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Medical Service

검색결과 1,872건 처리시간 0.031초

일부 지역 중·고등학생들이 치과치료공포감 및 치과의사불신감이 치아우식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ntal Treatment Fear and Distrust of Dentists with Dental Caries Experienc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City, Korea)

  • 최성숙;송근배;김한곤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67-373
    • /
    • 2011
  • 본 연구는 중 고등학생들의 치과치료공포감 및 치과의사불신감에 따른 치아우식경험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9년 7월 1일 부터 9월 30일까지 임의 선정된 대구광역시 소재 6개 중학교 1, 2, 3학년과 2개 고등학교 1학년 총 750부를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 한 후 성실하게 답변 하지 못한 30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최종 720부와 치아우식경험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치료공포감의 요인 중 자극반응이 3.42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치과의사불신감은 치과의사에 대한 환자 불신 요인이 3.07점의 평균점수를 보였다. 2.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치과치료공포감과 치과의사불신감이 높게 나타났고, 중학생의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이 높게 나타났다. 3. 치과치료공포수준이 높을수록(p<0.01), 치과의사불신감(p<0.05)이 높을수록 우식경험영구치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4. 치과의사불신감($\beta$=0.393)이 높을수록 치과치료공포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치과진료회피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환자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 및 치과의사불신감을 줄이고 치아우식증 발생률이 감소함으로써 청소년들의 구강건강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거주시설 발달장애인을 위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Occupation Based Grocery Shopping Skill Training Program For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주유미;김대윤;모영호;손성민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43-58
    • /
    • 2017
  • 목적 : 발달장애인의 마트장보기 과제의 독립적 수행을 위해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고 효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최종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입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을 개발한 프로그램에 대해 전문가 내용타당도 평가를 실시한 후 프로토콜을 작성하였다. 이후 발달 장애인 3명에게 소규모 그룹프로그램의 프로토콜을 총 6회기에 걸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훈련 전 후 및 5개월 후 3차례에 걸쳐 The Test of Grocery Shopping Skills (TOGSS)를 통해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3명의 대상자 모두 구매하고자 하는 물건의 항목비교 및 크기비교 수행기술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마트에서 장보는 시간이 훈련 전에 비해 감소되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3명 중 2명의 대상자는 마트 내에서 물건위치 찾기 수행도가 향상되었다. 반면 가격비교는 3명 모두 수행도의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5개월 후 추적평가 시 대상자 2명은 마트장보기 수행기술이 유지되거나 향상된 모습을 보였고, 1명은 훈련효과가 퇴행하여 독립적으로 마트장보기가 불가능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작업 기반 마트장보기 훈련 그룹프로그램은 발달장애인들의 마트장보기 수행 기술 향상에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마트장보기 훈련 프로그램은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고, 전문가 내용 타당도 평가를 거쳐 구체적인 프로토콜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것이 지역사회 작업치료서비스 분야에 필요한 임상적 의의를 지닌다.

만성 알코올 급여 흰쥐에서 보리 추출물 섭취가 Cytochrome P450 효소 조절 및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Modulation of Ethanol-Induced P450 Enzyme Activities and Antioxidants in Mice by Hordeum vulgare Extract)

  • 이유현;이정민;임은정;전우진;조홍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347-135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보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알코올 유도 P450 계열 효소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라디칼 및 중간체의 발생 감소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증강에 의한 보호효과를 연구하였다. ICR mice를 대상으로 대조군(Control), 알코올군(EtOH), 알코올-보리 추출물 급여군(EtOH-B)으로 나누어 전체 열량의 35%에 해당하도록 조성된 알코올 액체 식이를 알코올군 및 알코올-보리 추출물 급여군에 28일 간 공급하였다. 알코올 투여군은 P450 함량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알코올-보리추출물 급여군은 대조군 수준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하였다. 알코올 유도 CYP2E1, CYP1A2는 알코올군에서는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알코올-보리 추출물 투여군에서 이들 효소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생체 내 방어시스템의 변화 면에서 알코올 급여군에서 급격하게 감소한 catalase 활성이 보리 추출물 급여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CYP2E1의 활성억제에 의한 라디칼 발생 저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서, 보리 추출물은 알코올 유도 CYP2E1, CYP1A2 효소 활성의 억제와 생체 내 방어 기작의 효과적인 활성화에 의하여 알코올성 간 손상의 개선 소재로 활용가능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Resuscitative Endovascular Balloon Occlusion of the Aorta in Impending Traumatic Arrest: Is It Effective?

  • Chung, Jae Sik;Kim, Oh Hyun;Kim, Seongyup;Jang, Ji Young;An, Gyo Jin;Jung, Pil Young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3권1호
    • /
    • pp.23-30
    • /
    • 2020
  • Purpose: Hemorrhagic shock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in trauma patients worldwide. Resuscitative endovascular balloon occlusion of the aorta (REBOA) is a technique used to improve the hemodynamic stability of patients with traumatic shock and to temporarily control arterial hemorrhage. However,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REBOA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in near-arrest or arrest trauma patients can help resuscitation. We analyzed trauma patients who underwent REBOA according to their CPR status and evaluated the effects of REBOA in arrest situations.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single-regional trauma center study conducted at a tertiary medical institution from February 2017 to November 2019. We evaluated the mortality of severely injured patients who underwent REBOA and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outcome. Patients were divided into CPR and non-CPR groups. Results: We reviewed 1,596 trauma patients with shock, of whom 23 patients underwent REBOA (1.4%). Two patients were excluded due to failure and a repeated attempt of REBOA. The Glasgow Coma Scale score was lower in the CPR group than in the non-CPR group (p=0.009). Blood pressure readings at the emergency room were lower in the CPR group than in the non-CPR group, including systolic blood pressure (p=0.012), diastolic blood pressure (p=0.002), and mean arterial pressure (p=0.008). In addition, the mortality rate was higher in the CPR group (100%) than in the non-CPR group (50%) (p=0.012). The overall mortality rate was 76.2%. Conclusions: Our study suggests that if REBOA is deemed necessary in a timely manner, it is better to perform REBOA before an arrest occurs. Therefore, appropriate protocols, including pre-hospital REBOA, should be construct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REBOA in reducing mortality in arrest or impending arrest patients.

수상인명구조 교육 참여 대학생들의 목표지향, 몰입경험 및 자아성취감에 관계된 요인 (Relationship of Goal Orientation, Flow Experience and Self-Accomplishment among College Students Receiving Lifeguard Education)

  • 김윤원;문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214-2221
    • /
    • 2011
  • 본 연구는 수상인명구조원 교육 참여 대학생들의 목표지향, 몰입경험 및 자아성취감에 관계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첫째, 수상인명구조원 교육 참여 대학생들의 목표지향 중 과제관여는 인지몰입과 행동몰입에 자아관여는 인지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수상인명구조원 교육 참여 대학생들의 목표지향의 하위변인인 과제관여는 자아성취감의 자아실현, 능력발휘, 능력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아관여는 자아실현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수상인명구조원 교육 참여 대학생들의 몰입경험의 하위변인인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은 자아성취감의 자아실현, 능력발휘, 능력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수상인명구조원 교육 참여 대학생들의 목표지향은 몰입경험과 자아성취감에는 직접적인 관계, 몰입경험을 매개로 자아성취감에 간접적인 인과적 관계가 있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수상인명구조원 교육을 주관하는 단체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자발적으로 교육에 참여하는 교육생들에게 양질의 체계적인 실무 훈련 교육을 통해 인명구조에 대한 자신감 및 교육의 효과를 얻을 것으로 사료된다.

공공병원 의료 질 관리 전담자의 의료 질 향상 활동 경험연구 (Quality Improvement Nurses' Experiences of Working for Healthcare Quality in Public Hospitals)

  • 황정해;박성희;최윤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9-29
    • /
    • 2017
  • 본 연구는 공공병원 질 관리 전담자들의 병원 진료부문과 전반적 질 향상 활동의 경험 탐색을 통해 공공병원 질 향상 활동 방안을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공공병원의 질 관리 전담자 10명을 대상으로 질 향상 활동 경험에 대해 포커스 그룹 면담을 수행하였다. 질 향상 경험 면담을 통해 '진료 부문과 전반적 의료질 향상 활동에 대한 성공과 실패', '현재 질 향상 활동의 활성화 정도', '공공병원 질 향상 활동의 특성' 그리고 '향후 질 향상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것들'의 범주화를 통해, '공공병원 고유의 특성에 따른 질 향상 활동의 성공', '리더십과 역량강화를 통한 공공병원 질 향상 활동의 활성화', '공공병원의 지역 중점 병원의 역할 재정립'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공공병원 진료 부문의 질 향상 활동은 의사의 참여가 중요하며 이러한 의사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의사의 질 향상 활동의 성공적 경험을 공유하고 질 향상 활동에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여 질 향상 전문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지원들이 필요하다. 또한 공공병원의 질 관리 전담자는 국가 의료 질 향상을 위한 핵심위치에서 질 향상 활동의 견인역할을 하고 지역 의료기관간 협력적 소통을 통해 의료 질 향상 활동을 이끌어가야 한다.

축구선수의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Competence 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Football Players)

  • 문태영;박순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085-3093
    • /
    • 2012
  • 본 연구는 축구선수들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수준, 태도 및 수행능력에 관한 차이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도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및 대학생 축구선수 234명을 대상으로 2011년 10월 5일부터 10월 19일까지의 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PC 19.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은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축구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수준, 태도 및 수행능력은 성별, 학력, 기본심폐소생술 교육경험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폐소생술 관련 특성과 지식수준, 태도 및 수행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축구선수들의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수준, 태도 및 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축구선수들의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경험 및 지식수준을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마음 놓고 경기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보다 더 나은 운동경기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소방공무원의 지각한 현장출동 충격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가 신체증상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ield-Shock Experience and Post Traumatic Stress Perceived by Fire Officials upon Somatic Symptoms and Coping Methods)

  • 문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815-3823
    • /
    • 2013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들의 지각한 현장출동 충격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가 신체증상 및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강원도 소재 소방안전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 남녀 36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19.0과 AMOS 19.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위한 요인분석과 Cronbach's ${\alpha}$ 분석,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실시하였고, 가설 검정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한 현장출동 충격 경험은 외상 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한 현장출동 충격 경험이 신체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한 현장출동 충격 경험은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상 후 스트레스는 신체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외상 후 스트레스는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신체증상은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으로 볼 때 충격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으로 전 세계적으로 검증이 되어 실제 운영되고 있는 위기상항 스트레스 해소법(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 CISD)을 소방서의 실정에 맞게 도입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Korean Customer Attitudes Towards SNS Shopping

  • Cho, Young-Sang;Heo, Jeong-Yoon;Youn, Myoung-Kil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8호
    • /
    • pp.7-14
    • /
    • 2012
  • As a new format of retailing, social shopping on SNS has rapidly grown in recent. Although there is much literature associated with customer behaviours in the academic world,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identifying the shopping patterns of SNS shoppers. This paper will, thus, identify how perceived value has an impact on the buying intention of SNS shoppers, after illustrating what kind of factor influences the formation process of perceived value in the Korean marketplace. Given that SNS shoppers are for the most part 20s as well as 30s, the authors handed out questionnaires to them. Furthermore, based on literature review results, the conceptualised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Despite lack of literature, the authors developed five constructs like price reduction, quantity- and time-limited message, product ranges, information-sharing, and required number of shoppers. The researchers made a considerable effor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concepts and each variable, based on a few research analysis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the Varimax rotation technique used orthogonal rotation, Cronbach's Alpha, PCA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and the like. Amongst the 5 variables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influences on the perceived value as a social shopping characteristic, it has been evident that price cut, required minimum shoppers, product variety, and information-sharing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perceived value formation processes of SNS customers. Also, this research implies that SNS retailers can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 retailers by differently using the above factors. From a practitioner's point of view, these factors should be strategically used to increase the social shopping opportunities of SNS users. It is, furthermore, evident that the perceived value formed by the above 4 factor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buying decision process of SNS customers. In a sense, whether customers are aware of higher price cut rates, information-sharing, required minimum shoppers, and product variety has a positive impact on making buying decisions. From a retailer's point of view, online shopping mall operators are able to use blog as well as twitter to improve the buying intention as a marketing tool of social network, because the business activities provided by social shopping retailers, like the rapid, accurate responses to customer requirements, the provision of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s between customers are closely related to buying intentions. There are a few research limitations to conduct this empirical research. It was not easy to review prior papers, due to its lack. In spite of the increasing number of SNS shoppers in Korea, little resear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is kind of research topic by academicians, because buying products or services through SNS is in its infancy. With regard to research populations, it would be difficult to generalise the research findings in Korea, owing to unbalanced respondent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above research limitations as well as the growth of social shopping, many authors should pay considerable attention to SNS-related issues in the future, and develop the more sophisticated criteria to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SNS shoppers.

  • PDF

고용형태와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에서의 격차: 건강자원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The Disparities in Subjective Health by Employment Form and Gender: Focusing on the Interaction Effects with Health Resources)

  • 김진영;임인숙;송예리아;한신원
    • 한국인구학
    • /
    • 제35권1호
    • /
    • pp.181-209
    • /
    • 2012
  • 고용형태와 성별은 건강의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는 한국사회의 주요 계층 요인들이다. 기존 연구들이 고용형태와 성별에 따른 건강 격차의 존재를 검토해 왔으나 이러한 격차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용형태와 성별을 동시에 고려한 집단들 사이에서 건강 불평등의 양상을 확인하는 한편, 그러한 불평등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가능성이 있는 건강 자원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1년 한국 성인에 대한 전국 대표 표본 조사인 한국건강불평등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한 통계분석을 통해 고용-성별 집단과 각 건강자원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한다. 건강 척도로는 주관적 건강인식이 사용되며, 건강자원으로는 네 가지 차원(사회적 관계, 심리적 자원, 활동요인, 의료서비스 이용)의 총 19개 변수가 포괄적으로 고려된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정규직 남성에 비해 나머지 세 고용-성별 집단이 자신의 건강을 더 좋지 않게 평가한다. 둘째, 이러한 건강 격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자원은 각 집단별로 다르다. 가장 건강을 열악하게 평가한 비정규직 여성에게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은 자원은 자녀와의 원만한 관계이다. 비정규직 남성 집단에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은 자원은 부모 혹은 형제자매와의 원만한 관계, 낮은 스트레스, 종교활동 참여이다. 마지막으로, 정규직 여성에게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은 자원은 대인신뢰이다.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는 건강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자원을 모든 이에게 무차별적으로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집단의 건강 향상을 위해 특히 효과적인 자원에 초점을 맞춰 개인적 정책적 실천을 도모할 필요성을 제기한 점이다. 현재처럼 계층집단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는 일반 대중에 대한 보건 정책은 비효율적일 수 있으며, 낮은 계층의 건강을 위해서는 그들의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

  • PDF