    • /
    • 2004
  • Objective : To compare the efficacy between SKI306X and Diclofenac by using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GEE) methodology in the analysis of correlated bivariate binary outcome data in Osteoarthritis (OA) diseases. Methods : A randomized, double-blind, active comparator-controlled, non-inferiority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at 5 institutions in Korea with the random assignment of 248 patients aged 35 to 75 years old with OA of the knee and clinical evidence of OA.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if they had at least moderate pain in the affected knee joint and a score larger than 35mm as assessed by VAS (Visual Analog Scale). The main exposure variable was treatment (SKI 306X vs. Diclofenac) and other covariates were age, sex, BMI, baseline VAS, center, operation history (Yes/No), NSAIDS (Y/N), acupuncture (Y/N), herbal medicine (Y/N), past history of musculoskeletal disease (Y/N), and previous therapy related with OA (Y/N). The main study outcome was the change of VAS pain scores from baseline to the 2nd and 4th weeks after treatment. Pain scores were obtained as baseline, 2nd and 4th weeks after treatment. We applied GEE approach with empirical covariance matrix and independent(or exchangeable) working correlation matrix to evaluate the relation of several risk factors to the change of VAS pain scores with correlated binary bivariate outcomes. Results : While baseline VAS, age, and acupuncture variables had protective effects for reducing the OA pain, its treatment (Joins/Diclofenac)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GEE methodology (ITT:aOR=1.37, 95% CI=(0.8200, 2.26), PP:aOR=1.47, 95% CI=(0.73, 2.95)). The goodness-of-fit statistic for GEE (6.55, p=0.68) was computed to assess the adequacy of the fitted final model. Conclusions : Both ANCOVA and GEE methods yielded non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evaluation of non-inferiority of the efficacy between SKI306X and Diclofenac. While VAS outcome for each visit was applied in GEE, only VAS outcome for the fourth visit was applied in ANCOVA. So the GEE methodology is more accurate for the analysis of correlated outcomes.

여과한 하수와 하수원액의 VFAs 측정과 미생물 호흡률 측정법을 이용한 하수의 유기물 분액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rganic Matter Fraction Method of the Wastewater by using Respirometry and Measurements of VFAs on the Filtered Wastewater and the Non-Filtered Wastewater)

  • 강성욱;조욱상
    • 유기물자원화
    • /
    • 제17권1호
    • /
    • pp.58-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하수 내에 존재하는 유기물과 미생물량 분액을 위해 미생물 호흡률 측정기(Respirometer)를 구동하여 미생물에 의한 산소 섭취율(OUR : Oxygen Uptake Rate)을 측정하고, CG-FID 혹은 LC를 활용하여 VFAs(Volatile Fatty Acids)를 측정하였다. 유기물은 IAWQ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Water Quality)의 ASM(Activated Sludge Model)에서 명시된 유기물 분류법에 따라 분액 하였으며, ASM 중에서도 ASM No.2d를 기초하여 분액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슬러지를 첨가하지 않은 하수 원액의 미생물 호흡률 측정과 더불어 기존의 방법과는 다르게 여과한 하수의 미생물 호흡률 측정과 VFAs 측정을 수행하여 하수에 포함된 유기물량을 추정하였다. 이는 기존의 하수 원액을 이용한 미생물 호흡률 측정 방법에 있어 천천히 생분해되는 용존성 유기물질(S_S)에 의한 산소섭취율과 천천히 생분해되는 입자성 유기물질(X_S)에 의한 산소섭취율이 동일 그래프 안에 형성되어 정확하게 구분되지 못하는 단점과 슬러지 세척으로 인한 실험의 오차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또한 용존성 난분해 COD(S_I)을 측정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미생물 호흡률 측정 과정에서 그래프의 변화를 보고 정확한 용존성 난분해 COD(S_I)의 측정 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여과한 하수를 대상으로 미생물 호흡률 측정과 VFAs 측정을 통하여 추정한 유기물 분액 결과 용존성 난분해 COD인 S_I는 $12.2g/m^3$로 Total $COD_{Cr}$ 기준으로 6.9%, 발효 부산물인 S_A는 $24.76g/m^3$로 Total $COD_{Cr}$ 기준으로 14.1%, 발효 가능한 유기물질인 S_F는 $58.54g/m^3$로 Total $COD_{Cr}$ 기준으로 33.2%, 천천히 생분해되는 입자성 유기물질인 X_S는 $61.1g/m^3$로 Total $COD_{Cr}$ 기준으로 34.7%, 입자성 난분해 COD인 X_I는 $10.2g/m^3$로 Total $COD_{Cr}$ 기준으로 5.8%로 추정되었다. 종속영양 미생물량인 X_H는 $9.3g/m^3$로 Total $COD_{Cr}$ 기준으로 5.3%로 추정되었다.

  • PDF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LiCoC2)의 표면처리의 특성 분석 및 전기화학적 특성 고찰 (Analyses on the Phys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Al2O3 Coated LiCoO2)

  • 장윤한;최세영
    • 전기화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4-189
    • /
    • 2007
  • 전자 산업의 발전과 함께 휴대폰, 노트북, PDA등과 같은 휴대 정보 전자 기기의 고성능 에너지 공급원으로서 이차전지 산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리튬이차전지의 핵심부품인 양극재료의 고성능화 및 안전성 확보에 대해 많은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양극재료에는 $LiCoO_2,\;LiMn_2O_4,\;LiNi_xCo_yMn_zO_2,\;LiNi_xCo_yM_zO_2$ (M=Al, Zr, Mg 등) 등이 있으며, 그중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질은 $LiCoO_2$이다. 그러나 $LiCoO_2$가 가지고 있는 용량적 한계 및 안전성 문제로 인하여 $LiCoO_2$의 성능 개선 및 3성분계, 올리빈계와 같은 대체물질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특히 산화물($M_xO_3$)을 이용한 활물질 표면처리와 같은 성능개선 및 안전성 확보연구는 국내 및 국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iCoO_2$의 표면처리 과정에서 불균일 코팅된 산화물의 탈리 및 이의 응집에 의한 침전물 생성 및 표면처리량의 증가에 따른 전지에서의 부작용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코팅량 조정 및 표면처리 공정의 혼합, 건조, 소성 조건 등과 같은 신공정에 대한 연구와 전기화학적 특성 고찰을 실시하였다.

여고생의 캐주얼 의류 상표충성도에 관한 연구-상표식별력 및 자기 이미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igh School Girl's Brand Loyalty in Casual Wear-Focus on the Brand Discernment and Self-image-)

  • 김용덕;신수연
    • 복식
    • /
    • 제39권
    • /
    • pp.125-138
    • /
    • 1998
  • In order to help apparel manufactures and marketers to promote apparel products more efficiently, and aid them in instilling brand names or brand images more distinctively in the minds of target consumers, it is the intent of this study (1) to investigate on the high-school girls brand loyalty and the brand discernment, self image(product image), and the buying behavior of casual wear. The subjects were 532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from the four high schoo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T-test, x2-test, and correspondence analysis. (1) 29.1% of the female students were cat-egorized as the brand loyalty group that was smaller than the non-brand loyalty group(70.9%). (2) In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graphic factors and the brand loyalty, th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the month-ly personnel expens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Namely, higher household income and the monthly personnel expens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Namely, higher household income and the monthly personnel expenses there were, higher the brand loyalty was revealed. (3) The power of discern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brand loyalty. That is, the brand loyalty group was more outstanding than latest fashion brands, the high-price brands, and the better-style brands in terms of design, color, and fabric. (4) The self imag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brand loyalty, Wher-eas the brand loyalty group preferred the unique, high-quality, sexy, and active self-images, non-brand loylty group revealed to prefer the non-noticeable and feminine self-imag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assist apparel manufactures and marketers in better identifying the target market, and in subsequently adjusting their products, brand image, and promotional activities in order to reach the target market more efficient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