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ecosystem survey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34초

Current status of alert alien species manage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proactive management systems in Korea

  • Son, Seung Hun;Jo, A-Ram;Kim, Dong E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4호
    • /
    • pp.237-254
    • /
    • 2021
  • Background: Some of the introduced alien species introduced settle, multiply, and spread to become invasive alien species (IAS) that threaten biodiversity. To prevent this, Korea and other countries legally designate and manage alien species that pose a risk to the environment. Moreover, 2160 alien species have been introduced in South Korea, of which 1826 animals and 334 plants are designated. The inflow of IAS can have negative effects such as ecosystem disturbance, habitat destruction, economic damage, and health damage to humans. To prevent damage caused by the inflow of IAS in advance, species that could potentially pose a risk to the environment if introduced in South Korea were designated as alert alien species (AAS). Results: The designation criteria were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the Conservation and Use of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Regulations on the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AAS and IAS"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The analysis result of risk and damage cases indicated that mammals affect predation, competition, human economic activity, virus infection, and parasite infection. Birds have been demonstrated to affect predation, competition, human economic activity, and health. It was indicated that plants intrude on the ecosystem by competing with native species with their high-population density and capacity to multiply and cause allergic inducement. Interestingly, 300 species, including 25 mammals, 7 birds, 84 fishes, 28 amphibians, 22 reptiles, 1 insect, 32 spiders, 1 mollusk, 1 arthropod, and 99 plants, are included in the list of AAS. Conclusions: AAS designation plays a role in preventing the reduction of biodiversity by IAS in South Korea and preserving native species. Moreover, it is determined to provide considerable economic benefits by preventing socio-economic losses and ecological damage.

Recent Development in Multi-national Marine Ecosystem Surveys along the Antarctic Peninsula

  • Kim, Su-Am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425-431
    • /
    • 2001
  •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the western part of the Atlantic sector is one of the most productive areas in the Southern Ocean.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and krill-dependent predators such as fish, seals, and birds are abundant there, and most krill fisheries have operated in this area since 1970s. The hottest issues for the proper management of krill resources nowadays are to determine total biomass in this area, and to identify environmental forces controlling stock fluctuation. This paper reviews and collates information on ongoing oceanographic activities in the Antarctic Peninsula region concerning these issues. To delineate the status and function of Antarctic krill population in Antarctic marine ecosystems, multinational researches along the Antarctic Peninsula area have been developing recently. Four member states of CCAMLR (Japan, Russia, UK, and USA) had conducted acoustic surveys in January-February 2000 (socalled CCAMLR-2000 survey), and krill standing stock at 120 kHz was estimated to be 44.29 million metric tonnes in the western Atlantic sector of the Southern Ocean. On the other hand, the Southern Ocean GLOBEC (SO-GLOBEC) Programme has prepared a serial winter survey to examine the factors that govern krill survivorship and distribution in relation to shelf circulation processes. Ship-based surveys using ice-breakers are being conducted by three nations (Germany, UK, and USA) around the Marguerite Bay during the austral fall and winter 2001 and 2002. In addition to these two large-scale surveys, some CCAMLR members have carried out joint oceanographic surveys near the South Shetland Islands to detect ecosystem changes since 1994. Especially from December 1999 to February 2000, in conjunction with CCAMLR-2000 survey, four nations (Japan, Korea, Peru, and USA) conducted acoustic surveys to produce time-series information on krill distribution and biomass near the South Shetland areas. Though the aims of each program and the approach to solve the scientific questions were different each other, the results from each program fill the gaps between programs. Further cooperation and exchange in these activities could be beneficial to each program.

  • PDF

산림생태계서비스 인식이 친환경행동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하여 (The Effect of the Recognition of Forest Ecosystem Services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정유진;김준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2호
    • /
    • pp.319-329
    • /
    • 2022
  • 본 연구는 산림생태계서비스 인식이 개인의 환경몰입과 환경문제의식을 매개하여 친환경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구조방정식모델을 적용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일반인 대상의 온라인 설문조사로 2019년 4월 11일~2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465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425부(91.4%)를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한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대부분이 산림생태계서비스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산림생태계서비스 인식이 환경몰입, 환경문제의식 두 변수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그 크기는 공급·조절서비스보다 문화서비스의 영향이 더 컸다. 총효과의 크기는 '문화서비스-환경몰입-친환경행동'의 경로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산림생태계서비스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사람에게 친환경행동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문제의식보다 몰입이 효과적으로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림생태계서비스를 중요하게 인식하면서 자연환경과의 몰입 경험이 있을 때 친환경행동의도가 더 높으며 행동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산림생태계서비스 인식과 친환경행동의 관계를 파악하고 선행요인을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전국자연환경조사를 활용한 포유류 서식지 유형의 분류 (The Habitat Classification of mammals in Korea based on the National Ecosystem Survey)

  • 이화진;하정욱;차진열;이중효;윤희남;정철운;오홍식;배소연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2호
    • /
    • pp.160-170
    • /
    • 2017
  •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수행된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포유류 데이터(70,562개)를 활용하여 국내에서 서식하는 포유류의 서식지 유형을 클러스터링하고 서식지 유형에 나타나는 종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야장에 기록된 서식지 유형 중에서 15개의 키워드를 뽑아 재분류하여 포유류 서식지유형을 통계 분석하였다. 서식지 유형 군집분석에서는 30회 이상 기록된 14개의 서식지 유형을 대상으로 비계층적 클러스터 분석(k 평균 클러스터 분석), 계층적 클러스터 분석, 비계량형 다차원척도법을 시행하였다. 2006년에서 2012년까지 전국에서 수집된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를 통해 확인된 포유류는 총 7목 16과 39종이었다. 서식지 유형에 대한 분류는 11개로 클러스터를 분류했을 때 단순구조지수가 가장 높았다(ssi = 0.07). 계층적 클러스터 분석으로 서식지 유형들 간의 유사성과 위계를 확인해 본 결과, 포유류에게는 주거지가 가장 차별된 서식지 유형이었고, 그 다음은 하천과 해안이 병합된 클러스터였다. 비계량형 다차원척도 분석 결과, 포유류에게 가장 차별된 서식지유형인 주거지의 경우 생쥐와 집쥐 두 종이 제한적으로 나타났으며, 해안과 하천의 경우 수달이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포유류의 서식지 유형은 크게 산림을 주요 서식지와 이동경로로 이용하는 산림형과, 물을 주요 서식지로 이용하는 하천형, 주거지 인근에서 서식하는 주거형, 곡류나 씨앗을 주 먹이원으로 하는 저지대형 등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왕피천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육상(비관속 선태식물 및 관속식물) 식물상 (The flora of land plants (bryophytes and vascular plants) in Wangpicheon Ecosystem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ELCA), Korea)

  • 이승혁;안진갑;박승진;김철환;최승세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79-317
    • /
    • 2020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울진군과 영양군에 위치한 왕피천유역 생태·경관보호지역의 비관속 선태식물상 및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여 보전 및 지속가능한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2016년 11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계절별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왕피천유역의 육상식물은 총 164과 455속 698종 10아종 47변종 3품종으로 총 758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이 중 비관속 선태식물은 46과 88속 120종 2변종으로 총 122분류군이며, 관속식물은 118과 367속 578종 10아종 45변종 3품종으로 총 636분류군이였고, 자생식물은 693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13분류군으로 V등급 1분류군, IV등급 6분류군, III등급 31분류군, II등급 38분류군, I등급 37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한반도 고유종은 덕우기름나물을 비롯한 9분류군이며, 희귀식물은 2분류군, 기후변화에 취약한 북방계 15분류군과 남방계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46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전이 필요한 종들을 제시하며, 왕피천 생태경관보전지역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낙동강에 서식하는 뉴트리아(Myocastor coypus)의 식물 먹이 자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nt Diet Resource of Nutria(Myocastor coypus) Habitat in Nakdong-river)

  • 이도훈;이창우;길지현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5호
    • /
    • pp.491-511
    • /
    • 2013
  • In this study, three survey areas in Changnyeong, Miryang and Jinju of the confirmed the habitation of nutria and carried out the performance on the plant diet resource. From the habitat trace survey in the nutria habitat, a total of 336 trace points was shown. There were 181 trace points (54%) confirmed from St. 1 as the highest showing, followed by 52 trace points (15.4%) from St. 2, and 103 trace points (30.6)% from St. 3.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habitat area were a total of 182 taxonomic group with 57 families, 99 genus, 16 hybrids, and 1 race. The vascular plant living types in the habitat area are 1-year plant (Th, Th(w)) for 63class groups (34.6%), hemicryptophyte (H) for 42class groups(23.1%). plants, trees, crop plants were includ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verseas research cases on the diet plants of nutria, there are 195 taxonomic groups in a total of 39 families, 126 genus, 183 breeds, and 12 hybrids. In the study areas, feeding the plants was confirmed by the 7 taxonomic groups, aquatic plant, terrestrial From the total of 182 taxonomic groups discovered in the habitat area, 20 class groups, in 3 habitation region, 10 class groups of commonly appearing 49 class groups were shown to be the breed confirmed for diet in existing case studies, and assuming from it basis, the nutria habitating in the survey area is considered to have the supply of diverse diet resource to have flawless habitation. This is implication of having potential breeding possibility.

식생정보에 기초한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훼손지 유형별 실태조사 (The Survey on Actual Condition Depending on Type of Degraded area and Suggestion for Restoration Species Based on Vegetation Information in the Mt. Jirisan Section of Baekdudaegan)

  • 이혜정;김주영;남경배;안지홍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58-572
    • /
    • 2020
  • 본 연구는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훼손지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훼손 유형별 실태조사를 통해 훼손 정도를 파악하여 훼손지의 복원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리산권역의 훼손실태를 분석한 결과 전체 훼손지의 패치 수는 57개로 확인되었고, 평균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한 지역일수록 훼손지의 패치 수 및 훼손 면적이 더 넓게 나타났다. 훼손 유형은 초지(폐경지)와 경작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농업적 토지이용이 주요 훼손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 14개소의 훼손지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수행한 결과, 훼손 유형은 초지, 경작지, 복원지, 벌채지 및 나지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별 교란정도(일년초 및 이년초의 비율, 도시화지수, 교란율)를 분석한 결과, 초지 및 경작지에서는 대부분 초본류로만 구성된 1층 구조의 단순한 식생구조와 교란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나무 유묘가 다수 식재된 복원지의 경우 2층 구조의 식생구조가 나타났고, 복원사업으로 인한 교란과 인근의 등산로로 인해 귀화식물의 유입이 다른 훼손지에 비해 특히 높게 나타났다. 나지의 경우 고도가 높아 귀화식물의 유입은 낮았지만, 일년초와 이년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조사된 모든 유형의 훼손지는 천이 초기단계로 판단되었다. 훼손 유형별 군락을 서열화한 결과, I 축상의 복원지, 경작지, 초지, 벌채지 및 나지 순으로 나타나 훼손 유형별로 구분되어 배열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훼손 유형별 조사지와 참조생태계의 군락을 서열화한 결과, 종조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생태적 복원 절차에 따라 식생정보에 기초한 훼손 유형별 실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와 함께 참조생태계와의 종조성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복원 목표 및 복원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in the organic carbon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 at Mt. Namsan, Seoul Metropolitan City

  • Lee, Eung-Pill;Lee, Soo-In;Jeong, Heon-Mo;Han, Young-Sub;Lee, Seung-Yeon;Park, Jae-Hoon;Jang, Rae-Ha;Hong, Youg-Sik;Jung, Young-Ho;Kim, Eui-Joo;Lee, Sang-Hun;You, Young-H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4호
    • /
    • pp.341-351
    • /
    • 2019
  • Background: Standing biomass, litter production, rate of litter decomposition, amount of litter on forest floor, and amount of soil organic carbon distribution were investigated from March 2016 to November 2018 in order to evaluate the ecosystem value through organic carbon distribution in the Pinus densiflora forest at Namsan, Seoul Metropolitan City. Results: The amount of organic carbon in the Pinus densiflora forest was 261.09 ton C ha-1 during the research period, and fixed organic carbon in plant through net photosynthesis was 3.2 ton C ha-1 year-1. The organic carbon in plant was 62.77 ton C ha-1 (24.04%), in litter on the forest floor was 3.65 ton C ha-1 (1.40%), and in soil was 194.67 ton C ha-1 (74.56%). The value of plant, litter on forest floor, and soil organic carbon distribution were each 6,277,000 won ha-1, 365, 000 won ha-1, and 19,467,000 won ha-1. The value per ton of fixed organic carbon in plant through net photosynthesis was 320,000 won ha-1 year-1 and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s stored in carbon in the Namsan forest ecosystem was about 26.1 million won ha-1 for 3 year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ine forests of Namsan rapidly decompose leaves due to the high atmospheric temperature and accumulate a large amount of organic carbon in the soil to provide climate control regulatory service function.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전국자연환경조사의 발전방안 - 선진 외국의 사례검토를 중심으로- (Alternatives of the Korean Nationwide Survey on Natural Environments to Promote Biodiversity Conservation)

  • 노백호;정흥락
    • 환경정책연구
    • /
    • 제5권3호
    • /
    • pp.25-56
    • /
    • 2006
  • 2006년부터 5년 계획으로 시작한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를 비롯한 우리나라 자연 환경조사의 실태와 일본, 독일, 미국, 영국의 자연환경조사체계를 비교 검토하였다. 국내 여건을 토대로 선진 외국과 우리나라 조사체계를 비교 검토한 결과, 생물종 중심의 자연환경조사에서 벗어나 서식지, 생태계 및 생태권역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나아가 위성영상이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토지자원의 공간분포를 주기적으로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위성영상은 생물종, 서식지, 생태계 조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야 한다. 조사내용 확대 및 다양한 정보수집을 위해 다방면의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지역주민의 자연환경 보전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자원봉사자의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전국에 걸친 생물종 및 생태계 조사,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물론 자료의 분석 가공을 통해 자연환경정책 수립이나 생물다양성 국제협약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독립된 전문조사기관의 설립이 필요하다. 전문조사기관의 설립을 통해서 물리적인 서식환경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자연환경조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생물다양성에 대한 종합적인 현황파악과 변화예측을 통해 보다 신속 정확한 자연환경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A Stud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 focusing on ecosystem perspectives)

  • 권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39-250
    • /
    • 2018
  •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연령, 교육수준 월소득, 수급여부, 동거기간), 개인체계 요인(한국어 능력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감, 다문화지향성), 가족체계요인(배우자관계만족도, 자녀관계만족도, 부부대화시간, 의사결정 수준), 사회체계요인(사회적지지, 모임참여, 차별경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이용 경험)으로 구분하여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의 결혼이주여성 14,46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체계 요인 즉,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 요인들 모두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개인체계 요인과 가족체계 요인이 생활만족도의 설명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러 요인들 중 배우자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중에서는 소득수준이, 개인체계 요인중에서는 우울감이, 가족체계 요인에서는 배우자 관계만족도가, 사회체계 요인중에서는 사회적 차별경험이 가장 큰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개입이나 증진을 위해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