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ite scavenging ability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37초

오미자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on))

  • 김좌숙;최선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5-42
    • /
    • 2008
  • To develop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Omija extracted with water was evaluated on antioxidative activity. Omija, high acid material with pH 3.6, contain $57.5{\pm}1.03%$ of moisture, and $18.8{\pm}0.12%$ of crude fat. This material have $12.6{\pm}0.04%$ of carbohydrate and $11.1{\pm}0.07%$ of crude protein as well, but ash an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found less than 10%. 10 mineral contents were also found, too; K and Ca showed the highest level, then Al, Mg, Na and Mn were followed. In composition amino acid contents, glutamic acid took the largest portion, $131.7{\pm}1.3$ mg/100 g, aspartic acid $51.5{\pm}0.6%$, and other composition amino acid under 50%. In case of free sugar contents, 7 types were found. Most of them were glucose and fructose. Total phenolic compounds showed the highest level, $2,862.6{\pm}31.7$ mg/100 g. $197.8{\pm}14.6$ mg/100 g of flavonoid and $225.6{\pm}18.2$ mg/100 g were included. In terms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radical scavenging ability activated as the amount of Omija extract increased. In particular, Omija extract in 1,000 ${\mu}g/m{\ell}$ demonstrated almost similar electron donating ability, $72.4{\pm}0.21%$, to BHT. It was also found that antioxidant activities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SOD-like abil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were highly promoted as Omija extract concentration increased.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significant when the extract belonged to strong acid region and doping concentrations increased.

당귀와 승검초의 기능성 성분과 아질산염 소거능 (Effective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Root and Leaves a Angelica gigas Nakai)

  • 정선우;김향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6호통권96호
    • /
    • pp.957-965
    • /
    • 2006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usability of Dangui (Angelica gigas Nakai, Root) and Seungumcho (Angelica gigas Nakai, Leaf) as functional food in aspects of their functional componen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alysis of proximate composition showed that Dangui contains more moisture, crude lipid and crude protein than Seungumcho. On the other hand, Seungumcho contains more than twice mont of crude ash and crude fiber than Dangui. Dangui showed higher contents in phosphorus, iron, magnesium, and Seungumcho showed higher contents in copper, calcium, sodium, potassium compare to each other. Substances such as calcium, magnesium and iron that showed high contents in Dangui and Seungumcho are the most important inorganic substances. Total dietary fiber(TDF) of Dangui, sum of IDF and SDF, was 24.2%, and Seungumcho showed 28.18%. vitamin C contents of a 29.690.33 mg/100g appeared only in Seunggumcho. Total phenol contents of Dangui was 0.100${\pm}$002% and that of Seungumcho 0.0900${\pm}$008%. N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both water soluble and methanol soluble extracts were more than 90% at pH 1.2, and it decreased as pH level adjusted to pH 4.2, pH and 6.0.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에 따른 볶음 새송이버섯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 in Quality Properties of Extracts from Roasted Pleurotus eryngii by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

  • 윤성란;이명희;김현구;이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32-739
    • /
    • 2006
  • 볶음처리한 새송이버섯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 즉 에탄올 농도, 추출시간 및 마이크로웨이브 power에 따른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및 pH 1.2에서의 아질산염소거능은 50% 에탄올로 추출한 경우 높게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75% 에탄을 농도로 추출하였을때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분 및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7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은 추출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OD유사활성 및 아질산염소거능의 경우추출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웨이브 power 의 경우 100 W로 추출하였을 때 가용성 고형분,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 및 전자공여능 가장 높게 나타났다. SOD 유사 활성은 25 W일 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아질산염 소거능은 마이크로웨이브 power에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유 발효추출물의 항세균 및 항산화 활성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io-fermented Sanguisorbae Radix Extract)

  • 길기정;도은수;장준복;이승현;유지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9-35
    • /
    • 2015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io-fermented Sanguisorbae Radix extract.Methods : The Sanguisorbae Radix extract was fermented byStreptococcus thermophilus,and their products was tested for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namely,Bacillus cereus,Bacillus subtilis,Staphylococcus aureus,Escherichia coli,Vibrio parahaemolyticusandSalmonella typhimuriumby paper disc diffusion method an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 was evaluated by five different assays as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superoxide dismutase(SOD)-like activity,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Results : The bio-fermented Sanguisorbae Radix extract was safe from heat. Antibacterial activity of fermented Sanguisorbae Radix extract appeared relatively highly againstBacillus cereusandStaphylococcus aureusand didn't show any difference. EDA in comparison to Vitamin C showed over 90% activity at about the same time of Sanguisorbae Radix extract expressed highly. SOD activity showed 15% in fermentation before and after.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anguisorbae Radix extract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showed higher numerical value over 70% in pH 2.5 than that of butylated hydroxytoluene(BHT). But SOD activity, EDA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Sanguisorbae Radix extract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Total polyphenol content expressed over about 20 mg/g, and that of the Sanguisorbae Radix extracts was increased than that of the fermented Sanguisorbae Radix extracts.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e usefulness of developing functional materials using antioxidant active Sanguisorbae Radix extract was fermented bySalmonella typhimuriumwith high polyphenol conten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공정에 의한 만가닥버섯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Activities of Microwave-Assisted Extracts from Lyophyllum ulmarium)

  • 김현구;최윤정;정승원;김공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85-390
    • /
    • 2002
  • 마이크로웨이브 추출(MAE)을 이용하여 만가닥버섯을 물, 50% 에탄올, 99% 에탄올로 추출하였으며 마이크로웨이브의 power와 시간에 따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 작용(EDA), tyrosinase 저해작용, 아질산염 소거작용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Microwave power를 60∼120 W로 증가시킴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만가닥버섯의 전자공여능이 90 W에서 평형에 이른 반면에 tyrosinase 저해능은 90 W 이상에서 급격히 증가하였다. 50% 에탄을 추출물과 99% 에탄을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microwave power를 증가시킴에 따라 확연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H 1.2에서 99% 에탄을 추출물은 물 추출물에 비해 약 5배 정도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추출시간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을 살펴본 결과 물 추출물의 경우 추출시간 5분에서 평형에 이르렀다. 전자공 여능은 5∼10분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다가 10분에서 평형에 이르렀으며 물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능은 microwave power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나무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thanol Extract from Phyllostachys bambusoides)

  • 임진아;나영순;백승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06-310
    • /
    • 2004
  • 본 연구는 왕대나무 줄기의 생리황성 및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왕대나무 줄기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왕대나무 줄기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RC_{50}$)은 $116.75\;{\mu}g/mL$로 나타났고 SOD 유사활성은 추출물(0.92 mg/mL)을 첨가하였을 때 43.88%로 가장 높게 관찰되었으며,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력은 추출물($50\;{\mu}g/mL$)을 첨가하여 TBA값을 측정한 결과 배양시간 4일과 6일 경과 후 각각 74.76%, 54.48% 감소율을 보임으로써 효과적인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추출물(0.2 mg/mL)을 첨가하였을 때 pH 1.2 조건에서 43.0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왕대나무 줄기의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아질산염 소거능이 있는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왕대나무의 항산화 효과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는 원인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쑥갓 스테롤배당체의 아질산염소거작용 및 SOD 유사활성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SOD-like Activity of a Sterol Glucoside form Chrysanthemum coronarium L. var. spatiosum)

  • 조민정;박미정;이흠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7-82
    • /
    • 2007
  • 쑥갓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쑥갓 총 메탄올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가지고 있는 총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클로로포름, n-부탄올 및 물 분획물을 제조하여 각각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pH가 1.5일 때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의 $IC_{50}$값은 39ppm으로 가장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보였으며,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IC_{50}$값이 15ppm과 36ppm일 때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양성대조군인 chlorogenic acid와 동등한 소거작용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활성을 나타낸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silica gel 컬럼크로마토그래피와 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획의 활성성분인 compound I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compound를 $^{1}H-NMR$$^{13}C-NMR$ spectral data를 통하여 구조를 동정한 결과 compound I은 ${\beta}-sitosterol-O-{\beta}-D-glucoside$임을 확인하였다. Compound I과 그 aglycone인 ${\beta}-sitosterol$의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IC_{50}$값이 pH 1.5에서 각각 15ppm과 36ppm일때 compound I의 $IC_{50}$값이 335ppm, ${\beta}-sitosterol$$IC_{50}$값이 41ppm으로 가수분해된 aglycone이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훨씬 높았다. SOD 유사활성의 경우 vitamin C와 chlorogenic acid의 $EC_{50}$ 값은 38ppm, 449ppm으로 이와 비교시 ${\beta}-sitosterol$과 배당체의 $EC_{50}$ 값은 1,291ppm과 2,000ppm 이상으로 나타났다.

한국 전통 한 그릇 음식(비빔밥) 및 그 재료들의 항산화성과 아질산염 소거능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Materials in a Traditional One-dish Meal (Bibimbab))

  • 김업식;윤혜경;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77-683
    • /
    • 2004
  • 한국 전통 한 그릇 음식인 비빔밥에 들어가는 재료로 호박(squash), 참취(frugrantedible wild aster), 표고버섯(shiitake mushroom, Cortinellus shiitake), 고사리 (roots of ballonflowers, Platycodongroundiflourum), 도라지(fornbraber) 및 당근(carrot)을 생시료, 간단 조리 및 양념 조리 한 것의 ethanol 추출물에 대한 DPPH 수소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사람의 소화기관 환경과 유사한 $pH\;1.2\~3.0$(위 환경)과 pH 6.0(장 환경)에서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소공여능은 생시료, 간단조리, 및 양념조리 모두 참취가 월등히 높았고, 그 다음이 표고버섯이었다. 전반적으로 간단조리시나 양념 조리함으로써 항산화성이 향상되었다. 비빔밥을 한 그릇 음식인 김밥 및 햄버거와 비교했을 때 비빔밥>김밥>햄버거의 순으로 비빔밥의 항산화성이 월등히 높았으며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p<0.05). 아질산염 소거능을 사람의 소화기관 환경과 유사한 $pH\;1.2\~3.0$(공복 시 및 비공복시 위 환경)과 pH 6.0(장 환경)에서는 비빔밥 재료들의 생시료, 간단조리 및 양념조리 시 시료간에 유의적 차가 없었으나(p<0.05), 생시료보다 간단조리나 양념조리 경우 아질산염 소거능이 약간 향상되었으며 공복환경(pH 1.2)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특히, 참취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우수하였다. 장 환경에서 시료간 조리방법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위한경보다 낮게 측정되었고 비빔밥을 김밥이나 햄버거와 비교시 비빔밥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위 환경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유자 용매추출물의 전자 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NDMA 생성 억제능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Nitrite Scavenging Ability and NDMA Formation Effect of Solvent Extracts from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 이수정;최선영;신정혜;서종권;임현철;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7-243
    • /
    • 2005
  • 유자를 과육과 과피로 분리하여 methanol, ether, ethylacetate 및 물로 추출하며 전자 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NDMA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였다. 유자 과육 추출물의 경우 10 mg/ml이상 첨가시 ether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서 $50\%$이상의 전자 공여능을 나타내었다. 과피 메탄올 추출물을 40 mg/ml 첨가시에는 BHA 및 ascorbic acid의 효능과 유사한 수준인 $99.2{\pm}0.37\%$의 전자 공여능이 나타났다. pH 1.2에서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1mg/ml 첨가시 $4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시료량이 증가할수록 상승하였다. 또한 과육보다는 과피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이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자 과육 추출물의 NDMA생성 억제 효과는 메탄을 추출물을 pH 1.2의 반응 용액에 40 mg/ml 첨가시 $31.7{\pm}1.2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H 4.2 및 6.0의 반응 조건에서는 모든 시료 첨가구에서 $20\%$미만의 억제 효과가 있었다.

여주 품종별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라디칼 소거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Different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L. According to Cultivars)

  • 부희옥;이현화;이장원;황성진;박상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20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the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activities in nine cultivars of Momordica charantia L. (Korea, China, Japan and Philippine native cultivars).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using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16.82 ${\mu}g/m{\ell}$) measured in the native Korea cultivar, and this value was 4.0 ${\mu}g/m{\ell}$ higher than that of the 'Verde Beuhas' cultivar (12.82 ${\mu}g/m{\ell}$). The 'Peacock' cultivar had the highest total flavonoid amount which was 4.38 ${\mu}g/m{\ell}$.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DPPH method was the highest in the native China cultivar ($RC_{50}$ = 102.6 ${\mu}g/m{\ell}$).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ccording to cultiva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eacock'. Nitrite scavenging ability showed the most remarkable effect at the pH 1.2, exhibited to 81.5${\sim}$86.9% by addition of ethanol extract 1${\mu}g/m{\ell}$ from Momordica charantia L.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mordica charantia L. had the potent biological activities, and that their activities exhibited differently depending on cultiv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